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것이다. 사실 어르신들을 위해서 소득이나 건강문제 같은 것들은 정부가 해야 할 일인 것이다.
그럼 어떻게 관계를 맺게 해줄 것인가 하는 것이 문제이다. 지금 우리 사회에서 노인문제를 다루는 노인복지관, 복지관들의 노인 프로그램을 보면 많은 어르신들이 참여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대부분이 홀로되신 분들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점점 홀로 되신 어르신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일본처럼 우리나라에서도 황혼이혼도 앞으로 굉장히 심각한 문제가 될 것으로 예측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가족변화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노인단독세대의 증가이다. 이렇게 노인들이 홀로 사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부부만 살아도 상당히 다행인 것이다. 노인이 홀로 사는 경우가 점차 많아지고 있는데 이런 경우에 우리가 관계를 어떻게 맺어줄 것인가 하는 것이 문제다.
그렇기 때문에 외국의 경우를 보면 민간시설에서 관계를 맺어주는 활동을 많이 하고 있다. 노인들이 자연스럽게 사귈 수 있는 분위기, 미팅들을 굉장히 많이 만들어주고 그래서 주말만 되면 아파트 같은 곳에서 할머니들이 빨간 구두신고 빨간 립스틱 바르고 파티에 가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다. 할아버지들도 양복을 쫙 빼 입고 파티에 가는 모습들을 자주 볼 수 있다.
⑵소득의 불균형
이제 우리 사회도 노년에 어르신들이 재미있게 사실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 우리나라는 관계를 맺어주는 것이 두 가지 문제 - 국민연금, 장기요양보험 - 때문에 굉장히 왜곡이 되어있다. 복지관에 가서 보면 할아버지가 통장을 자랑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유는 할머니들이 돈 있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는 것이다. 할머니들이 돈이 없기 때문에 돈이 있는 할아버지와 데이트하고 싶어하고 돈 있는 할아버지만 좇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돈이 있는 할아버지들이 돈도 막 쓰면서 베풀면 좋은데 그렇게 거액을 갖고 통장을 흔드시면 다니시는 할아버지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굉장히 인색하다는 것이다. 그 양반들이 돈을 쓸 줄 모르고 벌기만 해서 모아뒀기 때문에 돈을 쓰시지를 않는다. 그리고 그 할아버지들이 노후에 파트너도 원하고 하시는데 어떤 사람을 원하시는지 물으면 공통적으로 답하시는 것이 젊은 사람을 찾는다.
즉 이렇게 돈 문제 때문에 우리 사회에서 노인들의 관계가 상당히 왜곡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돈 없는 할머니들은 돈 있는 할아버지들을 좇고, 돈 있는 할아버지들은 동년배들을 찾기 보다는 젊은 사람들을 찾고 있고... 이것이 지금 우리 사회의 노인문화를 왜곡시키고 있다. 지난번에 나왔던 “죽어도 좋아” 그 영화가 어떻게 보면 앞으로 노인문화에 선도적인 비젼을 제시한 것인데 바로 동년배 분들끼리 같이 어울리고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 것 이것이 앞으로 우리 민간 기관에서 이루어야 할 일이다.
⑶동거, 재혼
그래서 건전하게 노인들이 살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 선진사회에서는 노인들의 동거문화를 굉장히 장려해주고 있다. 우리 같은 경우도 노인의 날(10월 2일) 같은 경우 방송이나 노인문제에 대한 토론을 보면 많은 연사들이 나와서 노인의 재혼을 활성화 시키자는 이야길 한다.
그러나 실제로 노인 재혼율이 그렇게 높지 못하다. 왜냐하면 아까 말했던 것처럼 돈 있는 할어버지들이 할머니 세대를 원하지 않고 재혼을 하려고 그래도 자식들이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자식들의 경우는 유산의 상속문제 때문이다. 그래서 앞으로 노년에 행복하게 살려면 자식들에게 돈을 물려주지 말아야 한다. 갖고 있는 돈 다 쓰고 남으면 사회에 환원하고 돌아가셔야 한다. 이게 어떻게 보면 선진국가 노인들의 모습인데 있는 돈 다 쓰시고 그리고 남는 돈이 있으면 자식에게 줄 생각하지 말고 사회에다가 기부하고 가시는 것이 사회를 발전시키는 그런 모습이다.
⑶동거, 재혼
그래서 건전하게 노인들이 살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 선진사회에서는 노인들의 동거문화를 굉장히 장려해주고 있다. 우리 같은 경우도 노인의 날(10월 2일) 같은 경우 방송이나 노인문제에 대한 토론을 보면 많은 연사들이 나와서 노인의 재혼을 활성화 시키자는 이야길 한다.
