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생리학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운동생리학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증가, 페확산 면적이 감소
마) 잔기량의 증가
(1) 폐포 산소 분압의 저하
(2) 운동시 산소분압의 증가지연
(3) 호흡근의 효율저하
(4) 폐활량 호흡근 약화
(5) 최대운동시 호흡근 산소소비량의 비율 증가
(6) 기도저항과 폐의 탄력성 감소로 MVV, FEV1.0 등의 동적 폐용량 감소
바) 최대 분당 환기량과 산소섭취 능력의 현저한 감소
(1) 최대산소섭취량 감소의 원인은 최대심박출량, 동정맥산소차의 감소가 주요 원인
아. 환경과 운동
1) 기상과 운동
가) 체온과 인체기능
(1) 정상체온 : 특별한 열 스트레스가 없는 건강한 사람의 체온(심부온도로 35℃∼41℃)
(2) 체온측정 : 구강, 겨드랑이, 직장에서 측정
(가) 직장온도는 36.9℃로 구강과 겨드랑이보다 높음
(나) 직장온도에 비해 구강 0.6℃, 겨드랑이 0.65℃ 정도 낮게 나타남
(다) 심부온도와 인체기능의 변화
① 30이하 : 심부정맥, 체온조절기능 상실
② 30∼33 : 의식상실, 체온조절 기능 불완전
③ 36∼38 : 정상범위
④ 38∼41 : 심한 운동시 체온, 열성질환
⑤ 41∼43 : 의식상실, 체온조절기능 불완전
⑥ 43∼45 : 단백질 변성, 생존의 상한선
(라) 체온조절 기전
① 체온조절
㉠ 온도수용기 : 현재체온감지
㉡ 효과기 : 체열을 증가, 손실
㉢ 조절기/통합기
② 추위와 체온조절기전
㉠ 추운 환경에 노출되어 피부의 냉각수용기가 자극되면 말초혈관이 수축되어 피부의
모세혈관 쪽으로 흐르는 혈류량이 감소
㉡ 피부표면에 소름이 돋고 근육의 떨림에 의한 에너지 대사의 항진과 호르몬 분비에
의한 기초대사량이 증가(20분 정도 떨림 작용시 0.8℃ 체온상승)
㉢ 에프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티록신, 코티졸 등의 분비량이 증가됨으로써 대사량이
증가되어 열생산량이 늘어남
※ 한냉적응 : 신진대사 반응, 맥관계 반응, 효소 적응 및 신경성 적응 등을 일으켜
정상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것
③ 더위와 체온조절기전
㉠ 복사 : 체온이 환경온도보다 높을 경우 공기를 통하여 발산하는 것
㉡ 전도 : 심부의 열 조직을 통해 피부표면 및 공기로 이동하는 것
(심부온도와 피부온도의 차가 클수록 빠름)
㉢ 대류 : 공기의 흐름에 의한 열손실
㉣ 증발 : 땀의 분비와 호기를 통한 수분의 증발을 통한 체열 방출
㉤ 인체는 혈액을 인체 외층으로 순환하기 위한 심박수, 심박출량의 증가, 피부혈관 확장
㉥ 피부로 열전도 증가 복사에 의한 열손실이 효과적으로 일어남
㉦ 발한량을 증가, 증발에 DMK한 열손실량을 증가시켜 피부온도를 감소
㉧ 발한을 통한 수분과 전해질의 손실량이 늘어나면 이를 보존하기 위한 호르몬 분비증가
㉨ 신장에서 수분의 재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바소프레신, 항이뇨호르몬의 분비량 증가
㉩ 신장에서 나트륨의 재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알도스테론의 분비
※ 고온적응 : 말초혈관의 확장, 발한과 과도호흡에 의한 수분 증발량의 증가, 호르몬
조절기능의 활성 등을 통한 고온에 대한 내성 증가로 정상체온 유지
(마) 고온환경과 운동
① 근육에 산소공급
② 대사열을 심부에서 외층으로 수송
③ 피부 혈액순환량 증가, 정맥혈 환류 감소, 1회박출량의 감소를 초래, 심박수를 증가시킴
④ 근육 글리코겐의 이용율을 증가시켜 젖산의 생성량도 증가시킴
⑤ 탈수현상이 점차 진행되면서 혈장량과 발한량도 점차 감소되어 체온조절기능 저하됨
(바) 수분과 전해질 보충
① 고온환경에 처해 있을 때 일정한 간격으로 두부와 복부에 찬수건을 대거나 찬물로 샤워시
체온과 심박수의 상승을 예방, 체액손실 줄일 수 있음
② 수분공급시 고려사항
㉠ 물의 온도가 5℃일때
㉡ 위에 남아 있는 물의 양 100∼600㎖
㉢ 한번에 250㎖ 10∼15분 간격으로 섭취
㉣ 안정시보다 최대하운동시
㉤ 15분 간격 7% 포도당 중합체 용액 200∼㎖ 정도씩 섭취
(사) 저온환경과 운동
① 저온자극시 말초혈관의 수축, 근육떨림, 호르몬의 증가로 혈압상승, 산소수요가 커짐
② 추위에 대한 순응으로 안정시 대사율 증가, 근떨림 반응감소, 피부혈류량 증가
③ 운동시 심부온도가 저하되면 심박수 감소로 인한 심박출량 감소됨
④ 산소운반저하로 최대산소섭취량 감소
⑤ 근세포내 에너지 대사 활성저하로 에너지 동원능력 감소됨
⑥ 정적인 최대근력은 영향이 없으나 동적인 근력은 현저히 감소
⑦ 체감온도 -20℉이상일 경우 안면보호대, 장갑착용, 바람을 등지고 운동
⑧ 체감온도 -25℉이상일 경우 운동금지
(아) 수중운동
① 압력과 공기부피의 변화 : 10m내려갈 때 대기압의 2배증가
② 보일-샤를의 법칙에 따라 압력에 반비례 절대온도에 비례
(대기 중 섭취한 공기는 잠수하는 동안 압축되고 해수면으로 상승시 다시 팽창하여 체내에
기포형성하여 물속에서 심호흡 한 후 대기로 바로 노출시 위험함)
③ 잠수시 상지와 하지의 압력이 비슷해져 정맥혈의 저류현상이 감소 심장으로의 환류 혈액 량이 증가
④ 수중에서 운동시 급격한 수직이동, 과한 심호흡의 반복, 무리한 호흡 멈춤을 삼가고
최대 30m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
나) 대기오염과 운동
1) 대기오염과 운동
(1) 일산화탄소
(가) 헤모글로빈과 결합력이 강하여 조직으로 공급되는 산소량을 감소 동정맥산소차가 감소
(2) 이산화황
(가) 기도의 윗부분과 기관지에 자극을 주어 기도수축현상을 초래(천식유발)
(나) 1.0ppm이상시 불편초래, 경기력 저하
(3) 이산화질소
(가) 200∼400ppm시 심각한 폐손상, 사망을 초래
(4) 오존
(가) 폐와 기관지 자극하여 폐기능 저하를 유발, 눈의 따가움, 가슴의 답답함, 기침, 구토
(나) 0.3ppm 오존시 65% , 0.2ppm 오존시 75% 강도의 운동강도 운동수행시 폐기능이 저하

[출처] 운동생리학,(생체 2급 )|작성자 redragon0215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13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