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회로서, 신분적 계급을 중시하며 종교의 사회적 영향이 강했던 시대였다. 중세사회는 장원제도를 가장 큰 특징으로 갖으며 이 사회에서는 아동의 존재 자체에 큰 관심이 없었고 아동은 단지 장원을 위한 경제력, 군사력의 한 수단으로서의 가치만 부여되었다. 또한 중세는 엄격한 계급사회였기 때문에 아동의 지위도 신분에 따라 달라지게 되었다. 즉 신분이 높은 계급의 아동들은 신분상의 혈통 계승자로 존중되었으나, 신분이 낮은 계급의 아동들은 농노로서 무가치하게 취급되었다. 그러나 중세는 종교단체나 가톨릭 교회에서 생명을 빼앗는 행위를 죄악으로 금지하여, 가난하거나 의지할 곳이 없는 아동들을 보호하기 위해 시설을 활용하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엄격한 의미에서 이때부터 교회를 통해 아동보호사업이나 서비스가 싹트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이렇듯 중세사회에서는 신분에 따라 일부 아동들의 권리가 인정되긴 했으며, 종교단체의 활동을 통해 아동보호의 첫 출발을 보게 되었다는데서 역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시기의 아동보호는 동정적인 감정에 근거를 둔 종교적 자선행위였을 뿐, 개인의 욕구나 권리를 중심으로 하는 근대적 의미의 전문적 아동복지사업은 전개되지 못하였다고 하겠다.
3. 근대사회
근대사회는 상공업의 발달과 산업혁명의 시작과 더불어 자본주의 제도가 탄생한 시대이다. 이 시기는 산업혁명에 의해 자본가 계급과 노동자 계급의 탄생, 사회적 이동성의 증대, 노인 및 아동과 같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의 필요성 등이 주요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종전의 개인이나 종교적 자선에서 이루어지던 복지문제가 사회적, 국가적 책임이라는 수준으로 발전되었으며, 그 결과 영국에서 처음으로 국가가 책임을 지는 빈민법이 탄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법에 따라 비로소 아동들이 국가의 보호를 받기 시작하였다.
1601년에 제정된 영국의 엘리자베스 빈민법은 보호를 요하는 아동에 대한 개입을 규정하여 아동복지제도의 기원을 이루고 있으나 아동문제에 관한 사회적 인식은 아직 미분화된 상태에 있어 아동문제는 다른 인구 대상층의 문제와 함께 포괄적으로 취급되었다. 그러다 19세기 이후 산업혁명의 급속한 진전과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광범위한 사회문제가 발생하면서 아동문제, 그 중에서도 집단수용 시설에서의 아동의 높은 사망률, 아동의 노동착취와 같은 문제가 이슈화 되면서 아동을 보호하려는 여러 가지 운동이 전개되었다. 그리하여 아동시설이 전문적이지는 않지만 혼합수용에서 아동중심의 시설에로의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장기수용의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또한 미국에서는 위탁가정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1853년 뉴욕에 설립된 아동구호협회는 위탁가정 서비스를 실시한 최초의 기관으로서 위탁가정 프로그램의 모델이 되었다.
<참고문헌>
장인협, 오정수 / 아동, 청소년복지론 / 서울대학교출판부
김익균 고승덕 최찬호 이행숙(2006) / 아동복지론/ 대학출판사
박정란 서홍란(2005)/ 아동복지론 / 양서원
전남련 / 아동복지 / 형설출판사
박종삼 외 / 사회복지학개론 / 학지사
이렇듯 중세사회에서는 신분에 따라 일부 아동들의 권리가 인정되긴 했으며, 종교단체의 활동을 통해 아동보호의 첫 출발을 보게 되었다는데서 역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시기의 아동보호는 동정적인 감정에 근거를 둔 종교적 자선행위였을 뿐, 개인의 욕구나 권리를 중심으로 하는 근대적 의미의 전문적 아동복지사업은 전개되지 못하였다고 하겠다.
3. 근대사회
근대사회는 상공업의 발달과 산업혁명의 시작과 더불어 자본주의 제도가 탄생한 시대이다. 이 시기는 산업혁명에 의해 자본가 계급과 노동자 계급의 탄생, 사회적 이동성의 증대, 노인 및 아동과 같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의 필요성 등이 주요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종전의 개인이나 종교적 자선에서 이루어지던 복지문제가 사회적, 국가적 책임이라는 수준으로 발전되었으며, 그 결과 영국에서 처음으로 국가가 책임을 지는 빈민법이 탄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법에 따라 비로소 아동들이 국가의 보호를 받기 시작하였다.
1601년에 제정된 영국의 엘리자베스 빈민법은 보호를 요하는 아동에 대한 개입을 규정하여 아동복지제도의 기원을 이루고 있으나 아동문제에 관한 사회적 인식은 아직 미분화된 상태에 있어 아동문제는 다른 인구 대상층의 문제와 함께 포괄적으로 취급되었다. 그러다 19세기 이후 산업혁명의 급속한 진전과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광범위한 사회문제가 발생하면서 아동문제, 그 중에서도 집단수용 시설에서의 아동의 높은 사망률, 아동의 노동착취와 같은 문제가 이슈화 되면서 아동을 보호하려는 여러 가지 운동이 전개되었다. 그리하여 아동시설이 전문적이지는 않지만 혼합수용에서 아동중심의 시설에로의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장기수용의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또한 미국에서는 위탁가정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1853년 뉴욕에 설립된 아동구호협회는 위탁가정 서비스를 실시한 최초의 기관으로서 위탁가정 프로그램의 모델이 되었다.
<참고문헌>
장인협, 오정수 / 아동, 청소년복지론 / 서울대학교출판부
김익균 고승덕 최찬호 이행숙(2006) / 아동복지론/ 대학출판사
박정란 서홍란(2005)/ 아동복지론 / 양서원
전남련 / 아동복지 / 형설출판사
박종삼 외 / 사회복지학개론 / 학지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