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재구성 (cognitive reframing) , 인지행동치료
; 환자가 자신의 술에 대한 버릇이나 술과 관련된 위험 상황에서 떠오르는 자동사고(automatic thoughts)가 있다. 이런 자동 사고는 환자가 쉽게 술을 마시게 유도하고 술을 마심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자동 사고를 일으키는 환자가 갖고 있는 이런 왜곡된 기본적인 인지의 틀을 바꾼다.
→ 자신이 신세를 많아진 삼촌의 생신 날 가야한다. 삼촌은 술을 굉장히 좋아 하고, 평소에도 다른 사람에게 술을 잘 권한다.
③ 생활을 균형 있게 조절하는 전략(life style balancing strategies)
→ 일마치고 혼자 누워 있으면 이혼한 부인과 아이들 생각에 괴롭다. : 가능한 한 혼자 있는 시간을 줄인다.
★ 기관의 성공적 운영사례
Center Point, Inc : 알코올 및 약물남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 포괄적 서비스를 일련의 중독문제를 가진 사람들에게 제공한다. center point는 환자가 사회 통합적 기술들을 발달시키고 존엄성과 자긍심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는 심리 사회적, 행동적,동료지지, 임상적 개입들의 결합으로 해독, 거주(입원), 외래서비스를 제공한다.
Martrix Insitute on Addictions : 캘리포니아의 로스앤젤리스에 있는 기관으로 외래치료자의 생존모델을 발달시키고 적극적이고, 구조화된 연속적 치료기법들을 사용하며 가족과 집단치료, 약물교육, 재발예방, 12단계 활동 그리고 약물 사용모니터에 서비스 초점을 둔다.
Arapahoe House : 토론토, 콜로라도에 있으며, 해독, 거주, 낮 치료, 외래치료 등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Phoenix House : 국가기관으로 뉴욕, 뉴저지, 캘리포니아 등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알코올중독 및 약물 남용치료와 예방서비스를 포괄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공식적인 약물 남용자가 사회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교육적, 직업적, 의학적, 사회적 서비스를 포괄적으로 제공한다.
맺는 말.
국내 알코올 중독 관련현황을 살펴보면 현재까지는 입원위주의 치료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고 아직까지 입원치료조차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는 알코올 중독자가 더 많다. 따라서 지역사회 재활을 위한 과제를 먼저 풀어야 할 것이다.
첫째,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재활서비스 전달체계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까지는 입원위주의 치료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직까지 입원치료조차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는 알코올중독자가 더 많다. 앞으로 상당기간 동안은 현재의 추세대로 정신과병실에서 차지하는 알코올중독자 병상점유율이 더 증가될 전망이다. 그러나 입원기간이 장기화되고 잦은 재발로 인한 회전문현상이 심각한 실정이다. 반면에 연계된 지역사회재활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둘째, 각 지역 사회 특성을 고려한 알코올 중독 정보 밑 재활센터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 인구 5만 명당 센터가 있으며 그 기능은 지역사회내 알코올중독에 대한 정보교환, 알코올관련환자의 조기발견, 적절한 치료센터에 의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독일의 경우도 DSH 가 유사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정보부재나 각 기관간의 연계성 부족으로 중독자 및 가족들의 자원접근성이 절대적으로 떨어져 있다. 특히 서울과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의 서비스 접근성은 더욱 낙후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나 사회복지, 보건소 등을 활용하여 지역실정에 적합한 알코올정보 및 재활센타를 설치한다면 지역에 숨겨진 알코올중독자나 문제음주자의 초기발견과 적절한 의뢰, 치료후 지역사회;보호(care)의 중요한 매계체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 중심의 재활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우리나라 알코올중독자들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기하고 있다고 추정되는 만성중독자가 장기간 병원이나 시설 내에서 거주하거나 입. 퇴원을 반복하는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이들을 위한 중간집이나, 그룹홈, 회복의 집 등과 같은 중간단계시설이나 프로그램 개발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넷째, 각 프로그램간의 상호연계성 및 전문성 향상이 필요하다. 현재 시행중인 치료 및 재활프로그램들 사이에는 상호연관성이 거의 없고, 알코올중독의 문제정도에 따른 표준화된 프로그램이 없다. 이에 따라 음주문제와 관련한 다양한 종류의 문제들 (예: 성학대, 강간, 도박, 배우자 학대 등)에 대한 전문적 개입이 거의 없고, 중독자재활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단주유지기술(sobriety maintenance skill) 및 재발예방프로그램(relapse prevention program)에 대한 접근이 절대적으로 빈약하다. 따라서 연령, 중독의 정도, 관련 문제의 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프로그램의 연계 개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다섯째, 예방에서 재활까지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연계망 구축이 시급하다. 알코올 문제는 연령, 음주량, 음주기간, 관련문제 및 손상 면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아직까지 매우 미흡한 서비스 개발과 연계가 시급하다. 따라서 학교정신건강관계자 및 교사, 사회복귀시설, 사회복지관, 등 복지 시설, 보건소 및 보건지소 등 공공기관, 병원 지역사회정신보건 센터 및 사회복귀시설, 민간상담기관, 종교기관 등 관련 물적, 인적자원들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망의 구성방안이 필요하다.
