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착에 대한 유형과 애착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애착에 대한 유형과 애착이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애착에 대한 유형과 애착이론

본문내용

낯선 이가 나간다. 어머니가 돌아왔을 때의 아이의 반응에 따라 세 가지 애착반응을 확인했다

 1) 안정 애착: 어머니가 돌아오면 기뻐하며 가까이 가는 반응으로 아동의 15-75%가 이 반응을 보였다.

 2) 저항 애착: 어머니에게 가서 안아 달라고 하고는 도망가려는 반응으로 10-15%의 아동이 이 반응을 보였다.

 3) 회피 애착: 어머니에게 가지 않고 적극적으로 피하는 반응으로 20-25%가 이 반응을 보였다.
안정된 애착을 보이는 아동의 어머니는 아이가 어머니를 필요로 할 때마다 늘 곁에 있어주고 수용적이며 반응적 이었다. 이런 어머니는 아동이 탐색활동을 시작할 때 문제가 있으면 언제든 돌아와 의존할 수 있는 안전기지의 역할을 한다. 아이들은 환경이 안전해 보이고, 흥미 있고, 어머니가 가까이 있으면 탐색을 한다. 위험이 있을 것 같거나, 문제가 있을 때 어머니가 곁에 없을 것 같으면 탐색을 하지 않고 어머니 곁에 있으려 한다.
따라서 안정된 애착을 보이는 아동은 어머니에게 매달리고 과도하게 의존할 것이라는 생각과는 달리 필요할 때 어머니가 곁에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있기 때문에 더 독립적이 된다. 이러한 영아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어머니와 쉽게 잘 떨어지고 신체적 접촉을 덜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이 불안정한 애착을 보이는 경우는 어머니가 아동에게 안전기지의 역할을 제공하지 못한 결과이다. 이것은 지속적인 거부, 필요할 때 곁에 있어 주지 않기, 병적 부모역할의 형태(아동학대나 부모의 정신병) 등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이런 양육형태하의 아동은 어머니가 자신의 울음과 요구에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어머니의 기분이 괜찮을 때만 반응하고 다른 때는 무시하는 등의 일관되지 못한 반응을 보이므로 어머니의 관심을 더 많이 구하는 전략으로 극단적인 의존을 나타내 보인다.
이러한 행동이 분리불안장애로 나타나기도 한다. 아동이 가정을 떠나 처음으로 유아원이나 유치원에 다니게 될 때 어머니와 떨어지는 것에 대해 몹시 불안해하고 심하게 우는 등 새로운 환경에 적응이 잘 되지 않는 아동은 대개가 안정된 애착형성이 되지 않은 경우이다. 따라서 학교공포증은 실제로는 분리불안의 한 형태이다. 계
속해서 학교에 가기를 거부하는 것은 학교체제가 무서워서이기보다는 집과 애착인물을 떠나는 두려움 때문이다.
이러한 애착이론이 발표되기 전에는 아이가 울 때마다 안아주면 더 울고 버릇이 없어진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우는 아이에게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면 덜 울며 짜증을 덜 부린다는 에인스워스의 결과와, 이러한 어머니의 민감성에 기초하여 안정되게 애착된 영아가 주변환경을 더 탐색하는 경향이 있으며 유아기에는 사회적 관계에서 더 유능하다는 점이 밝혀지면서 영아를 돌보는 양육방법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애착이론이 자녀양육에 시사하는 또 다른 점은 주로 신체적 돌봄에만 치우쳤던 영아기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아기와의 안정적인 애착을 위해 중요한 어머니의 역할은 '민감성'과 '자극자'의 역할이라는 점도 반드시 기억해야 할 부분이다.

키워드

애착,   관계,   이론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40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