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은 A.D.165년의 올림피아경기 때에 키니크학파인 페레그리누스가 불속에 투신하여 순교한 것을 토대로 한 것이다. 그러나 그의 의도는 빗나갔고 오히려 그 소설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기독교에 입문했다.
2)셀서스
셀서스는 2세기 후반 사람으로서 알렉산드리아 출신이다. 그는 플라톤학파 소속이었으나 에피크로스를 더욱 추종했다. 그는<참말>이라는 저서를 통하여 기독교를 비판하고 공격했는데 당시에 많은 지식인들이 그 책을 즐겨 읽었음으로 상류 사회인들의 기독교에 대한 편견이 심각했다. 때문에 알렉산드리아의 신학자 오리겐이<셀서스를 반박 한다>라는 저서를 발간하여 셀서스를 강력하게 비판했다.
** 이단들에 대한 교회의 조치**
철학자들의 사상들이 교회 내에 계속하여 반입되어지고 각종 이단적 교리들이 교회 내에 침투했을 때 교회의 지도자들은 당연히 위기의식을 느꼈으며 힘을 합하여 대처했다. 그들은 개인적으로도 철학자들과 이단자들에 대한 사명적 임무를 수행했지만 교회들이 연합하여 공동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절대적인 필요성 하에서 연합적인 조치를 강구했다.
1.교회의 단결.
교회지도자들이 강구한 첫 번째 조치는 교회들의 연합과 단결이었다. 그들은 철학 사상들과 이단자들의 비진적교리들이 교회 내에 침투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교회들이 연합하고 단결함으로서 공동 대처했다. 그리하여 우선적으로 철학사상과 이단들로부터 기독교교회를 구분했다. 이때에 등장된 기독교 교회의 명칭이“카토릭교회”다. 카토릭이란“보편적”이라는 의미적 용어이지만“전체에 의하여”라는 의미적 용어이기도 하다. 따라서<카토릭교회>라는 명칭은“전체에 의한"교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즉<모든 사도들의 전체적인 증언에 의한 교회>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로서 카토릭이라는 명칭 하에 이루어진 교회 연합에 귀속되지 않은 철학파들의 집단이나 각종 이단적 종파들은 기독교로 인정될 수 없었다. 전체 교회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한 어떤 종파들이 자신들의 교회성을 주장하기 위하여 자신들의 교회가 어떤 사도에 의하여 설립되었다고 주장할 때에 그들의 주장은 교리적인 문제의 진위성을 확인하기 이전에 과연 전체 사도들이 그 교회를 인정하였느냐? 하는 문제가 우선적으로 확인되어야 했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전체 사도성>의 결여로 인하여 인정받을 수 없었다. 이러한 가운데 교회연합과 단결이 이루어지면서 교회 회의들이 자연스럽게 구성되었다. 이제 교회의 문제들은 교회 회의를 통하여 논의 되고 심의되었다. 교회 회의의 결정에 순종하지 않는 교회 및 개인들은 이단으로 정죄되어 교회로부터 파문당했다.
2.교리의 정립.
교회의 지도자들은 시도 때도 없이 제기되는 철학 사상들과 이단들의 교리적 논쟁들에 대처하기 위하여서는 기독교 교리가 정립되어야 한다는 것을 절감했다. 그리하여 이때로부터 기독교 교리 정립에 대한 역사적 과업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기독교 교리 즉 기독교 조직신학의 정립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시간적으로도 많은 역사를 필요로 하지만 내용적으로도 많은 분야적 영역을 완주<完走>해야 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적 역사를 필연적으로 거쳐야했다.
3.정경의 정립.
교회 지도자들은 기독교 교리 정립의 과정에서 또 하나의 절대적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그것은 정경의 필요성이었다. 어떤 철학 사상과 비진리적 교리들에도 흔들리지 않는 교리를 정립하기 위해서는 복음적 기사들과 교리적 기사들이 정경으로 확고하게 정립되어져서 그것<철학사상과 비진리적교리>들을 심의하고 구분하여 배격하고 퇴치할 수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공감했던 것이다. 때문에 이때로부터 정경 정립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4.이단들에 대한 조치.
교회의 연합과 단결이 이루어지고 공통적 복음과 교리들이 형성됨에 따라 철학자들의 사상이 함부로 교회 내에 반입되는 것이 저지되었고 각종 이단자들의 비진리적 교리가 교회를 위협하는 것이 거부되었다. 그러나 교회의 지도자들은 거기에 만족할 수 없었다. 각종 사이비 이단자들은 자기들의 주장들이 교회로부터 거부되어지자 파당을 만들거나 또는 분파를 형성하여 더욱 강력하게 활동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회는 더욱 강한 조치를 강구하여 성도들이 비진리에 현혹되지 않게 했다. 교회 지도자들은 그러한 일이 발생할 때마다 교회 회의를 소집하여 그 문제를 심의, 논증했고 이단자들을 정죄하고 파문하여 교회의 신학적, 신앙적, 질서들을 바르게 세웠다.
