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R
O
P
E
T
과 목 : 여성복지론
학 과 : 사회복지학과
교수명 :
학 번 :
성 명 :
R
여성노동과 여성빈곤
1
여성노동의 특징과 변화
목표 : 여성노동의 변화와 특징,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여성취업구조의 변화와 특징을 통해 살펴보고 여성노동의비정규직화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파악 해 본다.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의 특징과 변화
1) 전반적 경향
① 기혼여성의 꾸준한 경제활동 참여증가 - “노동력의 여성화”
② 서비스부문의 창출 - “여성 노동의 서비스화” 급격히 증가
③ 고용형태의 비정규직으로 구조화, 고용안정성 급격히 감소
※ 경제활동참가율 :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주간 동안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실제로 수입이 있는 일을 한 취업자와 일을 하지 않았으나 구직활동을 하고 즉시 취업가능한 자를 15세 이상 인구로 나눈 비율
2) 연령계층별 경제활동참가율
① 20대 초반과 40대의 참가율이 높아 두 개의 최고점을 가지는
쌍봉형(M자형)을 나타냄.
② 자녀출산과 양육의 영향을 받으며, 노동단절을 경험한 다음 40대 후반인 자녀양육 후 재 취업하는 형태임.
③ 남성의 참여율과 자녀 양육비용이 사회적으로 합의된 스웨덴 등 서방선진국가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연령에 관계없이 80%~90%의 고원형(U자형)을 나타냄.
여성취업구조의 특징과 변화
1) 직종별 여성취업자구조
2) 종사상 지위별 여성취업자구조
여성
남성
3) 혼인상태별 여성취업자구조
여성노동의 비정규직화
2
노동시장에서 여성노동의 지위와 불평등
목표 : 여성들의 노동시장에서 경험하는 성차별과 불평등의 실태를 보기 위해 성별 직종분리 현상과 성별 임금격차현상을 분석한다. 나아가 노동시장 성차별의 원인을 파악해 본다.
성별 직종분리
[원인] ① 직업에 대한 성별 선호도의 차이
② 직무수행에 있어서 성별 직무능력의 차이
③ 기업의 직접적 성차별
④ 제도적인 차별(여성의 직업 진출을 가로막는 법, 관습, 문화)
성별 임금격차
우리나라의 남성의 임금을 100%로 기준할 때 여성의 임금은
연 도
1980
1985
1990
1995
2000
2004
여성임금비
44.2
46.7
53.4
58.0
62.9
63.2
- 세계적으로 아시아에서 여성의 임금이 현저히 낮은 대표적인 국가
생산성의 차이(합리적인 격차)
1990년 43.9% ⇒ 1995년 44.9% ⇒ 1998년 52.5% - 47.5% ?
2000년 한국노동패널 56.8~58.8%로 38.1% 생산성의 차이 61.9% ?
노동시장 이중구조와 성차별의 원인
1) 인적 자본 이론
: 노동자의 생산성을 결정하는 다양한 인적특성으로 공식적비공식적 교육과 현장 훈련은 인적자원을 높이는 요소
2) 이중노동시장 이론(노동시장 분절론)
① 1차 노동시장(고임금, 고용안정, 내부의 승진사다리, 직업훈련 보장)
② 2차 노동시장(저임금, 고용불안정, 승진기회 없거나 소수, 직업훈련 기회도 거의 없는 직업) - 2차 노동시장을 구성하는 대표집단이 여성이다.
③ 성차별과 성별 직종분리의 문제로 연결
※ 여성이 받는 불평등 -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노동시장의 구조적 요인
3) 페미니즘 이론
: 여성이 노동시장에서 불평등한 대우를 받는 이유에 대해 가부장제와 가부장적 구조를 그 원인으로 분석한다.
여성억압의 원인과 상태를 기술하고 여성해방을 궁극적 목표로 하는 운동 또는 그 이론
3
빈곤의 여성화
O
P
E
T
과 목 : 여성복지론
학 과 : 사회복지학과
교수명 :
학 번 :
성 명 :
R
여성노동과 여성빈곤
1
여성노동의 특징과 변화
목표 : 여성노동의 변화와 특징,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여성취업구조의 변화와 특징을 통해 살펴보고 여성노동의비정규직화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파악 해 본다.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의 특징과 변화
1) 전반적 경향
① 기혼여성의 꾸준한 경제활동 참여증가 - “노동력의 여성화”
② 서비스부문의 창출 - “여성 노동의 서비스화” 급격히 증가
③ 고용형태의 비정규직으로 구조화, 고용안정성 급격히 감소
※ 경제활동참가율 :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주간 동안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실제로 수입이 있는 일을 한 취업자와 일을 하지 않았으나 구직활동을 하고 즉시 취업가능한 자를 15세 이상 인구로 나눈 비율
2) 연령계층별 경제활동참가율
① 20대 초반과 40대의 참가율이 높아 두 개의 최고점을 가지는
쌍봉형(M자형)을 나타냄.
