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년) 8 세, 화석정 시를 짓다.
1548년(명종 3년) 13 세, 진사 시험에 장원으로 합격하다.
1551년(명종 6년) 16 세, 어머니 신사임당의 상(喪)을 당하다.
1555년(명종 10년) 20 세, '자경문'을 짓다.
1556년(명종 11년) 21 세, 한성시에 응시해 장원하다.
1557년(명종 12년) 22 세, 성주 목사 노경린의 딸 곡산 노씨와 결혼하다.
1558년(명종 13년) 23 세, 퇴계를 만나다. 겨울에는 별시에 장원하다.
1561년(명종 16년) 26 세, 아버지 이원수공의 상을 당하다.
1564년(명종 19년) 29 세, 8월 명경과에 급제해 호조좌랑에 임명되다.
1568년(선조 원년) 33 세, 11월에 이조좌랑이 됐으나 외할머니의 병환 소식을 듣고는 벼슬을 버리고 강릉으로 내려오다.
1569년(선조 2년) 34 세, 7월에 조정에 돌아오다. 10월에 휴가를 얻어 강릉으로 돌아와 외할머니 상을 곡하다.
1572년(선조 5년) 37 세, 병이 생겨 고향 율곡으로 돌아가다.
1575년(선조 8년) 40 세, 홍문관 부제학에 임명되다. '성학집요'를 짓다.
1577년(선조 10년) 42 세, 12월에 '격몽요결'을 완성하다.
1582년(선조 15년) 47 세, 이조판서가 되다. 8월에 형조판서, 9월에 의정부우참찬, 12월에 병조판서에 임명되다.
1583년(선조 16년) 48 세, 4월에 국방을 위해 '10만 양병설'을 올리다.
1584년(선조 17년) 49 세, 정월 16일에 서울 대사동에서 별세하다. 3월 20일에 파주 자운산 선영에 장사 지내다.
1548년(명종 3년) 13 세, 진사 시험에 장원으로 합격하다.
1551년(명종 6년) 16 세, 어머니 신사임당의 상(喪)을 당하다.
1555년(명종 10년) 20 세, '자경문'을 짓다.
1556년(명종 11년) 21 세, 한성시에 응시해 장원하다.
1557년(명종 12년) 22 세, 성주 목사 노경린의 딸 곡산 노씨와 결혼하다.
1558년(명종 13년) 23 세, 퇴계를 만나다. 겨울에는 별시에 장원하다.
1561년(명종 16년) 26 세, 아버지 이원수공의 상을 당하다.
1564년(명종 19년) 29 세, 8월 명경과에 급제해 호조좌랑에 임명되다.
1568년(선조 원년) 33 세, 11월에 이조좌랑이 됐으나 외할머니의 병환 소식을 듣고는 벼슬을 버리고 강릉으로 내려오다.
1569년(선조 2년) 34 세, 7월에 조정에 돌아오다. 10월에 휴가를 얻어 강릉으로 돌아와 외할머니 상을 곡하다.
1572년(선조 5년) 37 세, 병이 생겨 고향 율곡으로 돌아가다.
1575년(선조 8년) 40 세, 홍문관 부제학에 임명되다. '성학집요'를 짓다.
1577년(선조 10년) 42 세, 12월에 '격몽요결'을 완성하다.
1582년(선조 15년) 47 세, 이조판서가 되다. 8월에 형조판서, 9월에 의정부우참찬, 12월에 병조판서에 임명되다.
1583년(선조 16년) 48 세, 4월에 국방을 위해 '10만 양병설'을 올리다.
1584년(선조 17년) 49 세, 정월 16일에 서울 대사동에서 별세하다. 3월 20일에 파주 자운산 선영에 장사 지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