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목차
목 차
Ⅰ. 서 론 1
A. 운영의 필요성 1
B. 운영 목적 2
Ⅱ. 이론적 배경 4
A.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요인 4
B. 예절 교육 방법 7
C. 생활 습관 형성 9
D. 선행 연구 분석 12
Ⅲ. 실태 분석 13
A. 실태 분석 내용 13
B. 분석 결과 14
Ⅳ. 운영 중점 17
A. 운영 중점 1 17
B. 운영 중점 2 17
Ⅴ. 운영의 설계 18
A. 대상 18
B. 기간 18
C. 운영 위원회 18
D. 운영 절차 및 방법 19
E. 운영의 제한 19
Ⅵ. 운영의 실제 20
A. < 운영 중점 1>의 실행 20
B. < 운영 중점 2>의 실행 32
Ⅶ. 운영에 대한 평가 66
A. 아동의 예절 생활 습관 형성 66
B. 가정에서의 예절 교육 74
C. 예절 지도 자료에 대한 평가 74
Ⅷ. 결론 및 제언 77
A. 결론 77
B. 제언 79
※ 참 고 문 헌 80
Ⅰ. 서 론 1
A. 운영의 필요성 1
B. 운영 목적 2
Ⅱ. 이론적 배경 4
A.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요인 4
B. 예절 교육 방법 7
C. 생활 습관 형성 9
D. 선행 연구 분석 12
Ⅲ. 실태 분석 13
A. 실태 분석 내용 13
B. 분석 결과 14
Ⅳ. 운영 중점 17
A. 운영 중점 1 17
B. 운영 중점 2 17
Ⅴ. 운영의 설계 18
A. 대상 18
B. 기간 18
C. 운영 위원회 18
D. 운영 절차 및 방법 19
E. 운영의 제한 19
Ⅵ. 운영의 실제 20
A. < 운영 중점 1>의 실행 20
B. < 운영 중점 2>의 실행 32
Ⅶ. 운영에 대한 평가 66
A. 아동의 예절 생활 습관 형성 66
B. 가정에서의 예절 교육 74
C. 예절 지도 자료에 대한 평가 74
Ⅷ. 결론 및 제언 77
A. 결론 77
B. 제언 79
※ 참 고 문 헌 80
본문내용
9
45
19.5
8
3.6
5
2.0
231
100.0
교 사
7
70.0
2
20.0
1
10.0
0
0.0
10
100.0
학 부 모
98
67.6
38
25.7
3
2.2
7
4.5
146
100.0
계
278
70.8
85
21.7
12
5.3
12
2.2
387명
100.0
2. 학부모용 지도 자료
본교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가정에서 어린이들의 예절 생활 지도에 사용되고 있는 자료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부모 지도 자료, 어린이 예절본, 가정 통신문에 대하여 도움이 된다는 반응(85.2%)이 매우 높았다.
구 분
아 주 도움됨
약 간 도움됨.
보통임
미흡함
아 주 미흡함
계
비 고
N
%
N
%
N
%
N
%
N
%
N
%
학 부 모
지도 자료
64
43.8
51
34.9
31
21.2
0
0.0
0
0.0
146
100.0
가정 통신
82
56.2
46
31.5
12
8.2
4
2.7
2
1.4
146
100.0
어린이 예절본
96
65.8
34
23.3
9
6.0
6
4.1
0
0.0
146
100.0
종 합
80.7
55.3
43.7
29.9
17.3
11.9
3.3
2.3
0.7
0.0
146
100.0
3. 교수·학습 자료
본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어린이 예절본, 인성 지도 프로그램, V.T.R Tape, 예절실 등의 예절 지도 자료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도움이 되었다.’는 반응은 ‘어린이 예절본’이 8명으로 학급에서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성 프로그램이나 V.T.R Tape은 다른 기관에서 개발된 자료로서 본교에서 그대로 활용하기에는 ‘미흡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본교 어린이들이 직접 참여하는 자료를 만들어 활용할 필요성이 있었다.
