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덜 침해적이고 제도살인을 피할 수 있음에 불과하다. 절대적 종신형제을 도입한다고 해서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자연사 할 때까지 일정한 수용시설에 수용함으로써 수형자의 고령화 문제, 교도소내에서의 범죄행위, 행형상의 복지문제, 나아가 사회로의 복귀를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인간의 존엄성을 해치는 결과로 인하여 형벌의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비판의 여지는 여전히 남는다. 그리고 절대적 종신형에 있어서도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인 자유와 권리의 본질적 내용에 관한 충분한 검토를 거쳐야 할 것이고 또한 그동안 간과했다고도 할 수 있는 피해자의 감정이라는 부분에 대해서 국가가 얼마만큼 관심을 가졌는가, 다시 말해서 피해자도 절대적 종신제로 만족할 것인가라는 관점도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된다.
추천자료
우리들의행복한시간을 읽고
[인터넷문화]댓글문화의 언어현상 분석과 언어의 장단점 조사
NGO - 엠네스티
이코노파워를 읽고
Death penalty. ppt
영화 '타임 투 킬'과 법적 평석
Capital punishment
영혼의집1,2, 유형지에서, 바늘
translation U.S. LEGAL SYSTEM(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on and the resultan...
[현대사회와 범죄] 범죄의 원인과 대책
즐거운 나의 집 _ 공지영 저.pptx
(A+ 레포트,시험대비) [영화와 사회복지] 인간 존중에서부터 사회제도 변화까지- 데드맨 워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