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제목
날짜
목적
이론
실험방법
날짜
목적
이론
실험방법
본문내용
경과시간(s)
남아있는 시료의 질량(g)
경과시간(s)
남아있는 시료의 질량(g)
0
0
10
10
20
20
30
30
40
40
50
50
60
60
70
70
80
80
90
90
100
100
110
110
120
120
B.탄산염의 분석(이산화탄소의 부피)
1. Li2CO3, Na2CO3, K2CO3 중의 하나를 선택해서 시료 0.1g의 무게를 정확하게 잰다.
2. 100mL 플라스크에 사용할 수 있는 고무마개에 구멍을 뚫어서 유리관을 꼽고,
6M HCl 20mL를 넣는다.
3. 50mL 뷰렛의 아래쪽에 수위 조절용기를 연결하고, 위쪽은 플라스크와 연결된 고무관을
연결한 후, 유리관의 물높이를 가장 높은 눈금 부근에 오도록 조절한다.
4. 플라스크의 마개를 열고 무게를 측정한 탄산염 시료를 재빨리 쏟아넣고 마개를 단단히
막는다.
5. 플라스크를 조금씩 흔들어주면서 이산화탄소 기체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기
다린다.
6. 수위조절용기의 높이를 유리관의 수면과 같도록 조절한 후에 유리관의 눈금을 다시 읽고
기록한다.
7. 실험실의 온도와 압력을 기록한다.
8. 실험을 3회 반복한다.
이 실험에서는 탄산염에서 빠져 나온 이산화탄소d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주어진 탄산염이 Na2CO3와 NaHCO3 중 어느 쪽인지를 알아낸다. 이산화탄소의 부피로부터 질량을 구하는 과정에서 이상기체 방정식과 증기압 등의 개념을 익힌다.
주의 및 참고사항
1)20mL HCl 용액에는 약 6.0×10-4 몰의 이산화탄소 기체가 녹으며, 유리관에 담긴 물에도 상당한 양의 이산화탄소가 녹는다. 이산화탄소가 녹아서 생기는 불확실도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유리관에 넣을 물을 이산화탄소로 포화시키는 것이좋다. 200mL에 0.3g의 Na2CO3를 넣고 6M HCl 1mL를 넣으면 물을 포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2) 이산화탄소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수위 조절용기의 높이를 유리관의 수면과 같은 높이로 유지해야한다.
실험결과의 처리
1)유리관에 모인 이산화탄소 기체가 받고 있는 압력을 얻기위해서는 대기압에서 물의 증기압을 빼주어야 한다.
2) 발생한 이산화탄소 기체의 부피와 실험실의 온도, 압력을 이상기체상태방정식에 넣어서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몰수를 계산한다.
3) 사용한 탄산염의 무게에서 알칼리 금속의 원자량을 구하고, 금속의 종류를 알아낸다.
1회
2회
3회
탄산염 시료의 무게
반응이 시작되기전의 유리관 눈금
반응이 끝난 후의 유리관 눈금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부피
실험실의 온도
실험실의 압력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몰수
탄산염의 분자량
탄산염의 분자식
물의 증기압이 보정된 압력
7. 참고문헌
표준일반화학실험 대한화학회 출판사: 천문각 page:46~48,51
일반화학 일반화학교재 연구회 출판사: 자유아카데미 255~258,
http://goawaken.x-y.net/
http://chem1.snu.ac.kr/~chemlab/exp/exp1-2.htm#7
http://100.naver.com/100.php?id=154174
남아있는 시료의 질량(g)
경과시간(s)
남아있는 시료의 질량(g)
0
0
10
10
20
20
30
30
40
40
50
50
60
60
70
70
80
80
90
90
100
100
110
110
120
120
B.탄산염의 분석(이산화탄소의 부피)
1. Li2CO3, Na2CO3, K2CO3 중의 하나를 선택해서 시료 0.1g의 무게를 정확하게 잰다.
2. 100mL 플라스크에 사용할 수 있는 고무마개에 구멍을 뚫어서 유리관을 꼽고,
6M HCl 20mL를 넣는다.
