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SRV의 배경
1) 1945년 이후의 장애인복지서비스의 개발과 발전
2) 정상화(Normalization)
3) SRV의 형성배경
2. SRV의 구성
3. 가치절하와 SRV이론
4. SRV의 문제해결 전략
1) 무의식(Prevalence of Unconsciousness)의 의식화
2) 일탈극복을 위한 역할(Role in Deviancy-Unmaking)의 중요성
3) 취약성(Vulnerability)의 예방
4) 발달모델(Developmental Model)의 지향
5) 긍정적 모방과 모델링(Imitation and Modeling)의 추구
6) 이미지와 상징(Imagery and Symbolism)의 개선
III, 결론
II. 본론
1. SRV의 배경
1) 1945년 이후의 장애인복지서비스의 개발과 발전
2) 정상화(Normalization)
3) SRV의 형성배경
2. SRV의 구성
3. 가치절하와 SRV이론
4. SRV의 문제해결 전략
1) 무의식(Prevalence of Unconsciousness)의 의식화
2) 일탈극복을 위한 역할(Role in Deviancy-Unmaking)의 중요성
3) 취약성(Vulnerability)의 예방
4) 발달모델(Developmental Model)의 지향
5) 긍정적 모방과 모델링(Imitation and Modeling)의 추구
6) 이미지와 상징(Imagery and Symbolism)의 개선
III, 결론
본문내용
. 이러한 상징의 예들은 야수성, 질병과 죽음, 무력함, 악, 범죄, 무가치, 무능력, 하찮음, 조소 등이다. 이러한 이미지 연상은 무의식적으로 일어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역할기대와 사람들에 대한 가치평가에 큰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가치절하를 받고 있는 특정 사람들에 대한 많은 이미지 연상은 오랜 세대를 통하여 전승되어 온 것이다. 이러한 예들은 맹인 거지와 검은 안경, 게으른 원주민, 수염을 깎지 않은 추한 범죄자 등이다. 이러한 이미지의 작용으로 인하여 한번도 전형적인 범주의 사람을 보지 못한 사람의 경우에도 실제와 같은 연상을 하게 된다.
정상화는 사회적 가치절하를 받은 사람들의 이미지가 향상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이는 가치절하를 받은 사람들에 관한 이미지와 관련이 있는 모든 대인서비스의 요소들은 긍정적인 이미지를 전달하는 것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III, 결론
SRV에서는 이상의 가치와 이슈에 근거해서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의 평가도구로써 구체화된 척도(PASSING)를 발전시켰기 때문에 서비스를 기획하고 평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였다.
구체적으로 SRV가 장애인복지에 미칠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측면에서의 함의는: 장애인복지 분야에서 중요한 가치와 주제로 논의되는 정상화와 사회통합의 원리가 그동안 규범적 차원에서 제시되었으나, SRV를 통해 사회과학 이론과 관련되어 보다 정교화되어 제시되었다. 특히, 이론화된 가치전체와 원리들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장애인복지 실천과정(정책, 제도, 서비스 기획, 실행, 평가)과 총체적으로 연결되도록 방법론적인 틀을 제시하였다.
둘째, 실천적 측면에서 각 분야에 미치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1) 장애인복지 정책 및 제도 분야에서 일부 장애인들의 필요에 따라 일반사람들과 분리된 형태의 단편적이고 구호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기보다는 장애인의 삶과 생활주기를 고려한 총체적인 재활체계를 형성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였다.
2) 장애인복지 서비스 분야에서 난제의 하나였던 서비스 실천에 대한 평가라는 부분에 대해 서비스의 질 개선과 질 평가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3) 장애인복지 운동 분야의 실천방향을 동정적이고 시혜적인 시각을 강조하기보다는 장애와 장애인에 대해 긍정적인 사회적 해석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 개발에 초점을 두도록 설정하였기 때문에 장애인의 이미지 개선과 능력 고양에 대한 욕구 충족에도 기여한다.
정상화는 사회적 가치절하를 받은 사람들의 이미지가 향상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이는 가치절하를 받은 사람들에 관한 이미지와 관련이 있는 모든 대인서비스의 요소들은 긍정적인 이미지를 전달하는 것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III, 결론
SRV에서는 이상의 가치와 이슈에 근거해서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의 평가도구로써 구체화된 척도(PASSING)를 발전시켰기 때문에 서비스를 기획하고 평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였다.
구체적으로 SRV가 장애인복지에 미칠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측면에서의 함의는: 장애인복지 분야에서 중요한 가치와 주제로 논의되는 정상화와 사회통합의 원리가 그동안 규범적 차원에서 제시되었으나, SRV를 통해 사회과학 이론과 관련되어 보다 정교화되어 제시되었다. 특히, 이론화된 가치전체와 원리들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장애인복지 실천과정(정책, 제도, 서비스 기획, 실행, 평가)과 총체적으로 연결되도록 방법론적인 틀을 제시하였다.
둘째, 실천적 측면에서 각 분야에 미치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1) 장애인복지 정책 및 제도 분야에서 일부 장애인들의 필요에 따라 일반사람들과 분리된 형태의 단편적이고 구호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기보다는 장애인의 삶과 생활주기를 고려한 총체적인 재활체계를 형성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였다.
2) 장애인복지 서비스 분야에서 난제의 하나였던 서비스 실천에 대한 평가라는 부분에 대해 서비스의 질 개선과 질 평가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3) 장애인복지 운동 분야의 실천방향을 동정적이고 시혜적인 시각을 강조하기보다는 장애와 장애인에 대해 긍정적인 사회적 해석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 개발에 초점을 두도록 설정하였기 때문에 장애인의 이미지 개선과 능력 고양에 대한 욕구 충족에도 기여한다.
추천자료
[사회][사회집단][사회역할][사회조사][사회규제][사회적 규제][건강한 사회와 이혼][건강한 ...
발달이론에서 행동주의 학습이론, 생득적 언어발달이론, 사회학습이론, 동물생태학이론, 인지...
[사회복지실천론] 심리사회적모델의 이론적 기반과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 에릭슨의 심리사...
인간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주요이론인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에 따라 자신의 생애발달을 ...
인간행동과사회환경3B) 행동주의 이론과 사회적 학습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C형] 사회적 학습이론과 행동주의 이론을 비교하고 이론적 공통점과 상...
[인간행동과사회환경 C형] 사회적 학습이론의 행동주의적 요소와 차별화 요소에 대하여 설명 ...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역할갈등의 내용을 기술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갈등관...
간호이론=나이팅게일의 이론을 적용하여 작성하시오. 1) 주변의 만성질환자 1인을 선정하여 ...
간호이론=압델라의 이론을 적용하여 작성하시오. 1) 주변의 만성질환자 1인을 선정하여 인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