구 분
도움이 되었다
보통이다
미흡하다
계
비 고
N
N
N
N
어린이 예절본
8
1
1
10
인성 프로그램
1
3
6
10
VTR TAPE
2
1
7
10
예 절 실
3
5
2
10
종 합
3.25
2.5
4.0
10
Ⅷ. 결론 및 제언
A. 결 론
1. 예절 생활 지도 자료 제작·활용
a. 개인, 가정, 사회·국가 예절에 대한 ‘어린이 예절본’을 제작하여 활용한 결과 아동들이 예절 실천 내용과 방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고, 이를 실천하려는 의욕을 높일 수 있었으며, 이를 교과 관련 지도에도 활용하여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b. 자녀와의 대화 요령, 기본 예절, 전통 예절에 대한 학부모용 지도 자료를 활용한 결과 학부모들이 예절 지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예절 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가정 교육이 활성화되었다.
c. 생활 지도, 행동 수정, 수업 모형 등에 대한 교사용 연수 자료를 제작·활용함으로써 교사들이 생활 지도에 대한 이론을 정립할 수 있었으며 어린이들의 예절 생활 지도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d. 예절실을 설치하고 전통 예절과 현대 예절을 익힐 수 있는 실물, V.T.R Tape, 도서 등을 갖추어 예절 생활 실천의 장을 마련한 결과 어린이들이 예절 생활을 체득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2. 교과 및 특별 활동
a. 교과 관련 지도와 평가시에 실천 위주의 예절 교육을 강화한 결과 어린이들의 예절 생활 태도와 습관 형성에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b. 학교 행사와 관련한 예절 지도 결과 지역 주민으로부터 호응을 얻었으며, 주민들의 예절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다.
c. 명상의 시간, 봉사 활동, 인성 프로그램 적용 등 다양한 특별 활동의 운영으로 아동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한 결과, 예절 생활의 실천에 많은 향상이 있었다.
3. 가정과의 연계 지도
a. 담임 교사의 편지, 가정 통신문, 개별 통지문 등에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예절 지도 내용과 가정에서 협조할 사항 등을 안내한 결과 가정에서도 지속적으로 예절 지도가 이루어 졌다.
b. 학부모회를 통한 연수 활동, 담임과의 대화, 개별 생활 카드 확인 등의 활동 기회를 가짐으로써 아동의 예절 및 생활 지도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과 아동에 대한 상담 기회가 증가하여, 가정이 함께 참여하는 예절 교육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학부모의 참여 폭을 넓힐 필요가 있었다.
c. 가정 신문 만들기, 가훈 전시회, 예절 생활 실천 평가 등 학교 교육 활동에 학부모가 직접 참여함으로써 가정에서 모범을 보이고 솔선하는 가정 교육 풍토가 조성되었다.
4. 예절 생활의 습관화
a. 학교와 가정이 협력하여 지속적으로 예절을 지도한 결과, 많은 어린이들이(86.6%) 앞으로도 예절을 더욱 잘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b. 아동들 자신의 예절 생활이 전보다 나아졌다고 생각하는 어린이가 증가(57.6%)하였다.
c. 어린이들의 예절 생활을 분석한 결과 ‘인사하기’, ‘전화 예절’, ‘정직’, ‘언어 생활’, ‘효도’, ‘접대 예절’, ‘공중 도덕’, ‘질서 예절’ 등에서 뚜렷한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d. 앞으로 더욱 힘써 지도할 요소는 ‘편지 쓰기’, ‘생활 반성’, ‘친척간의 예절’, ‘가정 의례’, ‘봉사하기’, ‘애국가 예절’ 등으로 나타났다.
B. 제 언
1.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예절 지도 프로그램과 자료의 개발이 있어야 겠다.
2. 어린이들의 성격이나 행동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자료의 개발이 요망된다.
3. 가정뿐만 아니고 지역 사회와 연계하여 의도적으로 예절 생활 실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아동들의 예절 생활 습관 형성에 도움을 주어야 하겠다.
