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본문내용
한국 장애인복지관 연구
‘자립생활(Independent Living) 패러다임'은, 장애인의 문제를 개인적 차원에서 이해하고 그 접근방법을 채택해왔던 전통적인 재활패러다임과는 달리, 장애인문제가 환경의 부적절함과 장애인의 의존성을 강화하는 재활과정에서 비롯된다고 보고, 특수한 기능이나 직업적 능력을 높이기 위한 제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효과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은 장애인문제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그 문제로의 접근방법은 무엇이 채택되어야 하는지, 장애인의 위상과 인권은 어떻게 반영되어야 하는 지 등의 측면에서 장애인 및 전문가들의 태도와 인식이 변화?발전되어온 결과를 반영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자립생활패러다임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서비스의 현주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구체적인 대상을 장애인복지관으로 하여, 재가장애인의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기능과 역할에 장애인복지관이 어느 정도 접근되어 있는지를 기관의 운영실태와 직원의 태도 및 인식의 범주에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는 기관과 직원용의 2가지 설문지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대상은 전국의 장애인복지관 79개소와 그 직원으로 하였는데, 최종적으로 33개 복지관과 그곳에 근무하는 총 177명의 직원이 응답하여, 그 자료를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부문별 예산?인력?실적, 재활 대 자립생활 프로그램 구성비율, 자립생활이념 반영수준, 장애인의 의사결정조직 참여도의 측면에서, 장애인복지관은 자립생활패러다임에 기초한 운영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가장애인 지원사업은 예산과 인력배치의 측면에서 전체 대비 12% 내외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연이용인원을 기준으로 한 사업실적에서도 25% 정도의 비중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복지관의 자립생활이념 반영수준에 대한 평가에서도 ‘그런 편’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보였고, 장애인의 의사결정조직 참여도는 직원 9.9%, 간부진 17.5%, 운영위원회 26.5%, 이사회 38.8%로 나타나 수치상으로는 장애인의 참여도가 아직은 낮음을 보여 주었다.
둘째, 장애인과 전문가의 역할 비중, 장애인의 결정권, 프로그램의 기여도, 서비스의 목적의 측면에서 장애인복지관 직원의 태도와 인식은 자립생활패러다임에 접근해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립생활(Independent Living) 패러다임'은, 장애인의 문제를 개인적 차원에서 이해하고 그 접근방법을 채택해왔던 전통적인 재활패러다임과는 달리, 장애인문제가 환경의 부적절함과 장애인의 의존성을 강화하는 재활과정에서 비롯된다고 보고, 특수한 기능이나 직업적 능력을 높이기 위한 제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효과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은 장애인문제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그 문제로의 접근방법은 무엇이 채택되어야 하는지, 장애인의 위상과 인권은 어떻게 반영되어야 하는 지 등의 측면에서 장애인 및 전문가들의 태도와 인식이 변화?발전되어온 결과를 반영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자립생활패러다임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서비스의 현주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구체적인 대상을 장애인복지관으로 하여, 재가장애인의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기능과 역할에 장애인복지관이 어느 정도 접근되어 있는지를 기관의 운영실태와 직원의 태도 및 인식의 범주에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는 기관과 직원용의 2가지 설문지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대상은 전국의 장애인복지관 79개소와 그 직원으로 하였는데, 최종적으로 33개 복지관과 그곳에 근무하는 총 177명의 직원이 응답하여, 그 자료를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부문별 예산?인력?실적, 재활 대 자립생활 프로그램 구성비율, 자립생활이념 반영수준, 장애인의 의사결정조직 참여도의 측면에서, 장애인복지관은 자립생활패러다임에 기초한 운영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가장애인 지원사업은 예산과 인력배치의 측면에서 전체 대비 12% 내외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연이용인원을 기준으로 한 사업실적에서도 25% 정도의 비중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복지관의 자립생활이념 반영수준에 대한 평가에서도 ‘그런 편’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보였고, 장애인의 의사결정조직 참여도는 직원 9.9%, 간부진 17.5%, 운영위원회 26.5%, 이사회 38.8%로 나타나 수치상으로는 장애인의 참여도가 아직은 낮음을 보여 주었다.
둘째, 장애인과 전문가의 역할 비중, 장애인의 결정권, 프로그램의 기여도, 서비스의 목적의 측면에서 장애인복지관 직원의 태도와 인식은 자립생활패러다임에 접근해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추천자료
정신지체의 모든 것
원주시 장애인 유형별 및 등급별 등록현황
[장애예방 및 방지] 장애의 원인과 여러방면에서의 장애 예방 방법 레포트
[장애인복지] 여성 장애인에 대한 복지 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과 향후 개선방안
[재활][장애인재활][재활(장애인재활) 활성화방안]재활(장애인재활)의 정의, 재활(장애인재활...
[장애인복지][장애인자활]장애인자립생활의 개념과 철학, 장애인자립생활의 등장배경, 장애인...
재활기관의 마케팅
장애인을 위한 생활환경
뇌성마비(뇌성마비장애인, 뇌성마비아동) 아동, 운동, 뇌성마비(뇌성마비장애인, 뇌성마비아...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 검사와 간호,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
장애인복지관 운영시스템구축,장애인복지관,운영시스템,장애인복지관
장애인복지(장애인복지개념, 장애인재활, 장애인복지관련법, 장애인복지정책, 복지시설과서비스)
[장애아동지원정책] 장애아동복지지원법 제정 배경 (장애아동 보육 현황, 장애인 교육제도 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