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행동의 무의식적 심리현상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행동의 무의식적 심리현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을 전가하여 핑계 댈 구실을 만들어 자존심을 보호하는 것.
심리적 반발 (Psychological Reactance) - 멍석 깔아주면 안 하는 것 처럼 하라면 하기 싫고, 말리면 하고 싶은 것.
112. 자극포만 기법 (stimulus-satiation Technique) - 비정상적인 행동을 그만두게 하는 심리학적인 치료방법으로 좋아하는 것을 물리게 하여 그만두게 하는 것.
113. 정서의 말초설 (Peripheral Theory of Emotion) - 아이들이 싸우다 코피가 나면 눈물을 흘리며 우는 것처럼 신체의 말초반응들이 감정을 유도하는 것.
114. 점화 효과 (Priming Effect) - 특정한 정서와 관련된 정보들이 그물망처럼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한 가지 정보가 자극을 받으면 관련된 기억들이 함께 떠오르는 것.
115. 몰개성화 (Deindividuation) 현상 - 스타의 공연을 보는 오빠 부대 마냥 흥분하면 자신의 상태를 파악하는 능력이 감소되어 하나의 독립된 개체로서의 개성을 상실하는 것.
116. 뷰 캐넌 증후군 - 루이뷔통, 프라다, 샤넬, 피에르가르탱 등의 명품을 앞에 두고 그것을 느끼는 감정.
제임스 트위첼이 지은 '럭셔리신드롬'에서 나온 용어이다.
명확하지는 않지만, 명품을 구입하는 사람들이 경제적으로 자기보다 아래 계층사람들과 구별하기 위한
혐오스러운 비교, 쾌감이나 정복감, 억압으로부터 해방감까지의 감정 등을 복합적으로 가리키는 말이다.
무엇보다도 자기만족현상을 말한다.
117. 쇼그렌 증후군 - 자가면역질환으로 자신의 외분비선을 공격해 점액질 분비와 침샘 눈물샘이 손상되는 것을 말한다.
118. 램프 증후군 -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걱정의 마술램프' 걱정이라는 거인을 스스로 불러놓고 명령한다. "자 나를 불행의 세계로 인도해 다오" "지금 고통을 이리로 데려오렴" 걱정이라는 환영을 붙들고 그저 처분만 기다리며 괴로와 하는 현상.
119. 에반스 증후군 - 신체가 적혈구, 혈소판, 백혈구 등을 파괴하는 희귀한 자기면역혼란 증상.
에반스 증후군의 증상은 경우에 따라 다르다. 환자는 여러가지 증상들을 모두 나타내기도 하며, 한두 가지만을 나타내기도 한다. 자기 신체가 자신을 파괴하는 증후군.
120. 단순접촉효과(Effect of simple contrast) - 자주 만나고, 우연으로라도 자주 보게 되면 정이 들고 그렇다하고 생각하는 것처럼 단지 자주 접촉하는 것만으로도 호감을 주는 효과.
121. 민모션 증후군 - 큰 소리로 울지 못해서 입술을 깨물거나 손으로 입을 막으며 울음소리를 밖으로 내비치지 않으려는 현상.
122. 소극적 공격성 - 소극적 공격성이란 겉으로는 조용하고 순해보이지만, 소리치고 불 같이 화를 내는 것보다
오히려 상대방을 더 화나게 하는 상대하기 어려운 성격을 일컫는다. 말로는 남의 속을 뒤집는 깐죽이라도 행동으로 공격은 하지 않는다. 대화 중 말끝마다 토를 달고 비꼬는 버릇이 있는데, 아무 말 없이 고집스럽게 일을 하지 않고 버티거나 이유없이 자신이 속한 조직을 욕하는 것, 혹은 자신의 불운에 대해 듣는이가 없어도 끊임없이 중얼거리는 행위 등도 이에 속한다. 실수를 무서워하는 사람에게 나타나는 증상이며, 실수를 피하려다 나타나는 조용한 반항이다.
123. 로스트 베이로제 증후군 - 힘들거나 우울할 때, 자신도 모르게 기대게 되는 현상.
그 순간만 기억에서 잊혀지게 되면, 나중에는 전혀 기억이 나지 않는다.
겉으로는 강한 '척'을 하거나 믿음직스러운 '척'을 하는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증세.
124. 로리타[ lolita ]컴플렉스 - 로리타 컴플렉스는 어린이를 성적 대상으로 삼고 이를 즐기는 것, 혹은 소아에 대한 이상 성욕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이는 성적도착증(性的倒錯症)을 다룬 소설로 로리타 콤플렉스라는 말이 이 소설에서 생겨났다. 로리타 콤플렉스"란 아직 성인이 되기전의 여자 아이, 특히 10세 이하 또는 10대 초반의 미성숙한 소녀에 대해 성적인 매력을 느끼는 심리를 말한다. 로리타콤플렉스를 줄여서 "로리콘"이라고도 한다.
125. 쇼타로 콤플렉스- 로리타 콤플렉스의 반대되는 계념으로 성인이 되기전의 남자아이,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의 귀여운 소년에서 느끼는 성적 매력을 의미한다. 줄여서 "쇼타콘"이라고도 한다.
126. 루키즘 [lookism] - 외모가 개인간의 우열과 성패를 가름한다고 믿어 외모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외모지상주의를 일컫는 용어로써 외모(용모)가 개인간의 우열뿐 아니라 인생의 성패까지 좌우한다고 믿어 외모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경향 또는 그러한 사회 풍조 현상.
127. 아스페르거 증후군[aspergers syndrome] - 자폐성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으로, 자폐증처럼 뇌기능 장애의 일종이지만, 지능이나 언어능력이 정상이라는 점에서 자폐증과 구분된다. 일반적인 증상은 사교성(사회성)이 없다는 점. 사회성 발달 장애에 따라 사람들과 눈을 마주치지 못한다. 말로 표현되지 않는 얼굴 표정이나 몸짓 등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서툴기때문에 다른 사람의 감정상태도 전혀 파악하지 못한다.
128. 파토스 정서 - 감정을 공유하고픈 욕구 때문에 타인과의 교류를 문학적으로 파토스적 정서라고 한다.
129. 해리성 정체장애 - 해리성 다중인격장애라고도 하며, 한 사람이 둘 이상의 인격을 가지고 있는 정신 질환이며, 다중인격장애라고도 하고, 예전에는 빙의라고도 하였다. 다중인격은 실제로 한 사람 안에 여러개의 인격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의 내부에서 오랫동안 형성된 정신 상태의 일부분들이 일시적으로 그 사람의 전체를 조종하는 것이다.
원인은 유년시절에 받은 육체적 또는 성적 학대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가족이나 친구의 죽음, 끔찍한 사고의 목격 등 정신적 외상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130. 자성예언(self-fulfilling prothecy)
자성예언이란 사람들은 타인에 대해서 어떤 기대나 신념을 가지면 타인으로 하여금 기대와 일치하는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여 자신의 기대를 확증시키는 경향을 일컫는 말입니다. 비슷한 의미로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가 있습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06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