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에 관한 뒷 이야기
①浪人(ろうにん)은 바로 여기서 온말
현대 일본어에서 "실직자" 혹은 "재수생"을 뜻하는 浪人(ろうにん)이라는 말은 과거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武士를 浪人이라 칭한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②지금의 운전 규칙이 侍의 칼과 관련 있다?
예전에는 칼이 비스듬히 부딪히는 걸 도발로 간주했다고 한다. 그러나 좁은 골목을 우측 통행 하다가는 왼쪽의 허리춤에 차고 있는 상대방의 칼과 부딪히기 십상이였는데 이 같은 불필요한 싸움을 피하기 위해 버릇처럼 왼쪽으로 걷기 시작한 것이 江戶(えど)시대에 보행예절이 되었고 이 후 자동차가 도입되면서 운전 규칙으로 이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지금 일본은 우리와 반대로 차는 좌측통행 사람은 우측통행을 하고 있는데 그 이유가 진짜로 여기서 나온 걸까?
①浪人(ろうにん)은 바로 여기서 온말
현대 일본어에서 "실직자" 혹은 "재수생"을 뜻하는 浪人(ろうにん)이라는 말은 과거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武士를 浪人이라 칭한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②지금의 운전 규칙이 侍의 칼과 관련 있다?
예전에는 칼이 비스듬히 부딪히는 걸 도발로 간주했다고 한다. 그러나 좁은 골목을 우측 통행 하다가는 왼쪽의 허리춤에 차고 있는 상대방의 칼과 부딪히기 십상이였는데 이 같은 불필요한 싸움을 피하기 위해 버릇처럼 왼쪽으로 걷기 시작한 것이 江戶(えど)시대에 보행예절이 되었고 이 후 자동차가 도입되면서 운전 규칙으로 이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지금 일본은 우리와 반대로 차는 좌측통행 사람은 우측통행을 하고 있는데 그 이유가 진짜로 여기서 나온 걸까?
추천자료
[유교문화의 돌연변이 일본] 서평
[응답]일본 영화 ★무사★ 감상문
한국 속 일본문화
나의 눈으로 바라본 일본과 한국
에도 시대의 미술에 나타난 일본문화
을사늑약 100년, 그때 일본이 탄생했다.
비교경찰론(일본경찰제도)-최근개혁사례
우리가 모르는 일본인을 읽고
[영화감상문]일본영화 요짐보를 보고나서
[영화감상문] 일본 영화 '거미의 성(蜘蛛巢城/Throne Of Blood, The Castle Of The Spider's ...
칼에지다 라는 일본 소설에 대한 독후감과 그 당시 일본의 역사적 배경
니토베 이나조의 일본의 무사도를 읽고
동아시아 화해와 공존의 가능성 (한국, 중국, 일본의 무협영화 분석을 통한 동아시아의 평화...
다문화교육 ( 일본의 가족에 대해 정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