그러나 실제로 노인 재혼율이 그렇게 높지 못하다. 왜냐하면 아까 말했던 것처럼 돈 있는 할어버지들이 할머니 세대를 원하지 않고 재혼을 하려고 그래도 자식들이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자식들의 경우는 유산의 상속문제 때문이다. 그래서 앞으로 노년에 행복하게 살려면 자식들에게 돈을 물려주지 말아야 한다. 갖고 있는 돈 다 쓰고 남으면 사회에 환원하고 돌아가셔야 한다. 이게 어떻게 보면 선진국가 노인들의 모습인데 있는 돈 다 쓰시고 그리고 남는 돈이 있으면 자식에게 줄 생각하지 말고 사회에다가 기부하고 가시는 것이 사회를 발전시키는 그런 모습이다.
우리 사회가 지금 내수가 활성화가 되지 않아서 경제가 어렵다. 그 이유는 점점 돈이 40대, 50대 쪽으로 몰리고 있는데 이 분들이 돈을 안 쓰는데 있다. 앞으로 60대까지 돈 있는 층이 올라갈 텐데 이 분들이 돈을 안 쓴다는 것이다. 그러나 선진사회의 특징이 뭐냐면 이렇게 50~ 60대의 분들이 돈을 많이 쓴다.. 이제 우리 사회도 연금사회가 되면서 어르신들이 돈을 쓰시는 그런 사회가 도래할 것이다.
그것과 함께 어르신들이 좀 더 자유롭게 서로가 관계를 맺고 서로가 어떤 사귐을 갖고 서로가 만나는 그런 문화들을 만들어 줄 것이다.
선진사회에서는 이렇게 노인들이 동거를 하게 되면 부부로서 인정을 해줘서 부부가 가질 수 있는 많은 혜택들을 주고 있다. 예를 들면 건강보험 같은 경우도 동거를 하면 부부로 인정해서 한 사람의 건강보험카드로 혜택을 주는 그런 제도들을 만들어주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실제로 보면 농촌지역에 가면 동거하시는 어르신들이 많이 있다. 그런 경우 우리가 제도적으로 지원을 해줘서 그분들이 보다 더 떳떳하고 행복하게 사실 수 있게 만들어 드려야한다.
또 우리 사회에서 이렇게 노인들이 혼자 사는 것 보다는 그래도 부부가 동거를 해서 사시는 것이 사회적으로도 비용이 훨씬 적게 든다.
실제 그렇게 사시는 분들이 건강도 덜 해치시고 더 건강하고 더 행복하신 것을 볼 수 있다.
그럼 어떻게 관계를 맺게 해줄 것인가 하는 것이 문제이다. 지금 우리 사회에서 노인문제를 다루는 노인복지관, 복지관들의 노인 프로그램을 보면 많은 어르신들이 참여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대부분이 홀로되신 분들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점점 홀로 되신 어르신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일본처럼 우리나라에서도 황혼이혼도 앞으로 굉장히 심각한 문제가 될 것으로 예측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가족변화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노인단독세대의 증가이다. 이렇게 노인들이 홀로 사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부부만 살아도 상당히 다행인 것이다. 노인이 홀로 사는 경우가 점차 많아지고 있는데 이런 경우에 우리가 관계를 어떻게 맺어줄 것인가 하는 것이 문제다.
그렇기 때문에 외국의 경우를 보면 민간시설에서 관계를 맺어주는 활동을 많이 하고 있다. 노인들이 자연스럽게 사귈 수 있는 분위기, 미팅들을 굉장히 많이 만들어주고 그래서 주말만 되면 아파트 같은 곳에서 할머니들이 빨간 구두신고 빨간 립스틱 바르고 파티에 가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다. 할아버지들도 양복을 쫙 빼 입고 파티에 가는 모습들을 자주 볼 수 있다.
⑵소득의 불균형
이제 우리 사회도 노년에 어르신들이 재미있게 사실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 우리나라는 관계를 맺어주는 것이 두 가지 문제 - 국민연금, 장기요양보험 - 때문에 굉장히 왜곡이 되어있다. 복지관에 가서 보면 할아버지가 통장을 자랑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유는 할머니들이 돈 있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는 것이다. 할머니들이 돈이 없기 때문에 돈이 있는 할아버지와 데이트하고 싶어하고 돈 있는 할아버지만 좇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돈이 있는 할아버지들이 돈도 막 쓰면서 베풀면 좋은데 그렇게 거액을 갖고 통장을 흔드시면 다니시는 할아버지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굉장히 인색하다는 것이다. 그 양반들이 돈을 쓸 줄 모르고 벌기만 해서 모아뒀기 때문에 돈을 쓰시지를 않는다. 그리고 그 할아버지들이 노후에 파트너도 원하고 하시는데 어떤 사람을 원하시는지 물으면 공통적으로 답하시는 것이 젊은 사람을 찾는다.
즉 이렇게 돈 문제 때문에 우리 사회에서 노인들의 관계가 상당히 왜곡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돈 없는 할머니들은 돈 있는 할아버지들을 좇고, 돈 있는 할아버지들은 동년배들을 찾기 보다는 젊은 사람들을 찾고 있고... 이것이 지금 우리 사회의 노인문화를 왜곡시키고 있다. 지난번에 나왔던 “죽어도 좋아” 그 영화가 어떻게 보면 앞으로 노인문화에 선도적인 비젼을 제시한 것인데 바로 동년배 분들끼리 같이 어울리고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 것 이것이 앞으로 우리 민간 기관에서 이루어야 할 일이다.
