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인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인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구조상의 불균형을 가져왔다. 한편 이촌향도 현상의 결과 도시화율은 1960년 35.8%였던 것이 1990년에는 79.4%로 늘어났다. 도시로의 인구집중현상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의 경우 전국 인구의 비중이 1990년에는 42.7%로 크게 증가했다. 반면에 농촌인구비율이 높았던 강원도·충청북도·전라남도·전라북도 등의 인구는 계속 감소하고 있다.
한국의 인구밀도는 1990년 432명/㎢으로 방글라데시·타이완·네덜란드에 이어 세계 4위이다. 그러나 시·도 간의 인구밀도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서울이 1만 7,554명/㎢인데 비해 강원도는 94명/㎢으로 서울이 무려 187배나 높은 인구밀도를 보인다. 한편 경지면적당 인구밀도는 1,940명/㎢으로 일본·이집트에 이어 세계 3위이다.
인구구조
8·15해방 전 성비는 남초현상을 나타냈으나, 그후 점차 성비가 낮아져서 1990년 100.7 : 100으로 대체로 남녀 비율이 균형을 이루었다. 그러나 도시지역으로의 젊은 연령층의 선별적인 인구전입으로 인해 결혼 적령기인 20~25세 인구집단의 성비는 도시의 경우 90 : 100으로 여초현상이 나타나는 반면, 농촌지역의 경우에는 190 : 100으로 남초현상이 두드러졌다. 한국의 인구구성은 출생률이 높았던 1960년에는 다산다사형의 전형적인 피라미드 유형의 인구구조였으나, 출생률이 점차 감소함에 따라 방추형의 인구구조로 바뀌어가고 있다. 그러나 청장년층의 인구유입이 많은 대도시와 공업도시들의 연령별 인구구조는 노년층의 인구비율이 높은 농촌지역의 인구구조와는 상당히 다르게 나타난다. 농촌지역에서는 젊은 연령층의 유출로 인해 노동력의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한편 경제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사회구조가 전반적으로 변동되어 핵가족화 현상과 가구원수의 감소 및 단독 가구수 증가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8·15해방 전까지의 인구이동은 주로 정치적·사회적 원인에서 이루어진 국제적인 이동이었다. 그러나 8·15해방 이후 특히 산업화·도시화가 진행되기 시작한 1960년대 이후의 인구이동은 주로 국내이동으로, 농촌지역의 인구가 도시지역으로 이동하는 이촌향도현상이 두드러진다.
인구정책
한국의 인구정책은 1962년 경제개발계획에 포함되어 추진된 가족계획사업과 해외이주사업으로 시작되었다. 이러한 인구정책은 당시의 빈곤을 극복하고 실업자의 증가로 악화된 국민경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우선적인 방법으로서 시대적 요청에 따라 추진되었다. 가족계획사업이 실시되면서 출생률이 크게 감소되어 인구성장률이 둔화되었다. 1960년대말 이래 공업화가 추진되면서 대도시로의 인구집중현상이 나타나 지역간에 인구의 불균형을 가져왔다. 이는 국가발전에 역기능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비효율적인 국토이용을 초래하게 되어 인구분산정책을 수립·실시하게 되었다. 지난 20여 년 간 인구 및 산업의 분산화를 목적으로 하는 시책들이 시행되었으나 기대만큼의 성과를 보지는 못했다. 좀더 구체적이고 다각적인 방법으로 실효를 거둘 수 있는 인구분산정책의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04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