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위너 아니면 루저가 되는 사회, 이런 사회에서는 우리 모두 행복할 수 없다. 서열적 경쟁만을 부추기는 이런 학교 현장에서 행복한 아이들을 길러 낼 수 없다. 소통과 교류를 통한 협력과 협동, 그리고 봉사와 희생을 통한 보다 지고의 가치를 사유하지 못하는 오늘날의 점수 따기 교육은 극한적이고 이기적 맹목적 생존 경쟁만을 부추긴다. 이것은 소통과 교류보다는 철저한 단절과 폐쇄적 인간만을 기를 뿐이다. 이것이 바로 육체만을 위한 생존법이 아니겠는가! 점수 따기만을 가르치는 학교에서는 미래를 준비하는 창의성을 길러낼 수 없다. 세상과 호흡하며, 타자와 소통하면서 더 낳은 가치와 미학을 창출하는 ‘몸의 미학’이 우리 시대에 더욱 필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것이 우리 모두가 행복해지는 길이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강원도 사회복지의 과제
movement education(움직임 교육)에 대해서..
웰빙의 영향과 전망 그리고 마케팅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체육스포츠 활동의 역할
음악 치료(음악요법)
운동과 건강
[프로포절]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황혼 큐피트' 사업
현대인과 영양
인생계획서
지방자치단체의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참여의 과제
[건축학개론] 경희대학교 학생회관을 신축하기 위한 설계 개념 제안 (삶의 활력소가 되어주는...
노인의 건강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
저소득 노인들의 수입창출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한 텃밭 가꾸기(프로포절)
[관광학과 공통] 2강에서 나온 이벤트 플래닝의 과정을 참고하여, 실버 이벤트 시장과 관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