3. 50mL 뷰렛의 아래쪽에 수위 조절용기를 연결하고, 위쪽은 플라스크와 연결된 고무관을
연결한 후, 유리관의 물높이를 가장 높은 눈금 부근에 오도록 조절한다.
4. 플라스크의 마개를 열고 무게를 측정한 탄산염 시료를 재빨리 쏟아넣고 마개를 단단히
막는다.
5. 플라스크를 조금씩 흔들어주면서 이산화탄소 기체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기
다린다.
6. 수위조절용기의 높이를 유리관의 수면과 같도록 조절한 후에 유리관의 눈금을 다시 읽고
기록한다.
7. 실험실의 온도와 압력을 기록한다.
8. 실험을 3회 반복한다.
이 실험에서는 탄산염에서 빠져 나온 이산화탄소d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주어진 탄산염이 Na2CO3와 NaHCO3 중 어느 쪽인지를 알아낸다. 이산화탄소의 부피로부터 질량을 구하는 과정에서 이상기체 방정식과 증기압 등의 개념을 익힌다.
주의 및 참고사항
1)20mL HCl 용액에는 약 6.0×10-4 몰의 이산화탄소 기체가 녹으며, 유리관에 담긴 물에도 상당한 양의 이산화탄소가 녹는다. 이산화탄소가 녹아서 생기는 불확실도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유리관에 넣을 물을 이산화탄소로 포화시키는 것이좋다. 200mL에 0.3g의 Na2CO3를 넣고 6M HCl 1mL를 넣으면 물을 포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2) 이산화탄소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수위 조절용기의 높이를 유리관의 수면과 같은 높이로 유지해야한다.
실험결과의 처리
1)유리관에 모인 이산화탄소 기체가 받고 있는 압력을 얻기위해서는 대기압에서 물의 증기압을 빼주어야 한다.
2) 발생한 이산화탄소 기체의 부피와 실험실의 온도, 압력을 이상기체상태방정식에 넣어서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몰수를 계산한다.
3) 사용한 탄산염의 무게에서 알칼리 금속의 원자량을 구하고, 금속의 종류를 알아낸다.
1회
2회
3회
탄산염 시료의 무게
반응이 시작되기전의 유리관 눈금
반응이 끝난 후의 유리관 눈금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부피
실험실의 온도
실험실의 압력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몰수
탄산염의 분자량
탄산염의 분자식
물의 증기압이 보정된 압력
7. 참고문헌
표준일반화학실험 대한화학회 출판사: 천문각 page:46~48,51
일반화학 일반화학교재 연구회 출판사: 자유아카데미 255~258,
http://goawaken.x-y.net/
http://chem1.snu.ac.kr/~chemlab/exp/exp1-2.htm#7
http://100.naver.com/100.php?id=154174
추천자료
고급이론 보고서 - 오토 컨버그
기체 방전 결과보고서
기체상수의 결정
[인간행동과사회횐경]청소년기 발달이론과 심리적특성 및 문제
[인지발달이론]인지발달이론의 개념,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인지...
[화폐이론][화폐이론 내용][노동화폐이론][일반이론][화폐생활경제][화폐거래][화폐]화폐이론...
[교육학의 기본이념][교육학의 학교교육이론][교육학과 철학심리학][교육학과 교육원리][교육...
[화학및실험] (예비+결과) 기체의 확산법칙 확인 - 다양한 방법으로 분자량이 다른 기체들의 ...
최근 급증하고 있는 노인의 자살문제를 생태체계이론의 관점에 따라 분석하여 기술하고 지원...
[인간행동과사회환경 A형]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Logers)이론의 특징과 장단점을 설명 (...
[가족상담 및 치료 공통] 체계이론을 정리한 뒤,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에서 체계이론이 ...
미디어와 사회구조 관계 유형의 이상성 - 로젠그린의 문화와 사회관계 유형을 바탕으로
기체상수 구하기 실험(예비)
드라마, 영화의 등장인물 및 역사적 실존 인물, 사건사고 등에서 나타난 이상행동 및 심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