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소화제의 종류 및 구성성분
본문내용
주는 효능 때문에 최근 애용인구가 늘고 있다. 그러나 자주 복용하는 것은 이롭지 못하다.췌장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소화액을 제대로 분비하지 못할 때 사용하는 약물인데, 장기 복용하다 보면 의존성을 키워 소화액의 생산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황에 맞게 조절해 복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가스제거제는 배에 가스가 차거나 복부팽만감이 있을 때 복용하는 약으로, 가스를 제거해주는 시메치콘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다. 요즘 나오는 프리미엄급 고급소화제들은 대게 이런 기능을 함께 하는 약물이다.제산제는 위산이 과잉 분비되었을 때 신속히 위산의 수소이온을 중화시켜 위의 불쾌감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그러나 주성분이 알루미늄·마그네슘·칼슘·나트륨 등의 금속이온이어서 인체의 전해질 균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 다른 약과 함께 복용하면 당초의 약효을 얻지 못할 수 도 있다. 기능을 개선한 우수한 소화제들이 쏟아지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입장에서 보면 약 선택에 이래저래 고민이 적지 않은 셈이다.특히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들에게 유병율이 높은 ‘기능성 소화 불량’은 아직 병의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아 소화제만으로 병을 완치할 수 도 없는 노릇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