끝으로 알코올중독전문가 양상이 필요하다. 외국의 경우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기존의 정신의학, 사회복지, 심리, 간호 등 관련학문을 전공한 전문인들을 약물중독 전문가 훈련과정(3,6,9,12개월)에 연수 시키거나 관련교과목 개설 등으로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전문인력의 부재는 필연적으로 서비스의 질적 저하와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주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알코올중독전문가 양성을 위해 국내 관련과목이나 학과의 개설, 전문인들의 알코올중독 연구활돌의 적극적 지원, 기존의 정신의학자 및 정신보건전문요원(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정신보건간호사 )등 관련 전문인들을 위한 재보수교육 실시 등을 통한 포괄적이고 장기적인 대책이 절실하다.
; 환자가 자신의 술에 대한 버릇이나 술과 관련된 위험 상황에서 떠오르는 자동사고(automatic thoughts)가 있다. 이런 자동 사고는 환자가 쉽게 술을 마시게 유도하고 술을 마심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자동 사고를 일으키는 환자가 갖고 있는 이런 왜곡된 기본적인 인지의 틀을 바꾼다.
→ 자신이 신세를 많아진 삼촌의 생신 날 가야한다. 삼촌은 술을 굉장히 좋아 하고, 평소에도 다른 사람에게 술을 잘 권한다.
③ 생활을 균형 있게 조절하는 전략(life style balancing strategies)
→ 일마치고 혼자 누워 있으면 이혼한 부인과 아이들 생각에 괴롭다. : 가능한 한 혼자 있는 시간을 줄인다.
★ 기관의 성공적 운영사례
Center Point, Inc : 알코올 및 약물남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 포괄적 서비스를 일련의 중독문제를 가진 사람들에게 제공한다. center point는 환자가 사회 통합적 기술들을 발달시키고 존엄성과 자긍심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는 심리 사회적, 행동적,동료지지, 임상적 개입들의 결합으로 해독, 거주(입원), 외래서비스를 제공한다.
Martrix Insitute on Addictions : 캘리포니아의 로스앤젤리스에 있는 기관으로 외래치료자의 생존모델을 발달시키고 적극적이고, 구조화된 연속적 치료기법들을 사용하며 가족과 집단치료, 약물교육, 재발예방, 12단계 활동 그리고 약물 사용모니터에 서비스 초점을 둔다.
Arapahoe House : 토론토, 콜로라도에 있으며, 해독, 거주, 낮 치료, 외래치료 등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Phoenix House : 국가기관으로 뉴욕, 뉴저지, 캘리포니아 등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알코올중독 및 약물 남용치료와 예방서비스를 포괄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공식적인 약물 남용자가 사회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교육적, 직업적, 의학적, 사회적 서비스를 포괄적으로 제공한다.
맺는 말.
국내 알코올 중독 관련현황을 살펴보면 현재까지는 입원위주의 치료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고 아직까지 입원치료조차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는 알코올 중독자가 더 많다. 따라서 지역사회 재활을 위한 과제를 먼저 풀어야 할 것이다.
