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강도가 틀린 답)
②아스팔트 방수층의 치켜 올림 높이: 300∼400mm
3) 아스팔트의 종류
①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점성, 신축성, 침투성이 크나 증발성분이 많고 온도에 의한 강도, 연성
유연성의 변화가 큰 것으로 아스팔트 펠트나 루핑의 바탕재료가 된다.(지하실방수)
②부라운 아스팔트 - 뜨거운 공기를 불어넣어 만든 아스팔트로 온도에 의한 변화가 적으며
안정성이 크다.(옥상방수)
<수지>
1) ①열경화성수지(열에 단단해지는)- 페놀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멜라민 수지, 실리콘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FRP판을 만들어 물탱크 등에 사용한다.
㉡페놀수지: 전기통신 재료로 60%이상 사용되고 기타 화장판류, 도료, 접착재 등에 쓰이는 수지
㉢에폭시수지: 내산 내알카리성으로 금속등 항공기의 접착제
②열가소성 수지(열에 녹는)- 염화비닐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아크릴수지
<도료>
1) 페인트의 종류
①유성페인트 : 안료와 건조성 지방유를 혼합. 불투명 피막형성
②수성페인트 : 소석고, 안료, 접착제를 혼합. 물로 녹여 사용
③니스(바니쉬) : 수지 또는 섬유소에 휘발성 용제를 혼합한 것. 투명하나 느린 건조
④에나멜 페인트: 니스에 안료(물감)를 석은 것
⑤래커(락카) : 합성수지에 휘발성 용제(신나)를 혼합. 투명하고 빠르게 건조
⑥에멀션 페인트- 물에 아스팔트, 유성페인트, 수지성 페인트 등을 현탁 시킨 유화 액상 페인트
2) 안료와 유성니스를 반죽한 페인트- 에나멜 페인트
3) 목재의 바탕 무늬를 살리기 위한 페인트- 클리어 래커(건조가 빠르다)
4) 락카를 도장할 때 사용하는 희석재?- 신나
5) 합성수지 도료의 특징
①건조가 빠르다. ②도막이 단단하다. 광택이 있다.
③내산,내알칼리성이다. ④방화성이 크다. ⑤값이 싸다.(목재의 도장에 사용)
6) 각종 도료의 특징
①유성페인트는 바탕의 재질을 감춘다. ②바니쉬는 바탕의 재질을 그대로 나타낸다.
③광명단은 철재의 부식을 방지한다. ④에나멜페인트는 도막이 견고하고 광택이 좋다.
7)오일스테인 - 목재의 채색을 위한 착색재이다.
8)에멀션 페인트- 물에 아스팔트, 유성페인트, 수지성 페인트 등을 현탁 시킨 유화 액상 페인트
<기타 마감재료>
1) 기경성재료: 석회(회반죽), 진흙
수경성재료: 시멘트, 석고
2) 회반죽이 공기 중에서 굳을 때 필요한 물질- 탄산가스(CO2),(☆기경성 이다)
회반죽에 여물을 넣는 이유: 균열을 방지한다.
3)돌로마이트 석회(돌로마이트 플라스터)
① 석회의 일종으로 소석회보다 비중의 크고 굳으면 강도가 크다.
② 점성이 좋아 풀(해초풀)을 넣을 필요가 없다.
③ 건조 수축이 커서 균열이 나기 쉬우며 물에 약한 결점이 있다.
④ 냄새 곰팡이가 없고 변색될 염려가 없다.
⑤ 기경성이다.
4)암면: 현무암, 안산암 등을 녹여 분출한 단열재로 단열 및 흡음 효과가 있다.
암면제품- 암면 펠트, 암면판, 흡음판 등이 있다.(불연재료)
5)창면적이 클 때 스틸 바는 약하므로 보강하는 것은?- 멀리온
<기와>
1)일식기와의 사용 위치 ☞ 그림
①내림새 -처마 끝
②감새 -박공처마
③감내림새 -박공처마 끝
④마루장 기와- 용마루
(암기와와 숫기와는 한식기와이므로 틀린 답)
2) 금속판 지붕이기
①금속판 이기는 거멀 접기로 한다.
②금속판 이기에서는 산에다 구리못을 박는다.(골에 박지 않는다)
③기와가락 이기에서 기와가락은 5cm정도 각재를 사용한다.
④처마 끝에는 거멀띠를 설치한다.
3) 옥상의 빗물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철제품은?- 루프 드레인
②아스팔트 방수층의 치켜 올림 높이: 300∼400mm
3) 아스팔트의 종류
①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점성, 신축성, 침투성이 크나 증발성분이 많고 온도에 의한 강도, 연성
유연성의 변화가 큰 것으로 아스팔트 펠트나 루핑의 바탕재료가 된다.(지하실방수)
②부라운 아스팔트 - 뜨거운 공기를 불어넣어 만든 아스팔트로 온도에 의한 변화가 적으며
안정성이 크다.(옥상방수)
<수지>
1) ①열경화성수지(열에 단단해지는)- 페놀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멜라민 수지, 실리콘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FRP판을 만들어 물탱크 등에 사용한다.
