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그 하나는 성공의 속성에 있어서 성별의 차이에 관한 것이었고(Lo`chel, 1983), 다른 하나는 인과적 체계의 발달과 관련된 도덕적 판단에 관한 연구였다(Fincham, 1982). 청소년기에 일어나는 인지 변화와 사회적 역할의 변화를 생각해 볼 때, 청소년기는 고찰해 볼 필요가 있는 중요한 영역임에 틀림없다. 사회적 속성의 특성을 탐구하여, 특히 사회현상의 설명이 논리적 추론의 산물이 아니라 집단의 일원과 이념이 요구하는 것에 따라 이미 형성되어 있는 것이라고 보는 학자의 견해도 있다(Jaspars, 1985). 이 정도에 이르기까지 속성은 사회적 제표현들과 변함없이 결부되어져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어떤 사건을 설명할 때 그들이 자신들의 상황적, 문화적 제한으로부터 자유로우리라고 기대해서는 안된다. 사실상 무직의 속성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Furnham, 1982; Breakwell, 1986), 그 속성들이 장치 체제, 일의 가치, 직업의 신분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들에 대한 속성은 사회적 영향 과정(social influence process)에 의해 형성되어진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그 속성이 정체성 과정에 도미노 효과를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속성은 자기규정과 자아 평가를 지지하거나 그에 도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무직 청소년이 실업을 자신이 나태하거나 우둔한 탓으로 돌릴 때 그는 자신을 비난하고 있을 것이며 자부심을 상실하였기 때문에 그러한 속성을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Ⅴ. 결론
지금까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의 발달에 대하여 고찰하기 위하여 자아정체감의 용어를 비롯하여 자아개념 발달에 관련되는 요인과 청소년기에 있어서 자부심과 정체성 위치에 대한 이론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자아정체감을 한 마디로 정의내리기는 어려운 일이다. 자아정체감에는 청소년기 전반에 걸쳐서 개발되는 복잡한 구조와 과정, 역할, 법칙, 신분상태,, 자아 동인과 정체성이 포함될 것이다. 정체성은 자기(self), 자아(ego), 형식적 작동능력(formal operational abilities)의 세 가지 하위 개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자기’는 한 개인이 정체성을 가지고 있을 때 그 사람의 사고의 내용이며 ‘개인적인 독특한 의식’ 또는 ‘집단과의 연대의식’ 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즉 정체성은 한 인간은 다른 사람과 어떻게 같은지 또는 다른지에 대한 스스로의 의식을 말한다. 청소년기에 많은 변화가 전개되기 때문에 청소년들은 이러한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야 한다. 더욱이 청소년기에는 닥쳐오는 변화와 도전의 성격, 또 변화와 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개인의 능력이 다를 것이다. 그렇다면 청소년기는 평생 동안 유지되는 개인적, 사회적 정체성의 발달과 성숙한 기능의 유형을 요구하고 자극하는 인생의 첫 단계일 것이다. 반대로 청소년기의 변화와 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면 개인의 자아개념에 결함을 보이게 되어, 다음 단계의 발달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Ⅴ. 결론
지금까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의 발달에 대하여 고찰하기 위하여 자아정체감의 용어를 비롯하여 자아개념 발달에 관련되는 요인과 청소년기에 있어서 자부심과 정체성 위치에 대한 이론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자아정체감을 한 마디로 정의내리기는 어려운 일이다. 자아정체감에는 청소년기 전반에 걸쳐서 개발되는 복잡한 구조와 과정, 역할, 법칙, 신분상태,, 자아 동인과 정체성이 포함될 것이다. 정체성은 자기(self), 자아(ego), 형식적 작동능력(formal operational abilities)의 세 가지 하위 개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자기’는 한 개인이 정체성을 가지고 있을 때 그 사람의 사고의 내용이며 ‘개인적인 독특한 의식’ 또는 ‘집단과의 연대의식’ 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즉 정체성은 한 인간은 다른 사람과 어떻게 같은지 또는 다른지에 대한 스스로의 의식을 말한다. 청소년기에 많은 변화가 전개되기 때문에 청소년들은 이러한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야 한다. 더욱이 청소년기에는 닥쳐오는 변화와 도전의 성격, 또 변화와 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개인의 능력이 다를 것이다. 그렇다면 청소년기는 평생 동안 유지되는 개인적, 사회적 정체성의 발달과 성숙한 기능의 유형을 요구하고 자극하는 인생의 첫 단계일 것이다. 반대로 청소년기의 변화와 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면 개인의 자아개념에 결함을 보이게 되어, 다음 단계의 발달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추천자료
2010년 2학기 청소년인성교육및상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청소년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청소년상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동계계절시험 청소년상담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멀티미디어 강의 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8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