첫째,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재활서비스 전달체계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까지는 입원위주의 치료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직까지 입원치료조차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는 알코올중독자가 더 많다. 앞으로 상당기간 동안은 현재의 추세대로 정신과병실에서 차지하는 알코올중독자 병상점유율이 더 증가될 전망이다. 그러나 입원기간이 장기화되고 잦은 재발로 인한 회전문현상이 심각한 실정이다. 반면에 연계된 지역사회재활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둘째, 각 지역 사회 특성을 고려한 알코올 중독 정보 밑 재활센터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 인구 5만 명당 센터가 있으며 그 기능은 지역사회내 알코올중독에 대한 정보교환, 알코올관련환자의 조기발견, 적절한 치료센터에 의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독일의 경우도 DSH 가 유사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정보부재나 각 기관간의 연계성 부족으로 중독자 및 가족들의 자원접근성이 절대적으로 떨어져 있다. 특히 서울과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의 서비스 접근성은 더욱 낙후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나 사회복지, 보건소 등을 활용하여 지역실정에 적합한 알코올정보 및 재활센타를 설치한다면 지역에 숨겨진 알코올중독자나 문제음주자의 초기발견과 적절한 의뢰, 치료후 지역사회;보호(care)의 중요한 매계체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 중심의 재활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우리나라 알코올중독자들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기하고 있다고 추정되는 만성중독자가 장기간 병원이나 시설 내에서 거주하거나 입. 퇴원을 반복하는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이들을 위한 중간집이나, 그룹홈, 회복의 집 등과 같은 중간단계시설이나 프로그램 개발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넷째, 각 프로그램간의 상호연계성 및 전문성 향상이 필요하다. 현재 시행중인 치료 및 재활프로그램들 사이에는 상호연관성이 거의 없고, 알코올중독의 문제정도에 따른 표준화된 프로그램이 없다. 이에 따라 음주문제와 관련한 다양한 종류의 문제들 (예: 성학대, 강간, 도박, 배우자 학대 등)에 대한 전문적 개입이 거의 없고, 중독자재활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단주유지기술(sobriety maintenance skill) 및 재발예방프로그램(relapse prevention program)에 대한 접근이 절대적으로 빈약하다. 따라서 연령, 중독의 정도, 관련 문제의 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프로그램의 연계 개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다섯째, 예방에서 재활까지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연계망 구축이 시급하다. 알코올 문제는 연령, 음주량, 음주기간, 관련문제 및 손상 면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아직까지 매우 미흡한 서비스 개발과 연계가 시급하다. 따라서 학교정신건강관계자 및 교사, 사회복귀시설, 사회복지관, 등 복지 시설, 보건소 및 보건지소 등 공공기관, 병원 지역사회정신보건 센터 및 사회복귀시설, 민간상담기관, 종교기관 등 관련 물적, 인적자원들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망의 구성방안이 필요하다.
끝으로 알코올중독전문가 양상이 필요하다. 외국의 경우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기존의 정신의학, 사회복지, 심리, 간호 등 관련학문을 전공한 전문인들을 약물중독 전문가 훈련과정(3,6,9,12개월)에 연수 시키거나 관련교과목 개설 등으로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전문인력의 부재는 필연적으로 서비스의 질적 저하와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주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알코올중독전문가 양성을 위해 국내 관련과목이나 학과의 개설, 전문인들의 알코올중독 연구활돌의 적극적 지원, 기존의 정신의학자 및 정신보건전문요원(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정신보건간호사 )등 관련 전문인들을 위한 재보수교육 실시 등을 통한 포괄적이고 장기적인 대책이 절실하다.
추천자료
알콜의 중독과 영향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통한 컴퓨터 게임중독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및 가족관계 향상...
알콜 중독
알콜 중독에 관하여
알콜 중독
[알코올 중독][알콜 중독][알코올 의존증][알콜 의존증]알코올 중독(알콜 중독, 알콜 의존증)...
알코올 중독자와 정신질환자 가족의 간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가족상담사례(가정폭력, 외도, 이혼, 자녀문제, 알콜)에 대해서 한 가...
자신이 현재 해당되는 가족생활주기와 자신에게 관찰되어지는 중독의 유형 [가족생활주기]
알코올 중독 사례관리 (알콜 중독, 알코올 중독의 이론적 배경, 알코올 중독의 실태, 사례관리)
알콜문제와 사회복지대책(알코올중독, 알코올중독문제, 알코올중독예방, 사회복지사역할)
★평가우수자료★[중독(Addiction)의 모든 것] 알콜 중독, 카페인중독, 니코틴 중독, 게임중독,...
여가관리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여가관리]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회복을 위한 가족의 역할
[사회복지개론] 청소년 문제 중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발생원인과 인터넷 중독으로 인한 청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