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례관리의 과정을 종결하되, 종결 이후의 미래계획수립을 원조하고 지속적인 사후관리
2) J.R.Ballew &G. Mink(1986)의 사례관리의 단계
개입
신뢰감을 형성함
역할들을 명확하게 함
기대에 대해 협상함
사정
욕구와 자원의 균형을 맞춤
자원활용에 방해가 되는 것을 확인
클라이언트를 강화시킴
계획
목표를 확인함
목표를 구체화시킴
행동계획을 발전시킴
자원에 접근
클라이언트와 자원을 연결함
필요한 경우 협상하고 옹호함
조정
공동의 목표에 대해 동의를 얻음
클라이언트와 원조자들을 지지함
원조를 위한 노력들을 조직화함
종결
결과에 대해 평가함
종결하기 위한 신호를 발견함
종결로 이어짐
3) 사례관리의 예
도라와 샘은 자신의 집에 살고 있었다. 샘은 심한 관절염에 걸려 있어서 도라는 샘의 옷 입기와 목욕을 도왔다. 어느날 샘을 돕다가 도라가 미끄러져 넘어져서 허리를 다쳤다. 샘은 가까이 살고 있는 딸에게 도와 달라고 전화를 했다. 딸은 아버지께 급히 911로 전화를 하라고 했다. 도라는 병원에서 응급처치와 교정치료를 받은 후 사례관리 기관으로부터 연락이 올것이라는 지시를 받고 집으로 돌아왔다.
도라와 샘은 공식적인 장기보호 서비스를 받기 시작했다.....(중략)...
장기보호 사례관리는 도라와 샘처럼 오랜 기간에 걸쳐서 다양한 형태의 보호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위해 계획된 것이다. 욕구가 바뀜에 따라 이런 사람들은 적절한 서비스를 찾기 위해 시설, 지역사회, 또는 자신의 집으로 제공되는 건강 및 사회적 서비스가 결합된 더 긴 장기보호 체계 속으로 옮겨가게 될 것이다. ...(중략)... 사례관리 서비스는 보호체계를 통해 의존적인 사람들을 돕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만약 그 체계가 계획된 대로 가동되면 도라와 샘은 사례관리자의 지도하에 많은 케어 제공자들로부터 원조를 받으면서 자신의 집에서 독립된 생활을 유지할 것이다.
7. 사례관리서비스의 제한점
- 지역사회에 노인들을 위한 서비스가 다양하지 않다
- 노인만을 대상으로 하는 독립된 서비스 전달체계가 드물다.
- 사회복지기관의 사회복지사들은 업무량이 너무 많아서 사례관리 대상 노인들에게 할애할 수 있는 절대시간이 부족
- 사례관리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이 부족
- 지역사회의 복지기관에 사례관리에 대해 수퍼비젼을 줄 수 있는 전문가가 없다.
- 지역사회의 자원들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기관끼리의 연계가 미흡
2) J.R.Ballew &G. Mink(1986)의 사례관리의 단계
개입
신뢰감을 형성함
역할들을 명확하게 함
기대에 대해 협상함
사정
욕구와 자원의 균형을 맞춤
자원활용에 방해가 되는 것을 확인
클라이언트를 강화시킴
계획
목표를 확인함
목표를 구체화시킴
행동계획을 발전시킴
자원에 접근
클라이언트와 자원을 연결함
필요한 경우 협상하고 옹호함
조정
공동의 목표에 대해 동의를 얻음
클라이언트와 원조자들을 지지함
원조를 위한 노력들을 조직화함
종결
결과에 대해 평가함
종결하기 위한 신호를 발견함
종결로 이어짐
3) 사례관리의 예
도라와 샘은 자신의 집에 살고 있었다. 샘은 심한 관절염에 걸려 있어서 도라는 샘의 옷 입기와 목욕을 도왔다. 어느날 샘을 돕다가 도라가 미끄러져 넘어져서 허리를 다쳤다. 샘은 가까이 살고 있는 딸에게 도와 달라고 전화를 했다. 딸은 아버지께 급히 911로 전화를 하라고 했다. 도라는 병원에서 응급처치와 교정치료를 받은 후 사례관리 기관으로부터 연락이 올것이라는 지시를 받고 집으로 돌아왔다.
도라와 샘은 공식적인 장기보호 서비스를 받기 시작했다.....(중략)...
장기보호 사례관리는 도라와 샘처럼 오랜 기간에 걸쳐서 다양한 형태의 보호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위해 계획된 것이다. 욕구가 바뀜에 따라 이런 사람들은 적절한 서비스를 찾기 위해 시설, 지역사회, 또는 자신의 집으로 제공되는 건강 및 사회적 서비스가 결합된 더 긴 장기보호 체계 속으로 옮겨가게 될 것이다. ...(중략)... 사례관리 서비스는 보호체계를 통해 의존적인 사람들을 돕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만약 그 체계가 계획된 대로 가동되면 도라와 샘은 사례관리자의 지도하에 많은 케어 제공자들로부터 원조를 받으면서 자신의 집에서 독립된 생활을 유지할 것이다.
7. 사례관리서비스의 제한점
- 지역사회에 노인들을 위한 서비스가 다양하지 않다
- 노인만을 대상으로 하는 독립된 서비스 전달체계가 드물다.
- 사회복지기관의 사회복지사들은 업무량이 너무 많아서 사례관리 대상 노인들에게 할애할 수 있는 절대시간이 부족
- 사례관리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이 부족
- 지역사회의 복지기관에 사례관리에 대해 수퍼비젼을 줄 수 있는 전문가가 없다.
- 지역사회의 자원들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기관끼리의 연계가 미흡
추천자료
[노인요양보장제도][노인요양보장정책][노인복지]노인요양보장제도(노인요양보장정책)의 방향...
노인건강관리사업 (노인, 노인방문건강관리사업, 일본노인방문간호, 호주노인가정방문지원, ...
노인일자리사업 보고서(근로노인, 노인인력활용방안, 노인경제활동, 노인복지서비스, 노인고...
노인일자리사업 보고서(노인일자리사업문제, 고령화시대노인문제, 노인일자리정책, 고령자고...
청소년자살과 노인자살 자살사례 및 자살개입방법(청소년자살예방, 노인자살예방, 자살사례개...
노인복지론4공통)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에 대해 인터뷰하고, 한국 노인복지 정책의 방향...
노인복지론4공통)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에 대해 인터뷰하고, 한국 노인복지 정책의 방향...
노인복지론4공통)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에 대해 인터뷰하고, 한국 노인복지 정책의 방향...
노인복지론 공통)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에 대해 인터뷰하고, 한국 노인복지 ...
노인복지론2017 -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에 대해 인터뷰하고, 한국 노인복지 정책의 방향...
노인복지론4공통)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에 대해 인터뷰하고, 한국 노인복지 정책의 방향...
사회복지실천론 - 1차현장 중 자신의 지역내에 있는 종합복지관, 노인복지시설, 장애인복지시...
노인복지론4공통)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에 대해 인터뷰하고, 한국 노인복지 정책의 방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