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봉사학습 모델을 통한 청소년(학생)봉사활동의 발전방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새로운 봉사학습 모델을 통한 청소년(학생)봉사활동의 발전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청소년봉사활동의 패러다임
  가. 우리나라의 자원봉사와 청소년봉사활동의 시작

구 분
과거사회
현대사회

나. 우리나라 청소년봉사활동의 도입배경과 목적
다. 우리나라 청소년봉사활동의 운영체계
-  학생봉사활동의 내신 성적 반영
(2) 학생봉사활동 지원을 위한 운영체계
봉사활동 권장 시간

- 시.도 청소년활동진흥센터 현황

본문내용

-자원봉사센터 현황
자원봉사센터는 1996년부터 2004년까지 전국 시도 및 시군구에 250개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운영형태는 직영 146개소(58.4%), 위탁운영 95개소(38%), 법인운영 9개소(3.6%)이며 총 250개 자치단체 중 207개 자치단체(82.8%)가 자원봉사센터 설치운영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였다. 주요 활동분야별로는 사회복지분야가 36%, 환경보호분야가 21%, 교통질서분야가 9%, 공공기관분야가 8%, 의료시설분야가 4%, 구조구급 및 재해복구분야가 3%, 기타분야가 19%로 활동범위가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2005. 행정자치부)

- 시.도 청소년활동진흥센터 현황
청소년활동진흥센터는 청소년기본법시행령 제4조에 의거 한국청소년자원봉사센터 및 시도 단위 16개소에 지방청소년자원봉사센터로 설치운영되어 왔으며, 2005년까지는 시도 청소년자원봉사센터를 문화관광부에서 관리하였으나 청소년정책 전담 중앙행정 기구로 국가청소년위원회가 출범하고
한국청소년진흥센터가 설립됨에 따라 한국청소년자원봉사센터는 한국청소년진흥센터 ‘활동지원부'로편입되고, 청소년활동진흥법 제7조에 의거 시도 청소년자원봉사센터는 2005년부터 단계적으로 “청소년활동진흥센터”로 명칭을 개정하여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업무 뿐 아니라 청소년활동종합정보제공, 청소년활동인증제, 지역사회네트워크 등 청소년활동 및 정보를 제공하는 중심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지금은 국가청소년위원회를 통합한 보건복지가족부가 한국청소년진흥센터와 시도 청소년활동진흥센터를 통합하고 있으며, 시.도 청소년활동진흥센터는 지방자치단체의 관리를 받고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93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