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치료학 관련 원서논문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운동치료학 관련 원서논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일반적인 근육 이완을 얻는데 가장 적합한 자세라 할 수 있다.
5) 근 이완의 정도
근 긴장이 감소되는 정도는 다양하며 근 이완이라고 하는 말은 긴장의 얼마간의 감소를 의미하는 것이라 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근육을 만져보고 이완의 정도를 평가하는 것은 가능하나 환자가 치료 중 잠에 빠져드는 것은 일반적으로 이완이 잘 되어 있다는 좋은 증거이다.
6) 근육의 병적 긴장
근 긴장과 근 긴장도가 명확하여 영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신경 조직에 영향을 주고 있는 병적 상태를 나타낸다. 고위운동 중추의 병변과 척추반사궁과 고위운동 중추와 연결된 신경로의 정상기능에 영향을 주는 병변은 근 긴장항진에서 경련 또는 강직으로 변화하는 그 긴장의 이상 상태를 낳게 한다. 영향을 주는 부분의 근 긴장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은 근육 이완을 촉진하는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경련 감소에 의해 잔존하고 있는 기능적 활동의 재교육도 가능하게 된다.
2. 근 이완의 신경생리학적 기전
1) 근방추
2) GTO
3) 감마 spindle loop
4) Successive Induction
5) Reciprocal Inhibition(Innervation)
3. 이완 기법
1) General Relaxation
(1) Progressive relaxation training with deep breathing
환자는 전신 또는 사지의 이완을 배울 수 있다. 근육의 긴장은 의식적 노력과 사고로 완화될 수 있다. Jacobson's progressive relaxation과 같은 기법은 원위부에서 근위부로 진행하는 점진적인 근육의 의식적 수축과 이완을 제안한다.
* 절차
a. 환자를 조용한 곳에서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며 꽉 조이는 옷을 헐렁하게 한다.
b. 이완된 방법으로 심호흡을 하도록 한다.
c. 몇 초 동안 손과 발에 있는 원위부 근육들을 수의적으로 수축한다. 그리고 나서 그 근육들을 의식적으로 이완하도록 한다.
d. 환자가 손 또는 발이 무거운 것을 느끼도록 한다.
e. 이완된 근육이 더워지는 것을 느끼도록 한다.
f. 좀 더 근위부 근육에서 그러한 일이 일어나도록 한다. 좀 더 근위부 근육을 능동적으로 수축하고 이완한다. 결과적으로 환자가 등척성 수축을 하고 의식적으로 이완하도록 하며 전체 사지에 반복한다.
g. 사지가 무거워지는 것을 느끼도록 하며 그 느낌을 전신에서 가질 수 있도록 한다.
(2) 요가
(3) Autogenic relaxation; 최면(hypnosis)
(4) 수동운동
2) 국소 이완
(1) 열
근육 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결합조직은 수동 신장에 대하여 더 쉽게 늘어나며 GTO의 민감도가 상승한다. 또한 신장을 할 때 연부조직의 미세 외상을 줄여 운동 후 근육통을 예방한다.
(2) 맛사지
특히 심부 맛사지는 국소의 혈액 순환을 증진시키고 근 경축과 뻗뻑함을 줄여주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신장을 하기 전에 연부 조직의 신전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열을 가하기에 앞서 맛사지를 사용하기도 한다.
(3) Biofeedback
잘 훈련된 환자의 경우에는 생체궤환을 통하여 근육의 긴장을 추적 관찰하고 감소시킬 수 있다. 기각, 청각의 되먹이를 통하여 환자는 어느 근육이 이완하고 긴장하는지를 느끼고 감지할 수 있다. 생체궤환은 환자가 이완 과정을 배우고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의 하나이다. 근 긴장이 감소됨에 따라 통증이 감소될 수 있으며 유연성이 증가하게 된다.
(4) Joint traction or Oscillation
* 신장을 하기 전이나 관절 가동화 기법과 함께 약한 관절면의 도수 견인은 관절의 통증과 괸절 주위 근육 경축을 억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관절의 진자 운동은 사지의 무게를 이용하여 관절면을 견인함으로서 사지를 진동하고 이완하는 방법이다.
(5) Rood의 억제법
a. 경관절 압박은 관절 접근이라고도 하는데 경련성이 있는 근육의 억제를 위하여 사용된다. 편마비 환자에서 가끔 나타나는 견관절의 경련성 동통 완화를 위해 환자의 상완을 약 35-45도 외전하면서 관절와 속으로 상완 골두를 가볍게 밀면 견관절 주위 근육이 이완되면서 동통이 완화된다.
b. 가볍게 압력을 주면서 후지 부위를 천천히 쓰다듬으면 전신에서 근육의 긴장이 이완된다. 치료사의 한 손으로 환자의 후두부에서 시작하여 천천히 척추 근 조직을 따라 미부를 향하여 내려가고 한 손이 미부에 도착하면 다른 손을 사용하여 동일한 동작을 반복한다. 교대로 손을 바꾸어 가면서 이완될 때까지 3-5분 동안 계속한다.
c. 바로 누운 자세에서 옆으로 천천히 구르게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억제적이다. 치료사는 환자가 천천히 구를 수 있도록 환자의 어깨와 골반부를 잡아준다.
d. 흔들의자에서 몸을 천천히 흔드는 것도 억제적으로 작용한다. 만약 환자 스스로 의자를 흔드는 경우라면 치료사는 흔드는 속도를 신중하게 관찰하여야 한다. 너무 빠르면 전정 기관의 자극에 의하여 촉진이 일어난다.
e. 근육의 건이 뼈에 부착되는 정지부를 압박하면 그 아래에 있는 파치니안소체(Parcinian corpscles; 기계적 변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감각 기관)를 자극하여 근육을 억제한다.
f. 손의 외재굴근은 긴 건의 전체에 일정한 압력을 가함으로서 억제시킬 수 있는데 딱딱하고 직경이 약간 큰 손잡이를 치료 기구로 이용하면 이 자극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g. 오랜 시간 동안(몇 분에 수주일) 정상적인 근육의 길이보다 늘어난 위치나 짧아진 위치에 근육을 고정하여 두면 근방추는 그 길이의 범위 내에서 rebias 되어 근육의 길이가 현재보다 더 늘어나기 전에는 흥분을 하지 않음으로서 간접적인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h. 근육의 길이가 늘어나는 위치로 사지를 움직이기 전에 짧고 강력한 수축을 환자 스스로 시행하는 것은 경련성 근육의 긴장을 억제한다. 예를 들면 주관절 굴곡근에 경련성이 있엉서 주관절을 잘 신전하지 못하는 환자의 주관절 신전시 환자의 주관절을 신전하기 전에 먼저 짧고 강력한 주관절 굴곡을 환자 스스로 시행함으로서 주관절 굴곡근의 경련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20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