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문제를 논한다. 여기서는 어린이들의 초기 교육과정에서부터 시작해서 매스컴과 같은 인쇄물에 의한 권위주의 등이 개체성의 발달을 억압하는 요인이 되고 있음을 분석하고, 참다운 의미에서의 자유를 자발성에서 찾고 있다. 그러면 자발적 행동은 왜 자유의 문제에 대한 해답이 되는 것일까? 이미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소극적인 자유만으로는 개인은 고독한 존재로 머물게 되며 개인과 세계와의 거리는 소원해지고 믿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그 자아는 약화되어 끊임없이 위협을 받게 된다. 이에 비해 자발적 활동은 인간이 자아의 완전성을 희생시킴 없이 고독의 공포를 극복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왜냐하면 사람은 자아를 자발적으로 실현시킴으로써 자기 자신을 외부세계-인간, 자연, 그리고 자기자신-에 새롭게 결부시키기 때문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은희경의 ‘아내의 상자’ - 소설속에 나타난 인물의 성격과 상징을 중심으로
[우수 독후감] 호르몬의 역할
드라마 속에 나타난 노인들의 모습은 어떻게 비춰지는가?
텔레비전사피엔스 SECTION2 미디어와 인간
인도의 사회 문화의 특성에 대하여
북한 핵실험의 정치․경제적 영향성 분석과 발전방향 모색
청소년 약물남용과 실태, 대책,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약물남용 청소년에 대한 개...
[문학이란 무엇인가] 사르트르의 문학이란 무엇인가 서평
멋진 남편을 만든 아내와 가정 내의 학대 문제
[리비아혁명]리비아 민주화 운동의 모든 것 - 리비아 내전의 발생 배경과 주요 사건 및 과정,...
서울 1964년 겨울에서 나타난 사회적 양상
1930년대 모더니즘 시에 대해서
시인론 - 박제가 된 천재 ‘이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