4. 보다 효과적인 어린이들의 생활 지도를 위해서는 초등 학교에도 전문성을 지닌 상담 교사와 상담실 등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참 고 문 헌
김남정, 인간과 교육의 탐색, 서울:성원사, 1992
김언주, 신교육심리학, 서울:문음사, 1992
김충기, 생활지도와 상담, 서울:교육과학사, 1992
이돈희 외, 교육학용어사전, 서울:하우, 1994
이상섭 외 1인, 인간과 교육, 서울:형설출판사, 1994
이성진 외 1인, 행동수정의 원리, 서울:교육과학사, 1988
조복희, 발달심리의 연구법, 서울:교육과학사, 1990
최정훈 외 5인, 인간 행동의 이해, 서울:법문사, 1994
홍숙기, 성격심리학, 서울:박영사, 1994
45
19.5
8
3.6
5
2.0
231
100.0
교 사
7
70.0
2
20.0
1
10.0
0
0.0
10
100.0
학 부 모
98
67.6
38
25.7
3
2.2
7
4.5
146
100.0
계
278
70.8
85
21.7
12
5.3
12
2.2
387명
100.0
2. 학부모용 지도 자료
본교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가정에서 어린이들의 예절 생활 지도에 사용되고 있는 자료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부모 지도 자료, 어린이 예절본, 가정 통신문에 대하여 도움이 된다는 반응(85.2%)이 매우 높았다.
구 분
아 주 도움됨
약 간 도움됨.
보통임
미흡함
아 주 미흡함
계
비 고
N
%
N
%
N
%
N
%
N
%
N
%
학 부 모
지도 자료
64
43.8
51
34.9
31
21.2
0
0.0
0
0.0
146
100.0
가정 통신
82
56.2
46
31.5
12
8.2
4
2.7
2
1.4
146
100.0
어린이 예절본
96
65.8
34
23.3
9
6.0
6
4.1
0
0.0
146
100.0
종 합
80.7
55.3
43.7
29.9
17.3
11.9
3.3
2.3
0.7
0.0
146
100.0
3. 교수·학습 자료
본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어린이 예절본, 인성 지도 프로그램, V.T.R Tape, 예절실 등의 예절 지도 자료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도움이 되었다.’는 반응은 ‘어린이 예절본’이 8명으로 학급에서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성 프로그램이나 V.T.R Tape은 다른 기관에서 개발된 자료로서 본교에서 그대로 활용하기에는 ‘미흡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본교 어린이들이 직접 참여하는 자료를 만들어 활용할 필요성이 있었다.
구 분
도움이 되었다
보통이다
미흡하다
계
비 고
N
N
N
N
어린이 예절본
8
1
1
10
인성 프로그램
1
3
6
10
VTR TAPE
2
1
7
10
예 절 실
3
5
2
10
종 합
3.25
2.5
4.0
10
Ⅷ. 결론 및 제언
A. 결 론
1. 예절 생활 지도 자료 제작·활용
a. 개인, 가정, 사회·국가 예절에 대한 ‘어린이 예절본’을 제작하여 활용한 결과 아동들이 예절 실천 내용과 방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고, 이를 실천하려는 의욕을 높일 수 있었으며, 이를 교과 관련 지도에도 활용하여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b. 자녀와의 대화 요령, 기본 예절, 전통 예절에 대한 학부모용 지도 자료를 활용한 결과 학부모들이 예절 지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예절 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가정 교육이 활성화되었다.
c. 생활 지도, 행동 수정, 수업 모형 등에 대한 교사용 연수 자료를 제작·활용함으로써 교사들이 생활 지도에 대한 이론을 정립할 수 있었으며 어린이들의 예절 생활 지도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d. 예절실을 설치하고 전통 예절과 현대 예절을 익힐 수 있는 실물, V.T.R Tape, 도서 등을 갖추어 예절 생활 실천의 장을 마련한 결과 어린이들이 예절 생활을 체득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2. 교과 및 특별 활동
a. 교과 관련 지도와 평가시에 실천 위주의 예절 교육을 강화한 결과 어린이들의 예절 생활 태도와 습관 형성에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b. 학교 행사와 관련한 예절 지도 결과 지역 주민으로부터 호응을 얻었으며, 주민들의 예절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다.
c. 명상의 시간, 봉사 활동, 인성 프로그램 적용 등 다양한 특별 활동의 운영으로 아동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한 결과, 예절 생활의 실천에 많은 향상이 있었다.
