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프 리더십 (Self leadership)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셀프 리더십 (Self leadership)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0종 경기 금메달리스트인 댄 오브라이언, 러시아의 올림픽 선수 알렉세프의 예를 들어, 셀프 토크 습관에 의해 생긴 긍정적 사고가 주는 파워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셀프 리더십의 확장 - 팀 리더십
'동행 만들기'라는 주제 하에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하기 위한 팀 리더십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셀프 리더십은 혼자 일할 때만큼 팀으로 일할 때에도 중요하다. 팀으로 일하는 동안에도 개인은 잠재성을 발휘하기 위해 여전히 자신을 리드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 팀 구성원으로서 자신을 효과적으로 리드해야만 팀 또한 스스로 리드하고 잠재성에 도달하여 시너지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팀 자신을 리드하는 팀의 행동이 팀 셀프 리더십의 개념이다. 팀 셀프 리더십 개발은 팀의 자기 관찰, 팀의 자기목표 설정, 팀의 힌트 수정, 팀의 자기보상과 자기벌칙, 팀의 신념, 팀의 셀프 토그 등 셀프 리더십에서 제안한 계발 방식을 유사하게 적용하고 있다. 팀도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있는 듯하다. 맹목적인 '집단사고'가 아닌 '팀 사고'를 통해 정신적이고 행동적인 셀프 리더십 전략의 응용은 팀 구성원들에게 자기 방향성과 자기 동기 유발을 갖도록 하고, 긍정적인 효과를 끌어냄으로써 자신의 팀에 개인적으로 공헌하도록 하고 있다.
수퍼 리더
부하에게 물고기를 주는 것보다 고기잡는 방법을 가르쳐 주어야 한다. 21세기 지식사회의 리더는 구성원 각자가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환경적 여건을 조성하여 구성원 모두가 셀프 리더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리더십, 즉 수퍼 리더십(super-leadership)이 요구된다. 수퍼 리더십은 조직 개인 각자에 내재된 셀프 리더십 에너지를 촉진 시킨다(Manz &Sims, 1991). 수퍼 리더십의 핵심은 보통 사람들도 비상한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인간의 무한한 잠재력에 대한 낙관주의에 있다.
그러면 수퍼 리더십의 내용은 무엇인가 수퍼 리더십은 다음의 몇 가지 단계에 걸쳐 발휘된다(Manz &Sims, 1991).
셀프 리더가 된다. 수퍼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자신이 먼저 자신이 셀프 리더가 되어야 한다. 셀프 리더가 되기 위한 전략은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셀프 리더십의 역할 모델(modeling)이 된다. 수퍼 리더십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자신이 셀프 리더가 되어 역할 모델이 됨으로서 하급자들 또한 셀프 리더가 되도록하는 길을 열어놓는다.
개개인의 목표 설정(setting goals)을 격려한다. 조직구성원 각자가 목표를 세우도록 한다. Lincoln Electric의 종업원 평가기준 중 중요한 하나는 감독을 받지 않고 일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 회사의 종업원 100명에 감독자는 1명일 뿐이다.
부하에 대한 격려(encouragement)와 지도(guidance)를 한다. 종업원들이 설정한 목표에 따라 셀프 리더십을 개발해 나가도록 적절한 격려를 한다. 또한 단계에 따라 종업원 자신이 제대로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적절한 질문을 던져 지도한다.
보상과 질책을 적절히 활용한다. 하급자를 셀프 리더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직무 성과 자체보다도 스스로 주도적으로 직무를 수행 할 때 적절한 보상을 해야 한다. 바람직하지 못한 행위가 나타날 경우 건설적 비판과 질책을 적절히 활용한다.
셀프 리더십 문화를 확립한다. 먼저 팀 조직구조를 통해 팀원 각자가 셀프 리더십을 발휘하여 팀웍을 이루도록 한다. 셀프 리더를 육성하기 위해 수퍼 리더는 팀조직, 사회-기술 시스템을 이에 걸맞게 설계해야 한다. 또한 셀프 리더십을 육성하기 위해 수퍼 리더는 분권적 조직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Dana의 Rene McPherson 회장은 분권적 조직문화 확립을 위해 두께가 22.5인치에 달하는 업무절차 매뉴얼을 없애고 이를 한 페이지짜리 경영정책 문건으로 대체는 조치를 단행하였다. 그후 종업원 각자는 이 조직정책 방향에 따라 자신들이 알아서 자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도록 하였다.
조직에서 수퍼 리더십이 효과적으로 발휘되면 조직에 긍정적 결과가 나타나는데, 이는 3단계로 요약된다. ① 먼저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과 모티베이션 수준이 높아지고 각자의 역량이 배가된다. ② 그 결과 조직성과가 향상되고 혁신이 활성화 된다. ③ 조직 구성원의 셀프 리더 육성과 수퍼 리더 탄생이 가능해진다.
수퍼 리더십은 학습이 가능한 하나의 과정이다. 수퍼 리더십은 특별한 능력의 소유자 일부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보통 사람들도 배우고 그렇게 될 수 있는 것이다(Manz &Sims, 1991).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47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