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기법 중 경청과 공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담기법 중 경청과 공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경청과 공감
상담에서 경청과 공감이란 상담자가 내담자의 내부에서의 감정과 같이 호흡을 하며 내담자가 보는 입장에서 세상을 내다  볼 수 있는 능력을 말 한다. 좀더 구체적인 말로 옮기면, 상담자가 ① 내담자가 말하는 내용이나 분노나 증오, 불안, 공포, 적개심, 우울, 기쁨, 흥분 따위의 감정을 정확하게 이해하거나 그가 느끼는 것처럼 느끼고, ② 바로 이해하거나 느낀다는 사실을 내담자에게 말이나 몸짓, 말투, 눈빛, 얼굴 표정 같은 비 언어적 행동을 통해서 전달해 줄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그러니 공감이란 상담자 편에서 보면 내담자를 이해했다는 데서 그치는 일방통행이 아니라, 내담자의 감정과 생각을 이해했고, 그 이해하고 있다는 사실을 내담자를 이해했다는 데서 그치는 일방통행이아니라, 내담자의 감정과 생각을 이해했고, 그 이해하고 있다는 사실을 내담자에게 알려주는 것까지 포함하니 일종의 복선 통행으로 볼 수 있다.

본문내용

해석된 느낌을 심층적 느낌(umderlying feelings)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느낌은 표면적 느낌보다는 더 추상적이긴 하지만 논의되고 있는 상황의 내용과는 직접적으로 관련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2) 심층적 느낌확인의 실습 1 :
다음의 상황에서 표면적 느낌과 심층적 느낌확인 반응을 기술해 보시오.
<상황 1>
“체중을 줄이니 날아갈 것만 같아요. 너무 기분이 좋아요!”
표면:
심층:

<상황 2>
(아내가 남편에게)“애들 좀 뭐라 하세요. 뭐라 해도 말을 안 들어요!”
표면:
심층:

<상황 3>
(남편이 아내에게)“애들이나 엄마나 똑 같다. 사람 들어와도 본체만체!”
표면:
심층:
3) 심층적 느낌의 실습 2
앞의 느낌확인 실습2에서 확인한 느낌들이 표면적 느낌인지 심층적 느낌인지 분류한 다음, 표면적 EH는 심층적 느낌을 보충해 보시오.
4) 종합실습
3인 1조로 팀을 구성한 후, 각 사례별로 다음의 역할자를 차례로 맡아서 연습을 하도록 한다.
① 내담자 : 자신의 어려움이나 불만을 표현한다.
② 실습자 : 관심을 기울이고 경청을 한 후,‘느낌확인’,‘심층적 느낌확인’반응을 종합적으로 그리고 자연스럽게 하도록 한다.
③ 관찰자 : 반응이 효과적인 지를 관찰하고 피이드백 한다.
참고문헌
설기문(1998).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서울:학지사.
이형득(1997). 인간관계훈련의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이형득,설기문(2002). 조력기술훈련의 실제. 서울:형설출판사.
클라라 힐.카렌 오브리언(2OO1). 주은선 옮김. 상담의 기술. 서울:학지사.
  • 가격3,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64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