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창세기 해석
본문내용
전문가들의 말을 듣기전에 주석가는 자신앞에 놓여진 본문을 문법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차용된 용어, 사용된 구절들, 문장의 통사적 구조가 먼저 다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문은 우선적으로 스스로 말하도록 허용된다. 문법적인 것은 역사적인 것에 우선되어야 하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이러한 첫 두가지는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주석은 신학적 해석이 완결되지 전까지는 종결된 것이 아니다. 게다가 이것은 성경본문을 충분히 정당하게 다루는 주석방법이다. 창세기 해석에 있어서 이러한 주석적 방법론을 따르면, 인간의 말의 수단을 통하여 임하는 하나님의 메시지를 들을 것이다.
결론
창세기의 메시지에 대한 적절한 이해는 창세기의 형성방법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덧붙여서 그에 대한 적절한 접근방법, 주석상에 따르는 방법론들, 부가적인 연구로부터 얻어지는 도움은 창세기에 대한 적절한 연구를 할 때, 모두 실제적으로 중요하다.
서론에서 시작하였듯이, 창세기는 시작을 의미한다. 시작에 대한 적절한 이해는 성경전반에 대해서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부적합한 주석으로 인해서, 창세기에 대한 그릇된 해석을 채택한 사람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의 다른 부분들에 대한 바른 해석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에 관한 메시지는 창세기의 성경적 메시지에 대한 적절한 이해에 의해서 상당히 강화될 것이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자신에 대한 충만한 계시를 주셨다. 십자가에 못박히고 부활한 그리스도에게서 집약되어서 이 계시는 우리에게 만물을 지으신 자요, 유지하시는 분이요, 주인인 그리스도에 대한 창세기의 이야기에서 제시된다. 주권적 창조자 주(Lord)가 바로 창세기1-3장에서 소개된 반역자들을 대신하여 십자가에 달리셨던 분이다. 구속의 기묘(奇妙), 우리 주의 영광, 인간의 충만한 본분은 역사적 사건들의 형태로 위대한 역사적 사실들을 설명하는 창세기의 해석에 의해서 우리에게 더욱 명확하게 만들어진다.
*************************************************************************************
저자소개: 멜번 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 취득. 빅토리아주 지롱의 개혁신학대학의 구약학 교수. 출전: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vol. xiii, part iv, Fall, 1970.
translated by Keemun Sung (Th.M can., M.Div., B.A.) 4th Semester.
--------------------------------------------------------------------------------
Footnote
1) Berkhof, L., Principles of Biblical Interpretation. Grand Rapids, 1950. A. B. Mickelsen, Interpreting the Bible. Grand Rapids, 1963.
2) Interpreting God's Word Today (S. Kistemaker편. Baker Book House, 1970)의 제1장과 비교하라.
3) Interpreters Bible, (I.B.) Vol. 1, p. 440.
4) Scharleman, M. H., "Hermeneutic(s)" Concordia Theological Monthly, vol. xxxix, No. 9, Oct. 1968. 이 논문은 최근의 해석학에 대한 유용한 참고서적을 포함하고 있다.
5) Koole, J. H., Verhaal en Feit in Het Oude Testament(구약에서의 이야기(narrative)와 사실(fact)). Kampen, 1967.
6) I.B., Vol. 1, p. 459.
7) I.G.W.T., pp. 29, 30과 비교하라.
8) Montgomery, J. W., "The Approach of New Shape Roman Catholicism to Scriptural Inerrancy: A Case Study for Evangelicals." Bulletin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Vol. 10, No. 4, 1967, pp. 209-225. 이후부터 E.T.S. Bull이라고 약칭(略稱)한다.
9) "Rapport Leeruitspraak Assen 1926, meerderheids en minderheids report[다수와 소수보고] Generale Synode" Gereformeerde Kerken Synode, 1967-68. A. K. B. Utrecht.
10) I.G.W.T, 제1장, 특별히 pp. 43ff과 비교하라.
11) "Rapport," p. 5와 비교하라.
12) Van der Fliert, J. R., "Fundamentalism and Fundamentals of Geology," I.A.R.F.A. No. 32, 33, Jan.-April, pp. 5-27.
13) I.G.W.T.의 제1장, pp. 37ff과 비교하라.
14) I.A.R.F.A. Bulletin, No. 32, 33, 1968, pp. 33ff.
15) 창조연구회는 광범위한 분야의 과학적 연구가 발표되는 세차례의 계간지와 매년 한차례의 연보(Annual)를 발행한다.
16) Holman Study Bible, RSV. Philadelphia, 1962, pp. 1-3.
17) Brunner, E., The Christian Doctrine of Creation and Redemption. Dogmatics vol. II trans. O Wyon. Philadelphia, 1952. 특별히 pp. 3-35와 비교하라.
18) Berkhof, 제1장과 비교하라. 또한 Allan A. MacRae, "The Principles of Interpreting Genesis 1 and 2." E.T.S. Bull., vol. 2, no. 4, 1959와 비교하라.
