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사회복지의 발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영국의 초기 자선사업
2. 구빈법 시기의 사회복지
3. 사회개혁운동과 자선조직
4. 봉사국가와 자유당의 사회입법 - 다수파 대 소수파 보고서 시기
5. 복지국가 시대와 베버리지 보고서 - 요람에서 무덤까지

본문내용

법'과 '국민보험법', '국민보건서비스법', 1948년 '국민부조법'등의 보고서의 권고사항 입법화 6. 80년대 신우파와 대처리즘 - 복지국가의 위기와 재편 ○ 70년대 오일쇼크와 불황기의 도래로 케인즈주의를 기반으로 한 복지국가, 사회복지제도 공격 ○ 대처리즘 (Thacherism) - 1980년대 신자유주의 이념을 신봉하는 신우파 정당 대처정부 집권, 과도한 사회복지 지출이 경제성장을 둔화시키고 정부의 재정위기를 불러왔다는 신념 기반으로 *복지비의 삭감 및 지출구성변화 * 공공부분의 민영화 * 지방정부의 역할축소 * 노조를 포함한 사회세력의 약화 등의 정책시행 - 신보수주의 정책 원칙 : '자조'와 '개인책임'원칙 보편주의에서 후퇴한 선별주의 열등처우의 원칙 ○ 제 3의 길 - 시장의 효율성과 사회적 연대의 조화 추구 - 근본적으로 변한 세계에 사회민주주의를 적응시키고자 하는 사고와 정책 형성의 틀을 가리킨다. 이것은 구식 사회민주주의와 신자유주의를 뛰어넘는 시도라는 의미에서 앤서니 기든스의 '제 3의 길' - 역사가 에릭 (Eric Hobsbawm)이나 스튜어트 홀(Stuart Hall) 등 영 국의 좌파이론가들처럼 '제3의 길'이 사회경제적으로 화해 불가능한 것들을 모두 포괄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노선이라고 반박 +++ 참고문헌 김영모, <사회복지학>, 고헌출판부, 1991 백종만 외, <사회와 복지>, 나눔의 집, 2001 류상열, <사회복지역사>, 학지사, 2002 박용순, <사회복지개론>, 학지사, 1999 칼 드 슈바이니츠, <영국 사회복지발달사>, 인간과복지, 2001
  • 가격2,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5.31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05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