본문내용
리는 표문(表文)과 전문(箋文)을 쓰기 위해 특별히 만든 종이 입니다.24) 화지(火紙)담뱃불 등을 붙이는 데 쓰는 종이로 얇은 종이를 길게 말아서 만들었습니다.
3.형태에 따른 한지의 종류가.제작방법에 따른 분류1) 분백지(紛白紙)분을 먹인 흰 종이를 말합니다.2) 분주지(紛周紙)한지의 하나로 전라북도에서 생산되는 두루마리 종이를 말합니다. 종이의 표면에 쌀가루를 뿌리고 두들겨서 만들었습니다.3) 사록지종이를 뜰 때 생기는 발의 눈을 없애기 위해 비단을 씌워 뜬 종이 입니다.4) 포목지(布目紙)종이를 뜰 대 발 눈을 없애기 위하여 포를 씌워 뜬 종이입니다.나. 종이의 질에 따른 분류1) 백면지(白綿紙)품질이 희고 좋은 백지를 말하는데 공물로 많이 이용 하였습니다.2) 별백지(別白紙)질이 아주 좋은 종이로 외국에서 한지를 부르는 이름 가운데 하나 였습니다.3) 상지(常紙)질이 좋지 못한 보통의 우리나라 종이 입니다.4) 열품백지(劣品白紙)품질이 좋지 못한 종이입니다.5) 은면지(銀面紙)은색 빛깔로 반들반들하게 만든 종이 입니다.6) 죽청지(竹靑紙)한지의 하나로 아주 얇고 질기며 단단한 닥종이 입니다.7) 백추지손목의 『계림유사』에 보이는 가장 오래된 종이인데 희고 광택이 나는 종이 입니다.다. 마무리 방법에 따른 분류1) 도련지(道練紙)듬잇돌로 다듬어 반드럽게 만든 종이로 붓이 잘 움직이도록 한 종이 입니다.2) 도침백지(搗砧白紙)홍두깨에 말아서 다듬이질하여 광택을 낸 백지를 말합니다.3) 타지(打紙)단지( 紙)라고도 하며 다듬이질을 하여 매끄럽고 광택이 나는 종이를 말합니다.4) 동유지(桐油紙)한지에 동유(유동나무 씨에 짠 기름)를 발라서 건조시킨 것으로 포장지, 우구(雨具), 등기 등의 제작에 쓰인 유지의 한 종류 입니다.5) 만년지(萬年紙)칠이나 기름을 먹인 종이입니다.6) 유둔지비가 올 때 쓰기 위하여 닥종이를 이어 붙여 만든 두꺼운 기름종이 입니다.
한지의 종류
한지의 쓰임새
- 서사용(기록용), 서화용, 건축용 부재, 생활용품, 공예품(지승, 지호, 지함)
- 정보 및 인쇄 필기용, 포장용, 가정용 및 위생용, 의류 및 신소재용, 기능지용, 감성 및 정신문화용
전주 한지 축제를 다녀와서
재작년쯤에도 전주 한지문화 축제를 다녀왔더랍니다.그때는 코아아울렛 1층 전시회만 다녀왔었지요...*^-^*
그 당시에는 건물 안 쪽에서는 수상작 및 초대작가님들의 작품을 전시하였고 밖에서는 갖가지 체험행사도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러나 이번엔 건물 안 쪽에서 전시회 빼놓고는 다른 건 없더군요!
또 재작년에는 사진촬영이 자유로웠으나 이번에는 기념촬영은 되도 작품 단독 촬영은 안된다면서 제지를 당했습니다.
하지만 웃긴 건 기념촬영이 말이 기념촬영이지 몰래 몰래 작품 단독 촬영을 다 하더라는 겁니다.
그리고 작품들이 대부분 훌륭하였으나 몇 몇 작품같은 경우는 정말 기가 안 차더군요!
아직 한참을 배워야하는 제 눈으로 보아도 입선이라고 하기엔 너무나 뛰어난 작품들이 입선이 되었고 상위권에 있는 작품들은 수준 이하의 작품도 더러 보였습니다.
