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13장: 하늘 나라의 비밀
2. 21:28-22:14: 하나님 나라의 참된 백성
3. 24:37-25:46: 하나님 나라의 완성 - 마지막 때
4. 그 밖의 비유들
5. 결론
1. 13장: 하늘 나라의 비밀
2. 21:28-22:14: 하나님 나라의 참된 백성
3. 24:37-25:46: 하나님 나라의 완성 - 마지막 때
4. 그 밖의 비유들
5. 결론
본문내용
잃은 양(18:12-14); 포도원 일군(20:1-16) 비유들. 3) 메시아 시대의 도래: 생베 조각과 새 포도주(9:16-17); 장터 아이들(11:16-19; 스스로 분쟁하는 나라(12:25-26; 참조. 28절) 비유들. 4) 메시아에 대한 반응에 실패한 자들: 장터 아이들(11:16-19); 심지 않은 나무(15:13); 소경(15:14) 비유들.
5. 결론
지금까지 논의에 비추어 볼 때, 마태복음에 나타나는 비유들의 주된 초점은 '하나님 나라'에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메시아의 도래와 더불어 성취된 하나님 나라의 속성과 그 나라 백성의 삶, 그 나라의 왕되신 하나님의 성품과 주권, 그리고 그 나라의 완성의 시기와 그 때를 위한 준비 및 마지막 심판의 기준 등은 하나님 나라의 도래로 말미암아 여러 가지 실질적인 질문들에 직면해 있던 제자들에게 이 비유들은 지극히 필수적인 메시지들을 제공해 주었을 것이다. 한편 유대인 그리스도인들을 그 주대상으로 쓰여졌던 것으로 보이는 마태복음의 경우, 하나님 나라가 이미 도래하였다면 그것은 왜 자신들이 기대했던 것처럼 이 세상 가운데 아직 실현되지 않았는지에 대한 대답은 13장의 비유들이 적절히 설명해 주고 있으며, 자신들의 동족 대부분이 왜 하나님 나라로부터 제외되어야만 하였는지에 대한 대답은 21-22장의 세 비유들이 적절히 설명해 주고 있다. 또한 아마도 예루살렘 성전 파괴라는 위기 상황을 누구보다 더 심각하게 받아 들였을 유대 그리스도인 독자들에게, 마태는 그 사건이 마지막 때가 아니라 마지막 때는 아무도 모르는 미래적 사건, 즉 하나님 나라가 완성되는 최종적 심판이 있게될 사건임을 이해시킬 필요가 있었을 것이며, 아마도 이러한 필요를 채우기 위해 그는 24-25장의 일련의 비유들을 그처럼 인상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 마태의 독자들의 그러한 질문들은 오늘날 한국 교회 독자들에게도 그 형태는 달라도 유사한 각도에서 제기되는 (혹은 제기되어야 하는) 경우들이 많으며(예. 하나님 나라의 속성 - 장소적, 미래 지향적 사고로 인한 오해들; 하나님 나라<영생, 구원>와 제자의 삶 사이의 관계; 예루살렘 파괴에 대한 징조와 마지막 때 도래의 무징조적 성격 사이의 대조), 따라서 한국 교회 성도들이 마태복음에 나타난 비유들의 이와 같은 핵심적 메시지들을 적절히 이해하는 것은 하나님 나라에 대한 바른 이해에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할 것이다.
5. 결론
지금까지 논의에 비추어 볼 때, 마태복음에 나타나는 비유들의 주된 초점은 '하나님 나라'에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메시아의 도래와 더불어 성취된 하나님 나라의 속성과 그 나라 백성의 삶, 그 나라의 왕되신 하나님의 성품과 주권, 그리고 그 나라의 완성의 시기와 그 때를 위한 준비 및 마지막 심판의 기준 등은 하나님 나라의 도래로 말미암아 여러 가지 실질적인 질문들에 직면해 있던 제자들에게 이 비유들은 지극히 필수적인 메시지들을 제공해 주었을 것이다. 한편 유대인 그리스도인들을 그 주대상으로 쓰여졌던 것으로 보이는 마태복음의 경우, 하나님 나라가 이미 도래하였다면 그것은 왜 자신들이 기대했던 것처럼 이 세상 가운데 아직 실현되지 않았는지에 대한 대답은 13장의 비유들이 적절히 설명해 주고 있으며, 자신들의 동족 대부분이 왜 하나님 나라로부터 제외되어야만 하였는지에 대한 대답은 21-22장의 세 비유들이 적절히 설명해 주고 있다. 또한 아마도 예루살렘 성전 파괴라는 위기 상황을 누구보다 더 심각하게 받아 들였을 유대 그리스도인 독자들에게, 마태는 그 사건이 마지막 때가 아니라 마지막 때는 아무도 모르는 미래적 사건, 즉 하나님 나라가 완성되는 최종적 심판이 있게될 사건임을 이해시킬 필요가 있었을 것이며, 아마도 이러한 필요를 채우기 위해 그는 24-25장의 일련의 비유들을 그처럼 인상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 마태의 독자들의 그러한 질문들은 오늘날 한국 교회 독자들에게도 그 형태는 달라도 유사한 각도에서 제기되는 (혹은 제기되어야 하는) 경우들이 많으며(예. 하나님 나라의 속성 - 장소적, 미래 지향적 사고로 인한 오해들; 하나님 나라<영생, 구원>와 제자의 삶 사이의 관계; 예루살렘 파괴에 대한 징조와 마지막 때 도래의 무징조적 성격 사이의 대조), 따라서 한국 교회 성도들이 마태복음에 나타난 비유들의 이와 같은 핵심적 메시지들을 적절히 이해하는 것은 하나님 나라에 대한 바른 이해에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