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6 기체 상수의 결정
◇실험방법
→실험A. 산소 기체
→실험 B.이산화탄소 기체
◇준비물
◇실험결과
◇실험분석
◇오차분석
◇생각해볼 사항
◇실험방법
→실험A. 산소 기체
→실험 B.이산화탄소 기체
◇준비물
◇실험결과
◇실험분석
◇오차분석
◇생각해볼 사항
본문내용
이고, 어떤 경우에 그런 계산이 가능하겠는가?
시약병 속은 물이 차있었다. 그리고 나머지 부분은 공기로 차있었다. 그 상태로 밀폐를 시킨 뒤, 반대 쪽 비커에 나오는 물의 양으로 기체의 부피를 측정했다. 우리가 그러한 계산이 가능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 나오는 물의 양은 반응이 시작된 뒤 시약병 내에 생기는 압력의 변화로 인해 생기는 것이기 때문이다. 시약병 내에 생기는 압력의 변화 요인은 두 가지가 있다. 물이 증발하여 생기는 수증기압, 그리고 또 하나는 시험관으로부터 오는 산소기체의 압력이다.
4) 시험관이 실온으로 식기 전에 부피를 측정하면 실험 결과에 어떤 영향이 있겠는가?
기체는 온도에 민감하게 부피변화를 한다. 시험관이 식기 전과 식은 후의 부피 변화를 비교해보자. 식기 전에는 알코올램프로 꽤나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시험관이 실온으로 식으면 온도의 차이는 클 것이다. 샤를의 법칙에 의거하여, 기체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부피가 증가한다. 즉, 식기 전에 부피를 측정하면 식은 후에 비하여 크게 측정될 것이다. 하지만, 실험결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왜냐하면, 부피가 증가하는 만큼 온도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샤를의 법칙 )
시약병 속은 물이 차있었다. 그리고 나머지 부분은 공기로 차있었다. 그 상태로 밀폐를 시킨 뒤, 반대 쪽 비커에 나오는 물의 양으로 기체의 부피를 측정했다. 우리가 그러한 계산이 가능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 나오는 물의 양은 반응이 시작된 뒤 시약병 내에 생기는 압력의 변화로 인해 생기는 것이기 때문이다. 시약병 내에 생기는 압력의 변화 요인은 두 가지가 있다. 물이 증발하여 생기는 수증기압, 그리고 또 하나는 시험관으로부터 오는 산소기체의 압력이다.
4) 시험관이 실온으로 식기 전에 부피를 측정하면 실험 결과에 어떤 영향이 있겠는가?
기체는 온도에 민감하게 부피변화를 한다. 시험관이 식기 전과 식은 후의 부피 변화를 비교해보자. 식기 전에는 알코올램프로 꽤나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시험관이 실온으로 식으면 온도의 차이는 클 것이다. 샤를의 법칙에 의거하여, 기체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부피가 증가한다. 즉, 식기 전에 부피를 측정하면 식은 후에 비하여 크게 측정될 것이다. 하지만, 실험결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왜냐하면, 부피가 증가하는 만큼 온도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샤를의 법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