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국 사회복지의 역사
본문내용
처의 사회복지 철학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① 개인의 자유와 경쟁에의 신념
② 국가에 의한 거시적 경제정책의 재한
③ 복지국가 역할의 제한과 전환
④ 반노동조합주의
⑤ 반사회주의
⑥ 자본주의예찬
2)대처정부의 사회보장개혁
1983년에 파울러 개혁착수→1985년 6월과 12월 「사회보장의 개혁」이 근간 되어 찬반 양 논의 논쟁→1986년 6월 법안 의회상정→7월 「1986년 사회보장법」으로 통과
※ 파울러가 지적한 당시 사회보장제도의 결함
① 사회보장제도의 지나치게 복잡한 점.
② 가족소득보장제도의 낮은 수급율을 효과적인 급여제도로 바꾸어야 함.
③ 빈곤의 덫과 실업의 덫을 방치하고 있다.
④ 자조능력이나 선택의 자유를 제한하고 있다.
⑤ 연금제도의 의 재정부담방식은 부과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투자에 활용할 적립 된 자금이 부족하다.
※ 백서가 설정한「개혁의 목표」
① 일관성 있는 문제 대처 제도의 토대를 만든다.
② 연금재정 문제의 해결과 장래 세대에 의한 자원활용의 선택의 폭을 증대시킨다.
③ 최대의 니드를 필요로 하는 분야에 대한 효과적인 급여 실시.(자녀가 있는 저소득층)
④ 이해하기가 쉽고 운영이 편한 제도를 만든다.
⑤ 사회보장제도와 조세제도와의 협조관계를 규정한다.
⑥ 경제에 대한 정부의 일반적 제 목표와 사회보장의 조정을 중요시한다.
⑦ 사회보장은 국가만의 역할이 아니고「개인과 국가와의 제휴」에 의해서 구축되야 함.
이렇게 하여 영국의 복지국가는 보편주의보다는 선별주의적 복지 강화와 확대를 지향하여 전후 역사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의 복지 축소 정책으로 일관하였다.
① 개인의 자유와 경쟁에의 신념
② 국가에 의한 거시적 경제정책의 재한
③ 복지국가 역할의 제한과 전환
④ 반노동조합주의
⑤ 반사회주의
⑥ 자본주의예찬
2)대처정부의 사회보장개혁
1983년에 파울러 개혁착수→1985년 6월과 12월 「사회보장의 개혁」이 근간 되어 찬반 양 논의 논쟁→1986년 6월 법안 의회상정→7월 「1986년 사회보장법」으로 통과
※ 파울러가 지적한 당시 사회보장제도의 결함
① 사회보장제도의 지나치게 복잡한 점.
② 가족소득보장제도의 낮은 수급율을 효과적인 급여제도로 바꾸어야 함.
③ 빈곤의 덫과 실업의 덫을 방치하고 있다.
④ 자조능력이나 선택의 자유를 제한하고 있다.
⑤ 연금제도의 의 재정부담방식은 부과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투자에 활용할 적립 된 자금이 부족하다.
※ 백서가 설정한「개혁의 목표」
① 일관성 있는 문제 대처 제도의 토대를 만든다.
② 연금재정 문제의 해결과 장래 세대에 의한 자원활용의 선택의 폭을 증대시킨다.
③ 최대의 니드를 필요로 하는 분야에 대한 효과적인 급여 실시.(자녀가 있는 저소득층)
④ 이해하기가 쉽고 운영이 편한 제도를 만든다.
⑤ 사회보장제도와 조세제도와의 협조관계를 규정한다.
⑥ 경제에 대한 정부의 일반적 제 목표와 사회보장의 조정을 중요시한다.
⑦ 사회보장은 국가만의 역할이 아니고「개인과 국가와의 제휴」에 의해서 구축되야 함.
이렇게 하여 영국의 복지국가는 보편주의보다는 선별주의적 복지 강화와 확대를 지향하여 전후 역사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의 복지 축소 정책으로 일관하였다.
키워드
추천자료
영국의 사회복지발달사
영국의 사회복지 발달사와 빈민구호에 영향을 준 요인
영국의 사회복지제도의 발전과정과 대처리즘의 복지개혁
사회복지의 역사와 발달과정
영국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의 역사
영국의 사회복지법 형성과정 중 구빈법 제정의 시대적 배경을 설명하고 구빈법의 변화과정을 ...
영국 사회복지의 발달
영국의 사회복지법과 독일의 사회복지법 발달 과정을 설명하고 영국과 독일의 사회복지법 특...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역사와 서양의 사회복지 역사에 대하여 비교해보고, 우리나라 사회복지 ...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의 역사 - 1.서구 사회복지의 역사 (빈민법,사회보험,복지국가의 ...
영국에서 사회복지정책이 태동되면서부터 발전해온 사회복지와 관련된 대표적인 사회복지법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