특히 어느 초대 작가님의 작품 같은 경우는 문양이나 마무리가 한 눈에 보기에도 "이게 뭐야?" 할 정도로 허술하더군요!
정말 냉정히 말해서 작가님의 작품이라고 하기엔 수준 이하였네요...-_-;
그런 다음 경기전과 한옥마을을 다녀왔는데 한지축제라고 해서 기대 만땅하고 갔는데 이게 왠 걸 벼룩시장이라고 해서 헌 물건을 팔고 있는 좌판에 벨리댄스 공연에 잡상인들이 거리를 매우고 있었습니다.
한지공예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이후로 여기 저기 많은 전시회를 돌아다녀봤지만 점점 더 초라해지는 느낌을 지울 수 없네요!
규모도 점점 작아지고 전시회니 축제니 그것의 본연에 의미를 못 살리고 돈 벌이에 급급해하는 것 같아 씁쓸했습니다.
정말 아쉬운 것은 사진촬영이의 제재가 점점 더 많아진다는 겁니다.
전시회를 가서 보면 아쉽고 씁쓸한 것도 많지만 종종 뛰어난 아이디어들 또한 많은데 그것들을 눈에만 담아와야 한다는 게 저로썬 참...-_ㅜ
작가의 작품 보호 명목으로 촬영을 제재하는 것이겠지만 글쎄요 과연 그 이유 뿐인지 약간의 의문을 가져 봅니다.
아예 막으려면 작가와 관계자외 사람들의 모든 촬영을 막았으면 하는데 그건 허용한다는 게 좀 이해가 안 가네요!
좀 전에도 언급했지만 기념촬영을 하면서 은근히 작품 단독 컷을 찍는 사람이 허다했는데 그건 왜 못 보는지...>_<
집에 돌아와서 바로 컴터 키고 글을 쓰는 거라 말이 좀 안 맞는데 정리를 하고 쓸까 하다가 피곤해서 글 쓰기 전에 잠 들어버릴까봐 급하게 적어봅니다.
전시회에 대해서 좋은 생각 좋은 느낌을 가졌던 분들께는 죄송한 말씀이지만 개인적으로 전 그닥 좋은 생각 좋은 느낌은 아니였네요!
5월 5일 어린이날 전주 한지문화축제에 다녀왔습니다.
주최측에 따르면 5. 2일부터 5. 5일까지 열린 '2008 전주한지문화축제'에 관람객 11만4000여명이 다녀간 것으로 잠정 집계되었다고 합니다.
이같은 관람객 수는 지난해 5만5000명에 비해 2배 늘어난 것이며, 약 55억원에 달하는 지역 경제 파급효과를 가져왔다고 추정한다네요.
한지문화축제의 주무대 공간이었던 '산업관'에 입주한 업체들의 실적도 늘어 성공적 지역축제로 자리매김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고 합니다.
한지문화축제를 보고 전통문화를 체험하기 위해 관광객들도 31개 체험프로그램에 7,400명이 운집, 체험 축제로도 각광 받았다는데...
<보고 느낀점>
○ 다양한 체험프로그램(가족신문만들기, 종이만들기, 인형만들기 등)이 많아 가족단위로 둘러보기에 좋았으며,
○ 잡상인은 일체 없었고, 저렴한 가격(500월)에 음료수를 자원봉사자들이 판매하고 있었으며,
○ 대학생 자원봉사자(40여명)의 참여로 공무원들이 축제기간내내 동원되지 않고 시민과 단체중심의 자발적인 축제가 이루어 지고 있었고,
○ 전주 국제영화제와 함께 열려 외지인들이 전주를 찾아서 다양한 곳을 볼고 느낄수 있도록 기획된 것 같았음..
<아쉬운점>
○ 한지문화축제의 주무대 공간이었던 '산업관'에 입주한 업체들의 전시품 가격이 대부분 高價였음.
