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법계란 무엇인가
2. 사법계, 십현문, 육상문
1) 사법계
2) 십현문
3) 육상문
III. 결론
II. 본론
1. 법계란 무엇인가
2. 사법계, 십현문, 육상문
1) 사법계
2) 십현문
3) 육상문
III. 결론
본문내용
연화합하여 발생함, ‘일어남’이라는 ‘목전(目前)에 당면한 사태’로서 실천적 측면이 강하다. 우리는 무아(無我)와 공(空)을 관념적으로 강변하고 교조적으로 강요할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망념의 발생, 기(起)를 보아야 한다. 이 ‘일어남’에는 인연이라는 조건과 역동적 시간토대가 동시에 구비되어 있다. 연의 역동적 기(起)를 보아야 한다. 이때 비로소 아(我)와 아소(我所)의 당체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연기(緣起)의 진실한 의미가 살아날 것이다.
십현문에 있어서도 기존의 인다라망경계문과 같은 정태적동시적인 무시간적 이해와 더불어,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주체성을 재구성해가는 주반원명구덕문과 같은 역동적 이해도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중중무진연기의 본의는 오히려 여기서 더욱 실존적이고, 주체적으로 다가오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해본다. 지금 현재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동시적(同時的) 인과 측면도 중요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계시적(繼時的) 인과는 다 같이 대등하게 존중되어야 한다. 그러나 징관도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인식이 없지는 않았든 것 같다. 바로 그가 별도로 설한 오온관과 십이연기관을 통해서 법계연기관의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한 것이 아닌가 한다. 그것이 아니라면 화엄사상가들의 입장은 오온관과 십이연기를 기본으로 하고, 보다 차원 높은 법계의 실상을 주관심사로 삼은 것이 아닌가하는 추측도 해본다. 그리고 법계에 들어가는 방법은 정토관을 체험함으로 인해 법계에 들어갈 수 있다고 화엄경약책에서 설하고 있다. 화엄종의 정토사상은 주로 아미타정토사상과 염불수행을 통해 실천되었다.
십현문에 있어서도 기존의 인다라망경계문과 같은 정태적동시적인 무시간적 이해와 더불어,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주체성을 재구성해가는 주반원명구덕문과 같은 역동적 이해도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중중무진연기의 본의는 오히려 여기서 더욱 실존적이고, 주체적으로 다가오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해본다. 지금 현재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동시적(同時的) 인과 측면도 중요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계시적(繼時的) 인과는 다 같이 대등하게 존중되어야 한다. 그러나 징관도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인식이 없지는 않았든 것 같다. 바로 그가 별도로 설한 오온관과 십이연기관을 통해서 법계연기관의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한 것이 아닌가 한다. 그것이 아니라면 화엄사상가들의 입장은 오온관과 십이연기를 기본으로 하고, 보다 차원 높은 법계의 실상을 주관심사로 삼은 것이 아닌가하는 추측도 해본다. 그리고 법계에 들어가는 방법은 정토관을 체험함으로 인해 법계에 들어갈 수 있다고 화엄경약책에서 설하고 있다. 화엄종의 정토사상은 주로 아미타정토사상과 염불수행을 통해 실천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