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국 기업정보화 실태 및 전략
2. 국유기업 70% 정보화 착수
3. 부문별 정보화 추진 활발
4. 기업정보화 추진 제약 요소 많아
5. 정보화 기초시설 갖추기 ‘급선무’
6. 기술·관리·제도 혁신 필수
7. 거시적 안목 갖고 추진해야
8. 중국 모니터 시장 쾌속 성장
9. 중국 서버업계 시장공략 가속화
10. 중국 제2세대 인터넷 네트웍시대 개막
11. 상하이 교통대학, ICPC대회 우승
12. 정보안전산업분회 설립
13. 중국과학원, SW 고급기술자 육성
14. 오라클 중국연구개발센터 설립
15. 한국 기업이 실태와 전망
2. 국유기업 70% 정보화 착수
3. 부문별 정보화 추진 활발
4. 기업정보화 추진 제약 요소 많아
5. 정보화 기초시설 갖추기 ‘급선무’
6. 기술·관리·제도 혁신 필수
7. 거시적 안목 갖고 추진해야
8. 중국 모니터 시장 쾌속 성장
9. 중국 서버업계 시장공략 가속화
10. 중국 제2세대 인터넷 네트웍시대 개막
11. 상하이 교통대학, ICPC대회 우승
12. 정보안전산업분회 설립
13. 중국과학원, SW 고급기술자 육성
14. 오라클 중국연구개발센터 설립
15. 한국 기업이 실태와 전망
본문내용
1992년 수교 전까지 71개 기업이 설립되었는데 주로 중소형기업의 노동집약형 소규모 투자였다. 이 시기를 탐색적 투자 단계라 할 수 있다. 두번째 단계는 수교 후부터 한국의 금융위기 전(1992.8 -1996)으로, 투자 업체수는 846개, 계약액은 15.4억 달러로 큰 발전을 가져왔다. 섬유, 완구, 전자, 신발, 플라스틱 등 분야가 규모를 형성했다. 세번째 단계는 한국의 금융위기 기간(1997-1998)으로 한국 기업의 대 칭다오 투자는 대폭 감소했다. 뿐만 아니라 이미 투자한 기업도 영향을 받아 3분의 1 이상의 부도, 3분의 1이 겨우 버티는 상태였다. 네번째 단계는 1999년 후로 투자가 재개 발전하는 시기이다. 1999년 허가 항목 수는 전해보다 72.6% 성장했고 2000년은 또 전해보다 70.7%성장, 계약액은 163%, 실제투자액은 37.5% 성장했다. 2004년 허가 항목수 757개, 2005년 1-3월 허가 항목 355개(38.13%), 계약액 7.26억 달러(18.41%), 투자액 6.84억 달러 (92.28%)를 나타냈다.
올 3월말까지 누계 허가항목수는 7,186개, 계약액은 132.39억달러, 실제투자액은 74.81억 달러이다(칭다오 외상투자의 근절반). 칭다오 상주 한국인 수는 6만명으로 추정된다. 2002년 한국기업의 기업소득세는 8.2억위안으로 외자기업 납세 총액의 24%를 차지했고 한국 기업의 종업원 수는 30.9만명으로 외자기업 종업원 총 수의 58.6%를 차지했다. 수출 실적은 40억 달러로 칭다오시 수출총액의 45%이상을 차지했다. 칭다오한국무역관 전임 관장 장행복은 2003년 말에 발표한 논문에서 한국 기업의 칭다오진출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투자가 노동밀집형에서 노동, 자금, 기술밀집형으로, 중소형에서 대형 프로젝트로 발전하고 있다면서 2003년 1-9월간 건당 투자액이 120만 달러이며 또 포항 스텐레스, 고려제강, 효성, LG등이 투자한 4개 프로젝트의 계약액이 1억 이상 라는 것을 예로 들었다. 그러나 노동집약형에서 지금, 기술밀집형으로의 전환에 대하여 엇갈리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한국무역관 김성수 현임 관장은 칭다오 진출 한국 기업의 85%는 노동밀집형(생산기지형)이라면서 중국의 WTO가입 후 내수시장형 투자는 상하이, 베이징, 천진, 광주 등지로 집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칭다오가 중국 시장의 중심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얘기다. 또한 그는 칭다오의 투자환경의 변화에도 언급했다. 전력부족, 인력 부족, 인건비 상승이 그것이다. 인력을 구하기 힘든 현상이 나타나 허난성에까지 가서 인력을 뽑는 형편이며 최저임금이 410위안에서 530만위안으로 올랐으며 지금까지 한눈 감아주던 보험비 등 "준조세"를 어김없이 내야 하므로 생산원가는 올라갈 수밖에 없다. 그리고 땅값도 뛰어오르고 있다. 이윤이 적어지는 경우 생산기지형 기업은 자리를 옮길 수밖에 없다. 중국 내지로 옮길 수도 있지만 인도 등 외국으로 옮겨갈 가능성이 더 크다. 남북관계의 변화에 따라 북으로의 이전도 바람직한 진로가 될 것이다. 국내외 정세의 변화도 변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칭다오 진출 한국 기업의 전망을 낙관적으로 만 볼 수 없다는 견해이다. 칭다오 한인상공회 김길주 부회장도 인력 부족, 인건비 증가, 준부가세 그리고 중국 기업의 추월 등을 들면서 3년전부터 위기감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서 칭다오 주재 한국 총영사관 신형근 총영사는 그런변수의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칭다오 진출 한국 기업의 전망은 "예견할 수 있는 장래까지는 좋을 것"이라고 인정하면서 한국 기업의 다각화 투자와 중국에서의 산동경제의 지위상승을 근거로 들었다.