○ 주차장 부족으로 인근지역 교통 혼잡
3.형태에 따른 한지의 종류가.제작방법에 따른 분류1) 분백지(紛白紙)분을 먹인 흰 종이를 말합니다.2) 분주지(紛周紙)한지의 하나로 전라북도에서 생산되는 두루마리 종이를 말합니다. 종이의 표면에 쌀가루를 뿌리고 두들겨서 만들었습니다.3) 사록지종이를 뜰 때 생기는 발의 눈을 없애기 위해 비단을 씌워 뜬 종이 입니다.4) 포목지(布目紙)종이를 뜰 대 발 눈을 없애기 위하여 포를 씌워 뜬 종이입니다.나. 종이의 질에 따른 분류1) 백면지(白綿紙)품질이 희고 좋은 백지를 말하는데 공물로 많이 이용 하였습니다.2) 별백지(別白紙)질이 아주 좋은 종이로 외국에서 한지를 부르는 이름 가운데 하나 였습니다.3) 상지(常紙)질이 좋지 못한 보통의 우리나라 종이 입니다.4) 열품백지(劣品白紙)품질이 좋지 못한 종이입니다.5) 은면지(銀面紙)은색 빛깔로 반들반들하게 만든 종이 입니다.6) 죽청지(竹靑紙)한지의 하나로 아주 얇고 질기며 단단한 닥종이 입니다.7) 백추지손목의 『계림유사』에 보이는 가장 오래된 종이인데 희고 광택이 나는 종이 입니다.다. 마무리 방법에 따른 분류1) 도련지(道練紙)듬잇돌로 다듬어 반드럽게 만든 종이로 붓이 잘 움직이도록 한 종이 입니다.2) 도침백지(搗砧白紙)홍두깨에 말아서 다듬이질하여 광택을 낸 백지를 말합니다.3) 타지(打紙)단지( 紙)라고도 하며 다듬이질을 하여 매끄럽고 광택이 나는 종이를 말합니다.4) 동유지(桐油紙)한지에 동유(유동나무 씨에 짠 기름)를 발라서 건조시킨 것으로 포장지, 우구(雨具), 등기 등의 제작에 쓰인 유지의 한 종류 입니다.5) 만년지(萬年紙)칠이나 기름을 먹인 종이입니다.6) 유둔지비가 올 때 쓰기 위하여 닥종이를 이어 붙여 만든 두꺼운 기름종이 입니다.
한지의 종류
한지의 쓰임새
- 서사용(기록용), 서화용, 건축용 부재, 생활용품, 공예품(지승, 지호, 지함)
- 정보 및 인쇄 필기용, 포장용, 가정용 및 위생용, 의류 및 신소재용, 기능지용, 감성 및 정신문화용
전주 한지 축제를 다녀와서
재작년쯤에도 전주 한지문화 축제를 다녀왔더랍니다.그때는 코아아울렛 1층 전시회만 다녀왔었지요...*^-^*
그 당시에는 건물 안 쪽에서는 수상작 및 초대작가님들의 작품을 전시하였고 밖에서는 갖가지 체험행사도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러나 이번엔 건물 안 쪽에서 전시회 빼놓고는 다른 건 없더군요!
또 재작년에는 사진촬영이 자유로웠으나 이번에는 기념촬영은 되도 작품 단독 촬영은 안된다면서 제지를 당했습니다.
하지만 웃긴 건 기념촬영이 말이 기념촬영이지 몰래 몰래 작품 단독 촬영을 다 하더라는 겁니다.
그리고 작품들이 대부분 훌륭하였으나 몇 몇 작품같은 경우는 정말 기가 안 차더군요!
아직 한참을 배워야하는 제 눈으로 보아도 입선이라고 하기엔 너무나 뛰어난 작품들이 입선이 되었고 상위권에 있는 작품들은 수준 이하의 작품도 더러 보였습니다.
특히 어느 초대 작가님의 작품 같은 경우는 문양이나 마무리가 한 눈에 보기에도 "이게 뭐야?" 할 정도로 허술하더군요!
정말 냉정히 말해서 작가님의 작품이라고 하기엔 수준 이하였네요...-_-;
그런 다음 경기전과 한옥마을을 다녀왔는데 한지축제라고 해서 기대 만땅하고 갔는데 이게 왠 걸 벼룩시장이라고 해서 헌 물건을 팔고 있는 좌판에 벨리댄스 공연에 잡상인들이 거리를 매우고 있었습니다.