2)셀서스
셀서스는 2세기 후반 사람으로서 알렉산드리아 출신이다. 그는 플라톤학파 소속이었으나 에피크로스를 더욱 추종했다. 그는<참말>이라는 저서를 통하여 기독교를 비판하고 공격했는데 당시에 많은 지식인들이 그 책을 즐겨 읽었음으로 상류 사회인들의 기독교에 대한 편견이 심각했다. 때문에 알렉산드리아의 신학자 오리겐이<셀서스를 반박 한다>라는 저서를 발간하여 셀서스를 강력하게 비판했다.
** 이단들에 대한 교회의 조치**
철학자들의 사상들이 교회 내에 계속하여 반입되어지고 각종 이단적 교리들이 교회 내에 침투했을 때 교회의 지도자들은 당연히 위기의식을 느꼈으며 힘을 합하여 대처했다. 그들은 개인적으로도 철학자들과 이단자들에 대한 사명적 임무를 수행했지만 교회들이 연합하여 공동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절대적인 필요성 하에서 연합적인 조치를 강구했다.
1.교회의 단결.
교회지도자들이 강구한 첫 번째 조치는 교회들의 연합과 단결이었다. 그들은 철학 사상들과 이단자들의 비진적교리들이 교회 내에 침투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교회들이 연합하고 단결함으로서 공동 대처했다. 그리하여 우선적으로 철학사상과 이단들로부터 기독교교회를 구분했다. 이때에 등장된 기독교 교회의 명칭이“카토릭교회”
2.교리의 정립.
교회의 지도자들은 시도 때도 없이 제기되는 철학 사상들과 이단들의 교리적 논쟁들에 대처하기 위하여서는 기독교 교리가 정립되어야 한다는 것을 절감했다. 그리하여 이때로부터 기독교 교리 정립에 대한 역사적 과업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기독교 교리 즉 기독교 조직신학의 정립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시간적으로도 많은 역사를 필요로 하지만 내용적으로도 많은 분야적 영역을 완주<完走>해야 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적 역사를 필연적으로 거쳐야했다.
3.정경의 정립.
교회 지도자들은 기독교 교리 정립의 과정에서 또 하나의 절대적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그것은 정경의 필요성이었다. 어떤 철학 사상과 비진리적 교리들에도 흔들리지 않는 교리를 정립하기 위해서는 복음적 기사들과 교리적 기사들이 정경으로 확고하게 정립되어져서 그것<철학사상과 비진리적교리>들을 심의하고 구분하여 배격하고 퇴치할 수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공감했던 것이다. 때문에 이때로부터 정경 정립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4.이단들에 대한 조치.
교회의 연합과 단결이 이루어지고 공통적 복음과 교리들이 형성됨에 따라 철학자들의 사상이 함부로 교회 내에 반입되는 것이 저지되었고 각종 이단자들의 비진리적 교리가 교회를 위협하는 것이 거부되었다. 그러나 교회의 지도자들은 거기에 만족할 수 없었다. 각종 사이비 이단자들은 자기들의 주장들이 교회로부터 거부되어지자 파당을 만들거나 또는 분파를 형성하여 더욱 강력하게 활동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회는 더욱 강한 조치를 강구하여 성도들이 비진리에 현혹되지 않게 했다. 교회 지도자들은 그러한 일이 발생할 때마다 교회 회의를 소집하여 그 문제를 심의, 논증했고 이단자들을 정죄하고 파문하여 교회의 신학적, 신앙적, 질서들을 바르게 세웠다.
추천자료
멀티미디어시대 교회교육의 전망
교회의 사회봉사
초대교회의 이단문제와 대학의 이단문제 연구
한반도 통일방안 (남북 통일문제 해결방안)
지식정보사회의 전자정부 구축방안 (A+레포트)
[물류][물류산업][물류체계][물류시스템][물류정보화][물류정책]물류의 개념, 물류산업의 특...
교리교육에 대한 연구보고서
[예배][교회예배][한국교회][한국교회예배]예배(교회예배)의 개념, 예배(교회예배)의 역사, ...
초대 교회 예배 연구를 통한 현대 교회 예배의 고찰
기독교(그리스도교)의 역사와 기본진리, 기독교(그리스도교)의 여성관, 기독교(그리스도교)의...
기독교 역사적 발전과정과 정통성의 표준(사이비 이단 판단 기준) _ 신약성경 시대, 교부시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