㉡페놀수지: 전기통신 재료로 60%이상 사용되고 기타 화장판류, 도료, 접착재 등에 쓰이는 수지
㉢에폭시수지: 내산 내알카리성으로 금속등 항공기의 접착제
②열가소성 수지(열에 녹는)- 염화비닐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아크릴수지
<도료>
1) 페인트의 종류
①유성페인트 : 안료와 건조성 지방유를 혼합. 불투명 피막형성
②수성페인트 : 소석고, 안료, 접착제를 혼합. 물로 녹여 사용
③니스(바니쉬) : 수지 또는 섬유소에 휘발성 용제를 혼합한 것. 투명하나 느린 건조
④에나멜 페인트: 니스에 안료(물감)를 석은 것
⑤래커(락카) : 합성수지에 휘발성 용제(신나)를 혼합. 투명하고 빠르게 건조
⑥에멀션 페인트- 물에 아스팔트, 유성페인트, 수지성 페인트 등을 현탁 시킨 유화 액상 페인트
2) 안료와 유성니스를 반죽한 페인트- 에나멜 페인트
3) 목재의 바탕 무늬를 살리기 위한 페인트- 클리어 래커(건조가 빠르다)
4) 락카를 도장할 때 사용하는 희석재?- 신나
5) 합성수지 도료의 특징
①건조가 빠르다. ②도막이 단단하다. 광택이 있다.
③내산,내알칼리성이다. ④방화성이 크다. ⑤값이 싸다.(목재의 도장에 사용)
6) 각종 도료의 특징
①유성페인트는 바탕의 재질을 감춘다. ②바니쉬는 바탕의 재질을 그대로 나타낸다.
③광명단은 철재의 부식을 방지한다. ④에나멜페인트는 도막이 견고하고 광택이 좋다.
7)오일스테인 - 목재의 채색을 위한 착색재이다.
8)에멀션 페인트- 물에 아스팔트, 유성페인트, 수지성 페인트 등을 현탁 시킨 유화 액상 페인트
<기타 마감재료>
1) 기경성재료: 석회(회반죽), 진흙
수경성재료: 시멘트, 석고
2) 회반죽이 공기 중에서 굳을 때 필요한 물질- 탄산가스(CO2),(☆기경성 이다)
회반죽에 여물을 넣는 이유: 균열을 방지한다.
3)돌로마이트 석회(돌로마이트 플라스터)
① 석회의 일종으로 소석회보다 비중의 크고 굳으면 강도가 크다.
② 점성이 좋아 풀(해초풀)을 넣을 필요가 없다.
③ 건조 수축이 커서 균열이 나기 쉬우며 물에 약한 결점이 있다.
④ 냄새 곰팡이가 없고 변색될 염려가 없다.
⑤ 기경성이다.
4)암면: 현무암, 안산암 등을 녹여 분출한 단열재로 단열 및 흡음 효과가 있다.
암면제품- 암면 펠트, 암면판, 흡음판 등이 있다.(불연재료)
5)창면적이 클 때 스틸 바는 약하므로 보강하는 것은?- 멀리온
<기와>
1)일식기와의 사용 위치 ☞ 그림
①내림새 -처마 끝
②감새 -박공처마
③감내림새 -박공처마 끝
④마루장 기와- 용마루
(암기와와 숫기와는 한식기와이므로 틀린 답)
2) 금속판 지붕이기
①금속판 이기는 거멀 접기로 한다.
②금속판 이기에서는 산에다 구리못을 박는다.(골에 박지 않는다)
③기와가락 이기에서 기와가락은 5cm정도 각재를 사용한다.
④처마 끝에는 거멀띠를 설치한다.
3) 옥상의 빗물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철제품은?- 루프 드레인
추천자료
페로의 건축양식(미니멀 건축)
기후지역에 따른 건축사례 (토속 건축)
건축의 발달과정및 각 건축의 특징
근대건축의 문제점및 현대건축의 개요 및 특징
건축과 냉방-창을 통한 직사광을 차단할 수 있는 각종 건축적 장치
[건축설비] 건축설비의 개요, 계획, 순서, 급수방식
[미니멀리즘 건축] 미니멀리즘 건축작가와 건축작품
[실내공간, 구조주의건축, 전통적 표현, 베리어프리, 인스톨레이션, 구조주의, 건축, 매개공...
[유지관리][유지][관리][상하수도 유지관리][건축물 유지관리][기업 유지관리][소방시설 유지...
서양건축사 후기 르네상스 건축
[건축계획 정리집] 건축기사필기시험, 전공 및 비전공자용
[현대건축] 건축가, 페터 춤토르 (Peter Zumthor).pptx
프랭크 게리의 건축 Technology,Process 그리고 건축사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