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의 정당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주의 정당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호주 정당제도의 기원
2. 호주 양당 정치의 전개
3. 정당관련 법적 규제 및 정당 세력 현황
4. 주요 정당 설립 배경 및 현황 : 노동당, 자유당, 국민당

본문내용

민당(National Party of Australia)
(창당 배경 및 略史)
o 1890년대에서 1910년대에 걸쳐 농민과 정착민 조합들이 농업이익보호를 위해 호주 전국에서 형성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1914년 서부호주에서 처음으로 Country Party가 창설된 데 이어, 1920년 연방 Country Party가 창당되었고 1922년 모든 州에서 Country Party가 조직화됨.
o Country Party는 의원선출 및 조직기반이 퀸스랜드, 뉴사우쓰웨일즈 및 빅토리아 州에 한정되었으나, 연방당 창당 초기(1920년)부터 계속하여 자유당과 연립, 농촌이익을 보호하는데 성공적인 성과를 거둠.
o 1960년대 들어 농촌의인구가 감소하면서 Country Party는 農村黨에서 전국적 보수정당으로의 변신을 도모하고, 1982년 이후 黨名도 국민당(Naional Party)로 바꾸게 됨.
- 1980년대 퀸스랜드州 차원에서 다수의 도시지역 의석 확보에 성공했으나, 전국적인 보수정당화 추진은 당내의 농촌기반 상실 우려와 연립파트너인 자유당의 반발에 부딪쳐 실패함.
(지지기반 및 강령 정책)
o 80년대에 도시 보수계층을 포섭하는 보수정당화 기도에도 불구, 국민당 지지기반은 여전히 농촌지역에 있으며, 특히 퀸스랜드州에서 강세를 보임.
- 자유당과 국민당 연합(Coalition)은 전체적으로 都-農 보수층 연합의 성격을 띰
o 反사회주의/親자본주의적이나, 체계적인 정치이념은 없으며, 농민이익은 자본화하고 농민손실은 사회화하려는 정책성향을 보임.
- 자유시장 지지, 반면 비경쟁적 농업 보호를 위한 보조금 관세지지
o 주요 정강정책으로는
- 사유재산제와 자유기업 보호, 생산?분배?유통의 사회화 반대
- 균형적인 국가 발전
- 효율적이고 유망한 1차산업 분야의 진흥
-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광업, 2차 3차 산업 촉진
- 강하고 안정적 사회의 기초로서 가족 보호
(자유당과의 항구적인 연정)
o 국민당은 퀸스랜드州에서 장기간 집권하였으나, 연방정부 차원에서는 자유당 집권시 연립파트너로서 내각에 참여해옴.
- 지지기반의 한계 때문에 앞으로도 단독으로 집권하거나 연립정권을 주도할 가능성은 희박하고, 자유당의 항구적인 연정 파트너로서 정권 운영에 참여 가능
* Queensland州에서는 1929-32, 1957-63, 1968-89, 1996-98간 집권
(정책결정, 조직, 당수 및 의원후보 선출) : 자유당과 유사함.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56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