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교회사 10,11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세교회사 10,11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교회 회의 소집을 결정했다. 이 교회 회의를 통해서 교회의 폐단을 치유해 나갔다. 예를 들어서 주교구에서는 1년에 한번, 대주교구에서는 2년에 1번, 총회는 10년마다 1번씩 개최한다는 것이다. 카톨릭의 계산에 의하면 총회는 모두 21번 모인 것으로 되어있다. 총회는 10년에 한번씩 교회의 비숍들이 모여서 교회 개혁에 대해서 의논한다. 교황이 성직자를 임명하는 것을 반대하고, 고대 교회의 관례대로 투표에 의해서 결정하자고 주장하였다. 추기경의 숫자를 24명으로 고정시켰다. 어느 민족도 추기경의 숫자가 1/3을 넘지 못하도록, 한 민족이 독주하지 못하도록 했다. 지금은 추기경의 숫자가 120명쯤 된다. 추기경 직이 교황의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되었었던 것이다. 다음 교황청의 과세를 억제했다. 한마디로 교황권을 억제하고 약화시키려는 노력이었다. 교황은 이 회의를 깨뜨리기 위한 기회만을 엿보게 되었다. 이에 좋은 기회가 생겼다. 이슬람이 동로마 제국을 침입하게 된 것이었다. 그래서 동로마 제국이 다시 서방과 제휴할 필요가 있었다. 동방 교회의 대표들도 이 총회에 참석하기를 원해서 교황은 장소를 페라라로 결정해버렸다. 교황 나름대로는 동방 사람들과 의논해서 회의 장소를 옮기기로 했다는 명분이 있었다. 그러나 다수파는 바젤에 그대로 남고, 소수파는 교황을 따라 페라라로 그리고 다시 플로렌스로 옮겼다. 1439년 7월 교황청과 동방 교회가 연합을 선포하게 된다. 1054년 두 교회가 나누어졌는데 약 400년 만에 다시 합치는 것이었다. 우선 교황이 지배권을 갖는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교황은 동방 교회 총주교의 권한, 예배의 독특성, 사제의 결혼을 인정했다. 동방에서 양보를 해서 filioque를 인정은 한다. 그러나 신조에는 넣지를 않았다. 현재 이슬람의 침입을 당하고 있으므로 서방의 도움을 얻기 위해서 상당히 많은 부분을 동방 교회가 양보를 한 것이다. 여기에 대해서 에베소의 주교 마가 라고 하는 사람이 강력하게 반대를 했다. 이 회의가 끝난 후 돌아가서 마가는 동방 교회의 영웅이 되었다. 황제와 교황의 앞에서 자기의 입장을 말했기 때문이다. 결국은 동방 교회가 양분되게 되었다. 이것은 동방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1453년 동로마 제국이 멸망하면서 이 연합 선언이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바젤 회의(카톨릭에서는 총회에 넣지 않는다)는 실패로 끝나게 되었다. 이때부터 교황 주의가 승리하고, 총회 주의가 패배하게 되었다. 1460년 Pius 2세는(Pius는 경건한 자라는 뜻이다. Pius라는 이름을 가진 교황들은 아주 보수적이었다) 1460년 Execrabilis라는 교서를 발표하였다. 내용은 '교황이 아니라 총회에 상소해야 한다는 것은 반역의 정신이고 저주받을 악폐이다'는 것이다. cf)신비주의는 내면화이고 위클리프 후스 등은 외향화로서 민주주의적 입장이다. 총회 주의는 카톨릭 내에서의 보수적 개혁 운동이며 귀족주의적 입장이다. 4. 농민운동(독일을 중심으로 일어났던 농민운동) ① Hans B hm(종교 사회주의 운동) 그는 축제 때 악기를 연주하는 악사였다. 그는 성모 마리아로부터 계시를 받았다고 전해진다. 1476년 부터 독일의 Niklashausen에서 종교 사회주의 운동을 일으켰다. 교황과 성직자를 비난하고 황제도 비난하였다. '황제는 영주, 세리, 가난한 자들의 압제자들을 비호하는 악한이다. 앞으로 황제를 비롯해서 모든 제후들이 일일 노동을 해야 할 날이 올 것이다.'라고 주장하면서 각종 세금 납부를 거부하였다. 함께 나누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실패하였다. ② Bundschuh(끈을 매는 농민화)운동 1493년 엘사스에서 일어났다. 도시 사람 중 가난한 자들이 참여했다. 황제, 교회 법률을 폐지하라고 주장하였다. 교회 재산을 축소, 사제들의 권력을 억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Joss Fritz는 온건한 사람으로 모든 사제를 공격하지 않고 고위 성직자만 공격하여 사제들, 농민들, 사제들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 이러한 운동은 1517년 루터가 종교개혁을 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루터가 종교개혁을 일으키자 이러한 농민운동은 소강 상태로 들어갔다. 지금까지 자기들이 말하려 했던 것을 루터가 다 말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루터가 말한 것은 이 사람들이 말한 것과는 달랐지만 얼핏 보기에는 비슷했다. 그러나 차츰 루터의 종교개혁의 방향이 자신들과 다르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1524년부터 농민 전쟁이 다시 폭발적으로 일어나게 되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22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