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하버마스 목적합리성 이론의 철학적 의도
2. 사회비판의 규범적 토대로서 의사소통합리성
3. 목적합리성과 의사소통합리성의 범주적 구분
4. 의사소통합리성의 목적합리적 왜곡화
5. 의사소통적 합리성의 성과와 그 한계
6. 하버마스 합리성이론의 전략적 상충에 대한 이론적 조망
참고자료
2. 사회비판의 규범적 토대로서 의사소통합리성
3. 목적합리성과 의사소통합리성의 범주적 구분
4. 의사소통합리성의 목적합리적 왜곡화
5. 의사소통적 합리성의 성과와 그 한계
6. 하버마스 합리성이론의 전략적 상충에 대한 이론적 조망
참고자료
본문내용
시에 비판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체계의 영역을 용인함으로써, 가치관련적 차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는 합리성의 일면화를 다시 허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결과의 배후에는 근대의 병리에 관한 '합리성의 일면화'를 통한 해명방식과 '생활세계의 식민화'를 통한 해명방식 사이의 이론적 부정합성이 놓여있다. 후자에 따르면 목적합리성과 의사소통합리성이 각기 자신의 지배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작동할 경우, 두 영역간의 동시적인 상호의존적 합리화가 원활히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근대화의 병리는 발생하지 않는다. 문제가 되는 것은 목적합리성이 체계를 넘어서 생활세계 안으로 침투해 들어오는 경우일 뿐, 규범적 특성이 제거된 목적합리성의 체계에 대한 전일적 지배는 그 자체로 아무런 문제도 없는 정당한 것이다. 곧 생활세계 내에서의 의사소통합리성의 도구화가 문제이지, 체계 내의 도구적 합리성의 전횡적 지배는 정상적인 것이다. 따라서 소외와 물상화로 대표되는 근대화의 병리에 대한 규범적 비판은 단지 생활세계에만 적용될 뿐 체계 내의 모순과 병폐는 완전히 무시된다. 이로써 하버마스의 철학적 기획은 단지 반편적 성과에 그치고 있다. 도구적 합리성의 본질을, 세 측면으로 이루어진 본래적 형태의 합리성이 선택적·일면적 방식에 의해 도구적으로 축소·왜곡된 것임을 밝히는 것이 하버마스의 본래의 의도였다. 그러나 합리성 유형에 관한 형식적 분석의 결과를 사회진화론의 차원으로 확장하여 성립시킨 '이단계 사회이론적 전략'이 체계 내에 합리성의 도구적 일면화를 허용하는 결과를 낳음에 따라, 규범적 차원의 비판에 촛점이 맞춰진 '개념분석적 전략'과 기능주의적 차원과 규범적 차원이 혼재된 '사회이론적 전략'은, 하버마스의 이론틀 내에서 서로 상충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따라서 이같은 이론적 체계의 비정합적인 귀결에 대해 보다 적절한 해명이 선행되지 않고서는, 상당한 정도의 이론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규범적 사회비판이론으로서 하버마스의 합리성이론의 호소력은 반감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참고자료
박영신(1987) [하버마스와 의사소통행위의 사회학]{현상과 인식}
백승균(1982) {변증법적 비판이론} 경문사,
윤평중(1990) {푸꼬와 하버마스를 넘어서}, 교보문고
장춘익 [비판적 사회이론의 정립과 정치적 실천의 회복을 위한 노력]
정호근 [하버마스의 담론이론] {철학과 현실} 1994
차인석(1979)[위르겐 하버마스] {현대의 사회사상가} 민음사
참고자료
박영신(1987) [하버마스와 의사소통행위의 사회학]{현상과 인식}
백승균(1982) {변증법적 비판이론} 경문사,
윤평중(1990) {푸꼬와 하버마스를 넘어서}, 교보문고
장춘익 [비판적 사회이론의 정립과 정치적 실천의 회복을 위한 노력]
정호근 [하버마스의 담론이론] {철학과 현실} 1994
차인석(1979)[위르겐 하버마스] {현대의 사회사상가} 민음사
추천자료
하버마스의 합리성과 교육
하버마스의 인식과 관심
하버마스 정리
[소년분류심사원][소년분류심사원 분류심사방법][소년분류심사원 교육활동]소년분류심사원 개...
하버마스의 합리성
하버마스
하버마스
[사회학, 현대 사회학, 사회학적 저항, 탈사회학, 하버마스 및 루만]사회학의 대상, 사회학의...
하버마스(Habermas)의 비판이론과 이상적 담화
[중기재정계획(mid-term financial planning)] 중기재정계획의 개념(정의)과 목적, 기능, 기...
해석학과 하버마스(Habermas)의 비판이론 [교육학] {해석학 정의, 딜타이의 해석학, 가다머의...
[정책학의 본질] 정책학(Policy sciences) - 정책학의 개념(정의)과 연구목적, 정책학 학문적...
[행정학] 행정가치와 행정윤리 - 행정가치의 분석모형, 의무론적 윤리와 목적론적(결과론적) ...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조사의 이해1- 사회복지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