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총수요 억제 정책이라고 합니다. 콜금리 인상/인하, 서프라임 모기지로 인한 미국 FRB금리 인하등을 예를 들 수 있겠죠. 또 지나친 임금 인상 때문에 물가가 상승했다면 임금 인상과 물가 상승의 악순환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임금 인상을 억제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을 소득 정책이라 부르는데요. 과거 한국정부는 임금가이드 라인을 설정, 정부가 제시한 기준이상 임금을 올리는 기업에는 여러가지 금융이나 세제면에서 불이익을 주는 방법으로 이를 시행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건 재경이 밀접이 연관된 한국에서나 가능하죠. 만약 독과점 기업이 부당한 이윤 획득을 위해 물가 상승이 일어났다면 독과점 기업을 규제하거나 경쟁 기업을 육성하여 이를 막을 수 있습니다. 이를 경쟁유지 정책이라 하고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