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캠프페이지 환경오염문제 실태와 대책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한미군 캠프페이지 환경오염문제 실태와 대책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주한미군 캠프페이지 환경오염문제 실태와 대책방안

본문내용

종식과 생태위기의 심화라는 국제 정세까지 겹쳐지면서, 아메리카합중국 군대의 주둔에 감사해 하고 그로 말미암은 문제에 눈을 감는 태도는 현저히 약해졌다.
그러나 아메리카합중국은 이러한 시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잘못을 제대로 인정하거나 고치려 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한국 정부는 여전히 아메리카합중국에 대해 국가 대 국가의 평등한 관계를 제대로 요구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전국 각지에서 이런 상황을 넘어서 자신의 권리를 찾으려는 시민운동이 거세게 펼쳐지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다. 요컨대 ‘기지 되찾기 운동’은 ‘권리 되찾기 운동’이기도 하다. 운동은 이제야 본격적으로 펼쳐지는 단계에 들어섰지만, 이것이 가져온 변화는 이미 적지 않다.
한국에 주둔하고 있는 아메리카합중국 군대가 이 나라의 주요한 환경 파괴원이라는 사실은 너무도 분명하다. 이 사실은 더 이상 숨길 수 없으며, 문제를 바로잡는 것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이 땅에서 아메리카합중국을 대상으로 펼쳐지는 많은 운동들은 ‘미군기지 되찾기 운동’에서 잘 알 수 있듯이 더 나은 삶을 향한 자연발생적인 시민운동의 성격을 띠고 있다. 더 나은 삶이라는 이 자연스럽고 보편적인 요구에 우리는 귀를 기울여야 한다. 그리고 아메리카합중국과 한국의 정부로 하여금 이 요구에 귀를 기울이도록 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삼웅(1997), 『사료로 보는 20세기 한국사 - 활빈당선언에서 전노 항소심판결까지』, 가람기획
김소희(1994), ‘탱크사격장 신설예정지 주민들의 공포’, 『환경운동』 1994년 5월호
김영란(1994), ‘평화통일 주장하며 군폭격장 웬말이냐’, 『월간 환경』 1993년 7월호
김용한(1999), ‘아시아 주둔 미군과 미군 기지 되찾기 운동,
www.peacekorea.org/databank/yonghan2.html
______(2000), ‘외국의 미군기지 환수사례와 우리의 대안’,
http://peace.jinbo.net/peacecamp/2000/main/2 000/tour6.htm
______(2001ㄱ), ‘주한미군 반대투쟁의 횃불, 매향리’, 노근리에서 매향리까지 발간위원회 엮음(2001), 『노근리에서 매향리까지 - 주한미군문제해결운동사』, 깊은자유
______(2001ㄴ), ‘우리 땅 미군기지 되찾기 범국민운동’, 노근리에서 매향리까지 발간위원회 엮음(2001), 『노근리에서 매향리까지 - 주한미군문제해결운동사』, 깊은자유
김진균홍성태(1996), 『군신과 현대사회 - 현대 군사화의 논리와 군수산업에 관한 연구』, 문화과학사
남화선(2002), ‘군부대가 무서운 민통선 사람들’, 『함께 사는 길』 2002년 1월호
문진미(2001), ‘주한미군, 왜 이러나’, 『함께 사는 길』 2001년 12월호
박항주(2000), ‘미군의 매향리 폭격을 지원하는 국방부’, 『함께 사는 길』 2000년 7월호
박현철(2000), ‘미군 사격장 아래 파주 취수장’, 『함께 사는 길』 2000년 9월호
성낙진(1994), ‘쓰레기로 오염되고 있는 분단의 현장’, 『환경운동』 1994년 2월호
손기웅(2000), ‘환경안보라는 군의 새로운 과제’, (사)녹색연합 배달환경연구소 펴냄, 『한국환경보고서 2000』, 녹색연합
여영학(2000), ‘주한미군의 환경파괴와 SOFA’, 『함께 사는 길』 2000년 7월호
오두희(2001), ‘아직 끝나지 않은 SOFA 개정 운동’, 노근리에서 매향리까지 발간위원회 엮음(2001), 『노근리에서 매향리까지 - 주한미군문제해결운동사』, 깊은자유
이상백(2001), ‘폭격은 이제 그만’, 『함께 사는 길』 2001년 9월호
이시재(2000), ‘매향리를 반패권주의 블록의 전초기지로’, 『함께 사는 길』 2000년 7월호
이장희(1999), ‘평화통일을 위한 한미군사관계의 국제법적 조명 - 한미행협개정을 촉구하면서’, 주한미군범죄근절운동본부 엮음(1999), 『끝나지 않은 아픔의 역사 - 미군범죄』, 개마서원
______ 외(2000), 『한-미 주둔군지위협정 연구』, 아시아사회과학연구원
이현철(2000), ‘미군 프롬알데히드 한강 방류사건’, 『함께 사는 길』 2000년 9월호
______(2001), ‘소파 개정, 무엇이 문제인가?’, 『환경과생명』 2001년 봄호
자주민보 편집부 엮음(2000), 『움직이는 것은 무엇이든 쏴라』, 자주민보
주한미군범죄근절운동본부 엮음(1999), 『끝나지 않은 아픔의 역사 - 미군범죄』, 개마서원
최승환(1999), ‘주한미군기지와 환경오염: 미국 정부의 국가책임과 피해자의 법적 구제’, 주한미군범죄근절운동본부 엮음(1999), 『끝나지 않은 아픔의 역사 - 미군범죄』, 개마서원
최장집(1987), ‘한국의 초기 국가형성의 성격과 구조, 1945-1948: 정치 사회단체의 발생, 변화, 소멸을 중심으로’, 한국산업사회연구회, 『산업사회연구』 제2집, 한울
홍성태(2000), ‘군사공간의 생태적 재생과 문화정치 - 용산 미군기지의 경우’, 『공간과사회』 제14호
______(2002ㄱ), ‘미국은 왜 전쟁을 필요로 하는가’, 『황해문화』 2002년 봄호
______(2002ㄴ), ‘전쟁국가 미국과 정보전쟁’, 2002년 제주인권학술회의 발표논문
황숙희(2001), ‘한반도의 미군기지’, 『함께 사는 길』 2001년 9월호
황희연(2000), ‘국토의 난개발 열풍, 그 실태와 대책’, 『환경과생명』 2000년 가을호
仁科建一 외(1989), 『한국공해리포트 - 원전에서 산재까지』, 개마고원
Kakonen, Jyrki(1994), Green Security or Militarized Environment, Dartmouth
Renner, Michael(1991), ‘환경에 대한 군대의 전쟁행위’, 김범철이승환 옮김(1991), 『지구환경보고서 1991』, 님
Romm, Joseph(1993), Defining National Security - the Nonmilitary Aspects, The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Inc.
WCED(1987), 조형준홍성태 옮김(1994), 『우리 공동의 미래』, 새물결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01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