올 3월말까지 누계 허가항목수는 7,186개, 계약액은 132.39억달러, 실제투자액은 74.81억 달러이다(칭다오 외상투자의 근절반). 칭다오 상주 한국인 수는 6만명으로 추정된다. 2002년 한국기업의 기업소득세는 8.2억위안으로 외자기업 납세 총액의 24%를 차지했고 한국 기업의 종업원 수는 30.9만명으로 외자기업 종업원 총 수의 58.6%를 차지했다. 수출 실적은 40억 달러로 칭다오시 수출총액의 45%이상을 차지했다. 칭다오한국무역관 전임 관장 장행복은 2003년 말에 발표한 논문에서 한국 기업의 칭다오진출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투자가 노동밀집형에서 노동, 자금, 기술밀집형으로, 중소형에서 대형 프로젝트로 발전하고 있다면서 2003년 1-9월간 건당 투자액이 120만 달러이며 또 포항 스텐레스, 고려제강, 효성, LG등이 투자한 4개 프로젝트의 계약액이 1억 이상 라는 것을 예로 들었다. 그러나 노동집약형에서 지금, 기술밀집형으로의 전환에 대하여 엇갈리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한국무역관 김성수 현임 관장은 칭다오 진출 한국 기업의 85%는 노동밀집형(생산기지형)이라면서 중국의 WTO가입 후 내수시장형 투자는 상하이, 베이징, 천진, 광주 등지로 집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칭다오가 중국 시장의 중심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얘기다. 또한 그는 칭다오의 투자환경의 변화에도 언급했다. 전력부족, 인력 부족, 인건비 상승이 그것이다. 인력을 구하기 힘든 현상이 나타나 허난성에까지 가서 인력을 뽑는 형편이며 최저임금이 410위안에서 530만위안으로 올랐으며 지금까지 한눈 감아주던 보험비 등 "준조세"를 어김없이 내야 하므로 생산원가는 올라갈 수밖에 없다. 그리고 땅값도 뛰어오르고 있다. 이윤이 적어지는 경우 생산기지형 기업은 자리를 옮길 수밖에 없다. 중국 내지로 옮길 수도 있지만 인도 등 외국으로 옮겨갈 가능성이 더 크다. 남북관계의 변화에 따라 북으로의 이전도 바람직한 진로가 될 것이다. 국내외 정세의 변화도 변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칭다오 진출 한국 기업의 전망을 낙관적으로 만 볼 수 없다는 견해이다. 칭다오 한인상공회 김길주 부회장도 인력 부족, 인건비 증가, 준부가세 그리고 중국 기업의 추월 등을 들면서 3년전부터 위기감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서 칭다오 주재 한국 총영사관 신형근 총영사는 그런변수의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칭다오 진출 한국 기업의 전망은 "예견할 수 있는 장래까지는 좋을 것"이라고 인정하면서 한국 기업의 다각화 투자와 중국에서의 산동경제의 지위상승을 근거로 들었다.
추천자료
기업윤리에 대해 알아보고, 한국 기업의 윤리경영 성공․실패 사례 분석과 한국기업...
[기업의 목표점] 한국 기업목표의 과거와 현재 분석 및 문제점과 한국기업의 기업목표 사례 분석
일본기업 및 한국기업과의 비교를 통한 한국 기업의 해외진출 방향
한국 기업의 지배구조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한국의기업지배구조 실태와문제점,기업지배구조,...
한국마사회,한국마사회기업분석,사행성사업,합법적인사행성사업,KRA,KRA기업분석,공기업한국...
[일본기업, 정부기업관계, 한국기업, 전문경영자지배기업]일본기업과 정부기업관계, 일본기업...
[기업조직][미국기업조직][일본기업조직][한국기업조직][싱가폴 기업조직][싱가포르][기업][...
한국기업의 특성과 주주중심 경영-지배 구조 이론의 유형,기업지배구조 유형,브랜드마케팅,서...
[기업지배구조] 기업지배구조 이론,한국기업의 성장변화,한국식 재벌구조,지배구조 유형,지배...
국내기업(우리나라기업, 한국기업) 국제화,재벌, 국내기업(우리나라기업, 한국기업) 기술발전...
[국내기업]국내기업(한국기업, 우리나라기업) 경영성과, 국내기업(한국기업, 우리나라기업) ...
우리나라기업(국내기업, 한국기업)의 요인, 업무관리, 우리나라기업(국내기업, 한국기업)의 ...
우리나라기업(한국기업, 국내기업)의 발전, 경영목표, 우리나라기업(한국기업, 국내기업)의 ...
[기업경영]국내기업(우리나라기업, 한국기업)의 필요성, 윤리문화, 국내기업(우리나라기업,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