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인기 있는 구단이 되었다. 스포츠 이외에도 운동선수들의 활동적이고 건강한 몸이 영화와 포스터에 자주 등장했는데, 특히 여성의 몸도 거리낌 없이 내보임으로써 여성의 힘과 봉사를 가사와 육아의 영역으로 전환시킨 당의 이데올로기에게 기여하도록 만들었다. 육아는 민족을 증식시키고 전쟁과 노동에 필요한 미래의 인력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6. 맺음말 나치즘은 예술 및 대중문화에 대해 명확한 규정을 내렸고 그것을 또한 정당화하고자 했다. 히틀러는 예술과 정치를 가장 가깝게 놓은 사람이었고, 예술을 통해 정치의 목적을 완성하고자 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나치시대에 예술은 정치의 도구였다. 특히 대중예술은 나치즘의 이데올로기인 인종주의에 크게 기여했다. 아니 한걸음 더 나아가 나치의 대중예술은 그 자체가 파시즘 지배체제의 독자적인 목표가 되고 말았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보면, 나치즘의 대중예술은 첫째, 개인인물을 내세우는 숭배문화를 통해서 정치를 개인화시켰고, 둘째 과거의 업적을 찬양함으로써 정치의 신비화시켰으며, 셋째, 대중 집회를 통해 정치를 제례(祭禮)화시켰고, 넷째, 여러 일상문화 및 노동문화를 통해 개인을 전체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