② 자녀출산과 양육의 영향을 받으며, 노동단절을 경험한 다음 40대 후반인 자녀양육 후 재 취업하는 형태임.
③ 남성의 참여율과 자녀 양육비용이 사회적으로 합의된 스웨덴 등 서방선진국가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연령에 관계없이 80%~90%의 고원형(U자형)을 나타냄.
여성취업구조의 특징과 변화
1) 직종별 여성취업자구조
2) 종사상 지위별 여성취업자구조
여성
남성
3) 혼인상태별 여성취업자구조
여성노동의 비정규직화
2
노동시장에서 여성노동의 지위와 불평등
목표 : 여성들의 노동시장에서 경험하는 성차별과 불평등의 실태를 보기 위해 성별 직종분리 현상과 성별 임금격차현상을 분석한다. 나아가 노동시장 성차별의 원인을 파악해 본다.
성별 직종분리
[원인] ① 직업에 대한 성별 선호도의 차이
② 직무수행에 있어서 성별 직무능력의 차이
③ 기업의 직접적 성차별
④ 제도적인 차별(여성의 직업 진출을 가로막는 법, 관습, 문화)
성별 임금격차
우리나라의 남성의 임금을 100%로 기준할 때 여성의 임금은
연 도
1980
1985
1990
1995
2000
2004
여성임금비
44.2
46.7
53.4
58.0
62.9
63.2
- 세계적으로 아시아에서 여성의 임금이 현저히 낮은 대표적인 국가
생산성의 차이(합리적인 격차)
1990년 43.9% ⇒ 1995년 44.9% ⇒ 1998년 52.5% - 47.5% ?
2000년 한국노동패널 56.8~58.8%로 38.1% 생산성의 차이 61.9% ?
노동시장 이중구조와 성차별의 원인
1) 인적 자본 이론
: 노동자의 생산성을 결정하는 다양한 인적특성으로 공식적비공식적 교육과 현장 훈련은 인적자원을 높이는 요소
2) 이중노동시장 이론(노동시장 분절론)
① 1차 노동시장(고임금, 고용안정, 내부의 승진사다리, 직업훈련 보장)
② 2차 노동시장(저임금, 고용불안정, 승진기회 없거나 소수, 직업훈련 기회도 거의 없는 직업) - 2차 노동시장을 구성하는 대표집단이 여성이다.
③ 성차별과 성별 직종분리의 문제로 연결
※ 여성이 받는 불평등 -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노동시장의 구조적 요인
3) 페미니즘 이론
: 여성이 노동시장에서 불평등한 대우를 받는 이유에 대해 가부장제와 가부장적 구조를 그 원인으로 분석한다.
여성억압의 원인과 상태를 기술하고 여성해방을 궁극적 목표로 하는 운동 또는 그 이론
3
빈곤의 여성화
추천자료
(가족복지) 빈곤가족의 개념과 문제점 및 실태 그리고 빈곤가족을 위한 서비스 및 대책 - 자...
빈곤가정 빈곤아동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 그 해결방안
빈곤층의 규정에 대한 논란의 비판적 검토와 우리 사회에서 빈곤층을 규정할 적절한 기준에 ...
[한국사회문제]우리사회 전형적 빈곤층을 염두에 두었을 때 개인의 책임과 구조의 측면과 관...
[경제위기][빈곤층][소득격차 심화][소득분배][소득분배정책]경제위기와 빈곤층 증가, 소득격...
[고령화] 노년층빈곤의 현황, 노년층빈곤문제 해결방안 (한국사회문제A형)
빈곤의기준을 둘러싼여러논의를 정리하고빈곤을 정의하고가장적합한 기준은 어떤것이가자기의...
빈곤아동의 현황과 빈곤아동 지원서비스의 내용 및 개선과제
빈곤문제로 인하여 아동발달과 빈곤아동 지원서비스 현황 및 정책대안(개선방안)에 대
[노인복지론] 노인의 빈곤문제 주제에 대한 문제점과 사회복지적 대안을 제시하시오 : 노인빈곤
빈곤층 자녀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국가적 예방대책에 대하여 사회복지적 측면에서의 해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