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참조한 것이다.그것은 다큐멘터리 초상의 형식을 통해, 모델들의 정체성과 그가 사는 시대를 우회 없이 접근하려는 시도의 방법론이었다. 잔더는 베토벤 교향곡 해석의 최고 권위자인 푸르트뱅글러에게조차 19세기 다큐멘터리 초상이 발명한 형식적 코드를 차용하여 모델에대한 호의적 감정을 상승시키려는 시도를 배격했다.과학적 엄격함 속의 '진정한 증빙자료'증기기관과 사진의 발명은 시각적 경험이 급속도로 확장되기 시작한 19세기의 유럽에오리엔탈리즘이라 불리는 동방취미, 동방연구에 불을 당겼고, 사진으로 기록된 동방풍물은 오리엔탈리즘을 더욱 부추겼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19세기 중반 이후 대학에 학문으로 편입된 고고학은 1850년 이후 본격적으로 사진을 유적과 유물의 조사·연구를위한 실증적 자료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