⑶동거, 재혼
그래서 건전하게 노인들이 살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 선진사회에서는 노인들의 동거문화를 굉장히 장려해주고 있다. 우리 같은 경우도 노인의 날(10월 2일) 같은 경우 방송이나 노인문제에 대한 토론을 보면 많은 연사들이 나와서 노인의 재혼을 활성화 시키자는 이야길 한다.
그러나 실제로 노인 재혼율이 그렇게 높지 못하다. 왜냐하면 아까 말했던 것처럼 돈 있는 할어버지들이 할머니 세대를 원하지 않고 재혼을 하려고 그래도 자식들이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자식들의 경우는 유산의 상속문제 때문이다. 그래서 앞으로 노년에 행복하게 살려면 자식들에게 돈을 물려주지 말아야 한다. 갖고 있는 돈 다 쓰고 남으면 사회에 환원하고 돌아가셔야 한다. 이게 어떻게 보면 선진국가 노인들의 모습인데 있는 돈 다 쓰시고 그리고 남는 돈이 있으면 자식에게 줄 생각하지 말고 사회에다가 기부하고 가시는 것이 사회를 발전시키는 그런 모습이다.
⑶동거, 재혼
그래서 건전하게 노인들이 살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 선진사회에서는 노인들의 동거문화를 굉장히 장려해주고 있다. 우리 같은 경우도 노인의 날(10월 2일) 같은 경우 방송이나 노인문제에 대한 토론을 보면 많은 연사들이 나와서 노인의 재혼을 활성화 시키자는 이야길 한다.
그러나 실제로 노인 재혼율이 그렇게 높지 못하다. 왜냐하면 아까 말했던 것처럼 돈 있는 할어버지들이 할머니 세대를 원하지 않고 재혼을 하려고 그래도 자식들이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자식들의 경우는 유산의 상속문제 때문이다. 그래서 앞으로 노년에 행복하게 살려면 자식들에게 돈을 물려주지 말아야 한다. 갖고 있는 돈 다 쓰고 남으면 사회에 환원하고 돌아가셔야 한다. 이게 어떻게 보면 선진국가 노인들의 모습인데 있는 돈 다 쓰시고 그리고 남는 돈이 있으면 자식에게 줄 생각하지 말고 사회에다가 기부하고 가시는 것이 사회를 발전시키는 그런 모습이다.
우리 사회가 지금 내수가 활성화가 되지 않아서 경제가 어렵다. 그 이유는 점점 돈이 40대, 50대 쪽으로 몰리고 있는데 이 분들이 돈을 안 쓰는데 있다. 앞으로 60대까지 돈 있는 층이 올라갈 텐데 이 분들이 돈을 안 쓴다는 것이다. 그러나 선진사회의 특징이 뭐냐면 이렇게 50~ 60대의 분들이 돈을 많이 쓴다.. 이제 우리 사회도 연금사회가 되면서 어르신들이 돈을 쓰시는 그런 사회가 도래할 것이다.
그것과 함께 어르신들이 좀 더 자유롭게 서로가 관계를 맺고 서로가 어떤 사귐을 갖고 서로가 만나는 그런 문화들을 만들어 줄 것이다.
선진사회에서는 이렇게 노인들이 동거를 하게 되면 부부로서 인정을 해줘서 부부가 가질 수 있는 많은 혜택들을 주고 있다. 예를 들면 건강보험 같은 경우도 동거를 하면 부부로 인정해서 한 사람의 건강보험카드로 혜택을 주는 그런 제도들을 만들어주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실제로 보면 농촌지역에 가면 동거하시는 어르신들이 많이 있다. 그런 경우 우리가 제도적으로 지원을 해줘서 그분들이 보다 더 떳떳하고 행복하게 사실 수 있게 만들어 드려야한다.
또 우리 사회에서 이렇게 노인들이 혼자 사는 것 보다는 그래도 부부가 동거를 해서 사시는 것이 사회적으로도 비용이 훨씬 적게 든다.
실제 그렇게 사시는 분들이 건강도 덜 해치시고 더 건강하고 더 행복하신 것을 볼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노인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
독거노인문제와 지역사회차원에서의 해결방안
노인문제의 실태와 해결방안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경로당 운영방안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원봉사원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시오
노인학대의 실태분석 및 대응방안
노인문제의 현황과 해결방안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자원봉사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 전략
노인문제, 고령화사회, 해결방안.
고령화 시대의 노인복지문제와 서비스개선방안(A+)
고령화시대의 노인문제와 대책방안
한국의 노인복지문제와 개선방안
노인문제의 특성과 해결방안
현대사회의 노인문제와 해결방안 -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