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있는 사실이지만 우리는 말을 통하여 새로운 말을 배운다. 이때에 말은 말에 대하여 말한다. 즉, A계열에 속하는 B계열에 속하는 언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춘부장은 남의 아버지를 가리킨다"는 말에서 `춘부장'은 한자어이고 `남의 아버지'는 고유어이다. "영어의 Father는 우리말의 아버지라는 말이다"라고 했을 경우에는 영어와 한국어가 서로 관계하고 있다. 이처럼 언어가 언어끼리 관계하고 있다고 해서 이것을 관어적 기능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이 기능을 통해서 지식을 증진시키고 또 지식을 체계화한다. `물'이라는 것은 일상의 언어지만 `H2O'는 과학의 언어다.
자연 과학 분야에서는 어떤 물질 간의 결합과 변화를 화학 방정식으로 표현한다. 그것을 일상의 말로 표현하면 번거롭기가 이루 말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새로운 어휘를 습득하고 외국어를 배우며 어떤 특정한 지식을 체계화하려 할 때 언어의 관어적 기능이 없다면 우리는 대단히 큰 불편을 겪어야 한다.
6. 미학적 기능
끝으로 전언(message, 번) 자체에 초점을 맞추려는 언어의 표정에 대하여 생각할 차례가 되었다. 화자에 의하여 씌어진 말은 그 말하는 사람의 의식적 · 무의식적 노력에 의해서 되도록 듣기 좋은 짜임새를 가지려 한다. 즉, 전언은 아름다운 구조를 가지려고 한다. 말도 화장을 하고 싶어한다고나 할까? 가령 `순이와 바둑이'라고 말하는 경우와 `바둑이와 순이'라고 말하는 경우에서 어느 것이 우리 귀에 부드럽게 들리는가를 생각해 보자. 보통 우리는 음절 수가 적은 단어부터 말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느낄 것이다. 이와 같이 말은 그 말 자체 속에 더 듣기 좋은 표현을 가지려는 본능적인 모습을 감추고 있다. 이것은 시적 기능이라고도 부른다. 언어를 예술적 재료로 삼는 문학에서는 이 미학적 기능을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삼는다. 그렇다고 문학이 아닌 일상의 언어 생활에서 쓰이는 말이라고 이러한 미학적 기능을 소홀히 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일상의 대화에서도 시나 소설처럼 말을 짜임새 있게 신경을 써서 꾸미지는 못하지만 늘 그것을 의식한다는 것은 숨길 수 없다. 자주 쓰이는 속담이 대구를 이루고 있는 것은 사람들이 은연중 전언의 미학적 기능을 의식하였다는 반증이 된다.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
"고기는 씹어야 맛이고, 님은 품어야 맛이다."
이러한 속담은 관용 어구에 나타나는 미학적 기능의 모습을 잘 보여 준다.
자연 과학 분야에서는 어떤 물질 간의 결합과 변화를 화학 방정식으로 표현한다. 그것을 일상의 말로 표현하면 번거롭기가 이루 말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새로운 어휘를 습득하고 외국어를 배우며 어떤 특정한 지식을 체계화하려 할 때 언어의 관어적 기능이 없다면 우리는 대단히 큰 불편을 겪어야 한다.
6. 미학적 기능
끝으로 전언(message, 번) 자체에 초점을 맞추려는 언어의 표정에 대하여 생각할 차례가 되었다. 화자에 의하여 씌어진 말은 그 말하는 사람의 의식적 · 무의식적 노력에 의해서 되도록 듣기 좋은 짜임새를 가지려 한다. 즉, 전언은 아름다운 구조를 가지려고 한다. 말도 화장을 하고 싶어한다고나 할까? 가령 `순이와 바둑이'라고 말하는 경우와 `바둑이와 순이'라고 말하는 경우에서 어느 것이 우리 귀에 부드럽게 들리는가를 생각해 보자. 보통 우리는 음절 수가 적은 단어부터 말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느낄 것이다. 이와 같이 말은 그 말 자체 속에 더 듣기 좋은 표현을 가지려는 본능적인 모습을 감추고 있다. 이것은 시적 기능이라고도 부른다. 언어를 예술적 재료로 삼는 문학에서는 이 미학적 기능을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삼는다. 그렇다고 문학이 아닌 일상의 언어 생활에서 쓰이는 말이라고 이러한 미학적 기능을 소홀히 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일상의 대화에서도 시나 소설처럼 말을 짜임새 있게 신경을 써서 꾸미지는 못하지만 늘 그것을 의식한다는 것은 숨길 수 없다. 자주 쓰이는 속담이 대구를 이루고 있는 것은 사람들이 은연중 전언의 미학적 기능을 의식하였다는 반증이 된다.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
"고기는 씹어야 맛이고, 님은 품어야 맛이다."
이러한 속담은 관용 어구에 나타나는 미학적 기능의 모습을 잘 보여 준다.
추천자료
[언어장애][언어장애 원인][언어장애 특성][언어장애 유형][언어장애 치료][언어장애 지도]언...
유아언어교육(유아언어지도)의 기본요소, 유아언어교육(유아언어지도)의 성격과 목표, 유아언...
총체적언어교육(언어접근법, 언어학습)의 개관과 발달, 총체적언어교육(언어접근법, 언어학습...
유아언어지도(유아언어교육) 정의와 목표, 유아언어지도(유아언어교육)와 유아언어생활, 유아...
남북한언어(남북언어, 남북한말)의 정의와 변화, 남북한언어(남북언어, 남북한말)의 맞춤법과...
총체적언어접근법(언어학습, 언어교육)의 개념과 발생배경, 총체적언어접근법(언어학습, 언어...
언어교육(언어학습, 언어지도)의 정의, 언어교육(언어학습, 언어지도)의 목표, 언어교육(언어...
총체적언어접근법(총체적언어학습)의 기본이해와 특성, 총체적언어접근법(총체적언어학습)의 ...
총체적언어교수법(언어접근법,교육) 정의와 특징, 총체적언어교수법(언어접근법,교육) 요소와...
유아언어지도(유아언어교육)의 요소, 유아언어지도(유아언어교육)의 환경구성원리, 유아언어...
언어표현력향상(언어표현향상)의 중요성, 언어표현력향상(언어표현향상)의 목표, 언어표현력...
[언어표현향상][언어표현력향상][표현력]언어표현향상(언어표현력향상)의 필요성, 언어표현향...
언어의이해A형 - 인간언어의 본질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방송통신대학교 2017학년도 2학기 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