3. 가정과의 연계 지도
a. 담임 교사의 편지, 가정 통신문, 개별 통지문 등에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예절 지도 내용과 가정에서 협조할 사항 등을 안내한 결과 가정에서도 지속적으로 예절 지도가 이루어 졌다.
b. 학부모회를 통한 연수 활동, 담임과의 대화, 개별 생활 카드 확인 등의 활동 기회를 가짐으로써 아동의 예절 및 생활 지도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과 아동에 대한 상담 기회가 증가하여, 가정이 함께 참여하는 예절 교육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학부모의 참여 폭을 넓힐 필요가 있었다.
c. 가정 신문 만들기, 가훈 전시회, 예절 생활 실천 평가 등 학교 교육 활동에 학부모가 직접 참여함으로써 가정에서 모범을 보이고 솔선하는 가정 교육 풍토가 조성되었다.
4. 예절 생활의 습관화
a. 학교와 가정이 협력하여 지속적으로 예절을 지도한 결과, 많은 어린이들이(86.6%) 앞으로도 예절을 더욱 잘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b. 아동들 자신의 예절 생활이 전보다 나아졌다고 생각하는 어린이가 증가(57.6%)하였다.
c. 어린이들의 예절 생활을 분석한 결과 ‘인사하기’, ‘전화 예절’, ‘정직’, ‘언어 생활’, ‘효도’, ‘접대 예절’, ‘공중 도덕’, ‘질서 예절’ 등에서 뚜렷한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d. 앞으로 더욱 힘써 지도할 요소는 ‘편지 쓰기’, ‘생활 반성’, ‘친척간의 예절’, ‘가정 의례’, ‘봉사하기’, ‘애국가 예절’ 등으로 나타났다.
B. 제 언
1.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예절 지도 프로그램과 자료의 개발이 있어야 겠다.
2. 어린이들의 성격이나 행동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자료의 개발이 요망된다.
3. 가정뿐만 아니고 지역 사회와 연계하여 의도적으로 예절 생활 실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아동들의 예절 생활 습관 형성에 도움을 주어야 하겠다.
4. 보다 효과적인 어린이들의 생활 지도를 위해서는 초등 학교에도 전문성을 지닌 상담 교사와 상담실 등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참 고 문 헌
김남정, 인간과 교육의 탐색, 서울:성원사, 1992
김언주, 신교육심리학, 서울:문음사, 1992
김충기, 생활지도와 상담, 서울:교육과학사, 1992
이돈희 외, 교육학용어사전, 서울:하우, 1994
이상섭 외 1인, 인간과 교육, 서울:형설출판사, 1994
이성진 외 1인, 행동수정의 원리, 서울:교육과학사, 1988
조복희, 발달심리의 연구법, 서울:교육과학사, 1990
최정훈 외 5인, 인간 행동의 이해, 서울:법문사, 1994
홍숙기, 성격심리학, 서울:박영사, 1994
추천자료
쇼핑몰 운영보고서
[정신지체아교육]정신지체아의 정의, 정신지체아의 분류, 정신지체아의 특성, 정신지체아의 ...
[학급경영] 학급경영방법 - 교사의 역할과 자직, 학급의 조직과 관리, 교사의 학생 이해, 바...
[교생실습]21세기 교사의 자질 고찰 및 교육실습(교생실습)의 목표, 교육실습(교생실습)과 생...
[기초기본학력부진아지도]기초기본학력부진아의 개념, 기초기본학력부진아의 요인과 기초기본...
(사회복지현장실습보고서) 청소년지원센터 실습발표 최종본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목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변천, 초등학교 2학년의 특별활동, 초등학교...
초등학교(초등교육) 동시감상지도와 비유표현지도, 초등학교(초등교육) 서예지도와 생활지도,...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의 체제,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 장단점,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
대안학교(대안교육)의 정의, 대안학교(대안교육)의 특징, 대안학교(대안교육)의 기본원칙, 대...
서울교육 새물결운동의 인성교육과 현장체험학습, 서울교육 새물결운동의 학교체육과 재량활...
[인성교육][생활지도][교과지도][부모 역할]인성교육의 정의, 인성교육의 성격, 인성교육의 ...
[교원평가제]교원평가제의 현황과 문제점 및 외국 사례를 통한 교원평가제도의 개선방안 (20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