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시장에서 증권유통시장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증권시장에서 증권유통시장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발행시장의 의의 및 구조
1. 발행시장의 역할과 의의
2. 발행시장의 기능
3. 발행시장의 구조
4. 공모발행과 사모발행
5. 직접발행과 간접발행

Ⅱ. 주식 발행시장
1. 주식의 의의
2. 주주
3. 기업공개

본문내용

다.
나. 증권선물거래소 상장의 필요성
1) 사회적 측면
현대사회의 기업은 단순히 경영자 개인의 전유물이 아니라 전체 국민이 참여하고 이익을 함께 향유하여야 하는 사회적 공기업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주식분산을 통해 일반대중으로부터 조달한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그 과실을 사회에 환원함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구현하고 증권자본주의를 실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 자금조달의 측면
기업의 초기단계에 있어서는 기업주 개인의 재력이나 간접금융(은행대출 등)에 의존하여 사업을 영위할 수 있으나 기업이 대형화되고 국제경쟁이 격화되면서 기업이 소요로 하는 막대한 자금을 그러한 수단에 의존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므로 유가증권을 체계적인 시장인 증권선물거래소에 상장하고 발행기업의 정보를 투자자에게 공개함으로써 발행회사 주식에 대한 환금성을 제고하고 투자자의 신뢰도를 확보하여 발행시장으로부터 대규모의 자금조달이 가능하게 된다.
3) 기업의 경영합리화 및 공신력 측면
주식분산을 통한 소유와 경영의 분리를 촉진하여 경영의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경영활동에 대한 공시의무가 부여되어 경영의 투명성이 제고되고, 다수의 투자자가 기업경영을 감시하게 되므로 기업의 공신력이 제고된다.
4) 국가 경제적 측면
투자자는 거래소에서의 각종 공시 등을 통하여 기업에 대한 적시적정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과거 실적과 미래의 성장성이 양호한 기업에 투자하게 되므로 국민경제 전체적으로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5) 투자자에 대한 다양한 투자수단 제공 측면
주식이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 될 경우 환금성이 높은 재산운용수단이 되어 투자자에게 새로운 투자수단을 제공한다.
6) 공적기업으로서의 책임성 제고 측면
주식분산에 의한 대중의 기업경영에의 참여와 정보의 공시를 통하여 특정인의 전유물이 아닌 공적 기업으로서의 책임성을 제고할 수 있다.
다. 기업공개의 추진과정과 현황
정부는 1968년 기업의 공개와 주식의 분산을 촉진하고 국민의 기업참가와 자본조달의 원활화를 기할 수 있는 투자여건을 조성함으로써 자본시장의 건전한 육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자본시장육성법을 제정한 이래 지속적인 기업공개 촉진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1972년에는 적극적인 기업공개 추진을 위하여 기업공개촉진법을 제정하였고 이에 따라 1973년부터 1978년에 이르는 기간 중에는 총 295개사가 공개됨으로써 기업공개가 크게 활기를 띄었으며 그 결과 우리나라 자본시장이 크게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1979년부터 1983년까지는 정부의 금융긴축과 경기후퇴로 주식시장이 침체하면서 기업공개가 크게 부진하였다(총 11개사). 그러나 1984년부터 경기회복과 자본자유화 분위기로 주식시장이 다시 활기를 찾으면서 기업공개 또한 활기를 찾게 되었으며 1989년에는 정부의 공개드라이브 정책으로 인한 지속적인 공개러시로 공개기업수가 크게 늘어났다. 또한 정부는 자본시장 확충 및 주식대중화 방안의 하나로 국민주인 한국전력공사의 주식을 매각함으로써 주주수 및 시가총액이 급증하면서 증시규모의 외형적 확대에 기여하였다. 1989년 4월 이후 주식시장의 침체로 기업공개가 다소 부진하였으나 1994년 이후 경기회복과 함께 주식시장이 회복되면서 많은 기업공개가 추진되다가 최근 외환위기와 IMF한파로 인해 다시 주춤했다. 그러나 거래소시장에 신규 상장회사는 적은 반면 최근 벤처열풍과 인터넷의 확산으로 코스닥시장은 1999년 한해 동안 104개의 새로운 기업이 상장되었으며, 2005년 3월 9일 현재 900사가 상장되어 있다.
라. 상장법인에 대한 혜택
상장법인은 필요한 자금을 증권시장을 통하여 유상증자와 사채발행 등의 방법으로 일반 대중으로부터 적시에 대량의 자금을 조달할 수 있으며 신문, TV 등 대중매체를 통하여 국내외에 전달됨으로써 기업의 PR효과와 공신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종업원에게 자사주식을 분산시킴으로서 생산성 향상, 경영권의 안정, 종업원 이직방지와 저축촉진을 통한 재산증식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 경영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대주주는 기업이 거래소시장에 상장이 되면 증권시장의 공정가격 형성기능을 통해 보유주식에 대한 환금성이 높아지고 보유주식을 담보로 금융기관의 대출을 받을 수 있으며 보증금이나 공탁금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재산운용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장기업에 대해서는 세제상의 혜택이나 각종 법률상의 혜택을 주고 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15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