결론
창세기의 메시지에 대한 적절한 이해는 창세기의 형성방법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덧붙여서 그에 대한 적절한 접근방법, 주석상에 따르는 방법론들, 부가적인 연구로부터 얻어지는 도움은 창세기에 대한 적절한 연구를 할 때, 모두 실제적으로 중요하다.
서론에서 시작하였듯이, 창세기는 시작을 의미한다. 시작에 대한 적절한 이해는 성경전반에 대해서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부적합한 주석으로 인해서, 창세기에 대한 그릇된 해석을 채택한 사람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의 다른 부분들에 대한 바른 해석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에 관한 메시지는 창세기의 성경적 메시지에 대한 적절한 이해에 의해서 상당히 강화될 것이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자신에 대한 충만한 계시를 주셨다. 십자가에 못박히고 부활한 그리스도에게서 집약되어서 이 계시는 우리에게 만물을 지으신 자요, 유지하시는 분이요, 주인인 그리스도에 대한 창세기의 이야기에서 제시된다. 주권적 창조자 주(Lord)가 바로 창세기1-3장에서 소개된 반역자들을 대신하여 십자가에 달리셨던 분이다. 구속의 기묘(奇妙), 우리 주의 영광, 인간의 충만한 본분은 역사적 사건들의 형태로 위대한 역사적 사실들을 설명하는 창세기의 해석에 의해서 우리에게 더욱 명확하게 만들어진다.
*************************************************************************************
저자소개: 멜번 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 취득. 빅토리아주 지롱의 개혁신학대학의 구약학 교수. 출전: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vol. xiii, part iv, Fall, 1970.
translated by Keemun Sung (Th.M can., M.Div., B.A.) 4th Semester.
--------------------------------------------------------------------------------
Footnote
1) Berkhof, L., Principles of Biblical Interpretation. Grand Rapids, 1950. A. B. Mickelsen, Interpreting the Bible. Grand Rapids, 1963.
2) Interpreting God's Word Today (S. Kistemaker편. Baker Book House, 1970)의 제1장과 비교하라.
3) Interpreters Bible, (I.B.) Vol. 1, p. 440.
4) Scharleman, M. H., "Hermeneutic(s)" Concordia Theological Monthly, vol. xxxix, No. 9, Oct. 1968. 이 논문은 최근의 해석학에 대한 유용한 참고서적을 포함하고 있다.
5) Koole, J. H., Verhaal en Feit in Het Oude Testament(구약에서의 이야기(narrative)와 사실(fact)). Kampen, 1967.
6) I.B., Vol. 1, p. 459.
7) I.G.W.T., pp. 29, 30과 비교하라.
8) Montgomery, J. W., "The Approach of New Shape Roman Catholicism to Scriptural Inerrancy: A Case Study for Evangelicals." Bulletin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Vol. 10, No. 4, 1967, pp. 209-225. 이후부터 E.T.S. Bull이라고 약칭(略稱)한다.
9) "Rapport Leeruitspraak Assen 1926, meerderheids en minderheids report[다수와 소수보고] Generale Synode" Gereformeerde Kerken Synode, 1967-68. A. K. B. Utrecht.
10) I.G.W.T, 제1장, 특별히 pp. 43ff과 비교하라.
11) "Rapport," p. 5와 비교하라.
12) Van der Fliert, J. R., "Fundamentalism and Fundamentals of Geology," I.A.R.F.A. No. 32, 33, Jan.-April, pp. 5-27.
13) I.G.W.T.의 제1장, pp. 37ff과 비교하라.
14) I.A.R.F.A. Bulletin, No. 32, 33, 1968, pp. 33ff.
15) 창조연구회는 광범위한 분야의 과학적 연구가 발표되는 세차례의 계간지와 매년 한차례의 연보(Annual)를 발행한다.
16) Holman Study Bible, RSV. Philadelphia, 1962, pp. 1-3.
17) Brunner, E., The Christian Doctrine of Creation and Redemption. Dogmatics vol. II trans. O Wyon. Philadelphia, 1952. 특별히 pp. 3-35와 비교하라.
18) Berkhof, 제1장과 비교하라. 또한 Allan A. MacRae, "The Principles of Interpreting Genesis 1 and 2." E.T.S. Bull., vol. 2, no. 4, 1959와 비교하라.
추천자료
6인의 현대 생태신학자들 -그들의 성서해석을 중심으로-
Moldflow를 이용한 사출 제품 해석
서경별곡(西京別曲)의 어구해석과 의미구조 및 내용
나의 꿈 분석(해석) 작업
프로이트 - 꿈의 해석 (꿈의 검열, 상징 , 작업)
(동서양고전) 프로이드의 <꿈의해석> 내용요약 및 감상문(2장~5장)
스트레인 게이지 부착과 구조응력 해석 시험
민족으로부터 역사를 구출하기 - 근대 중국의 해석 을 읽고
심리분석을 기초로한 꿈의 해석
왜 LCD Module을 열해석 해야 하는가?
찬기파랑가 ‘인오이처미’ 해석
<복음주의신학 관점에서 본 구약의 내러티브 해석> 요약 및 서평 _ 리차드 프랫 저
공상과학이란, 인류멸망보고서 해석
Dying Together Nancy Gibbs 영어 강좌 해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