한지공예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이후로 여기 저기 많은 전시회를 돌아다녀봤지만 점점 더 초라해지는 느낌을 지울 수 없네요!
규모도 점점 작아지고 전시회니 축제니 그것의 본연에 의미를 못 살리고 돈 벌이에 급급해하는 것 같아 씁쓸했습니다.
정말 아쉬운 것은 사진촬영이의 제재가 점점 더 많아진다는 겁니다.
전시회를 가서 보면 아쉽고 씁쓸한 것도 많지만 종종 뛰어난 아이디어들 또한 많은데 그것들을 눈에만 담아와야 한다는 게 저로썬 참...-_ㅜ
작가의 작품 보호 명목으로 촬영을 제재하는 것이겠지만 글쎄요 과연 그 이유 뿐인지 약간의 의문을 가져 봅니다.
아예 막으려면 작가와 관계자외 사람들의 모든 촬영을 막았으면 하는데 그건 허용한다는 게 좀 이해가 안 가네요!
좀 전에도 언급했지만 기념촬영을 하면서 은근히 작품 단독 컷을 찍는 사람이 허다했는데 그건 왜 못 보는지...>_<
집에 돌아와서 바로 컴터 키고 글을 쓰는 거라 말이 좀 안 맞는데 정리를 하고 쓸까 하다가 피곤해서 글 쓰기 전에 잠 들어버릴까봐 급하게 적어봅니다.
전시회에 대해서 좋은 생각 좋은 느낌을 가졌던 분들께는 죄송한 말씀이지만 개인적으로 전 그닥 좋은 생각 좋은 느낌은 아니였네요!
5월 5일 어린이날 전주 한지문화축제에 다녀왔습니다.
주최측에 따르면 5. 2일부터 5. 5일까지 열린 '2008 전주한지문화축제'에 관람객 11만4000여명이 다녀간 것으로 잠정 집계되었다고 합니다.
이같은 관람객 수는 지난해 5만5000명에 비해 2배 늘어난 것이며, 약 55억원에 달하는 지역 경제 파급효과를 가져왔다고 추정한다네요.
한지문화축제의 주무대 공간이었던 '산업관'에 입주한 업체들의 실적도 늘어 성공적 지역축제로 자리매김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고 합니다.
한지문화축제를 보고 전통문화를 체험하기 위해 관광객들도 31개 체험프로그램에 7,400명이 운집, 체험 축제로도 각광 받았다는데...
<보고 느낀점>
○ 다양한 체험프로그램(가족신문만들기, 종이만들기, 인형만들기 등)이 많아 가족단위로 둘러보기에 좋았으며,
○ 잡상인은 일체 없었고, 저렴한 가격(500월)에 음료수를 자원봉사자들이 판매하고 있었으며,
○ 대학생 자원봉사자(40여명)의 참여로 공무원들이 축제기간내내 동원되지 않고 시민과 단체중심의 자발적인 축제가 이루어 지고 있었고,
○ 전주 국제영화제와 함께 열려 외지인들이 전주를 찾아서 다양한 곳을 볼고 느낄수 있도록 기획된 것 같았음..
<아쉬운점>
○ 한지문화축제의 주무대 공간이었던 '산업관'에 입주한 업체들의 전시품 가격이 대부분 高價였음.
○ 주차장 부족으로 인근지역 교통 혼잡
추천자료
종이 - 한지의 역사
한지의역사와 삼국비교를 통한 한지의 우수성 및 발전방안
한지의 역사
[한지][한지의 우수성][한지의 종류][한지공예][한지의 제작과정][전통한지와 각 지류]한지의...
[한지][한지의 특성][한지의 역사][한지의 제조법][전통한지][닥종이]한지의 특성, 한지의 물...
[종이][종이생산][무구정경][닥종이][종이접기][한지]종이의 역사, 종이의 어원, 종이의 생산...
[한지][선지][화지]한지(한국전통한지) 발견과 역사, 한지(한국전통한지) 유형, 한지(한국전...
[종이][종이의 유래][종이의 역사][종이의 전파][종이의 종류별 특성][종이의 재활용][제지][...
한지의 역사, 한지의 종류 - 삼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 종이와 문학, 원료/용도/형태/생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