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천지은(天地恩)
2. 천지 피은(被恩)의 강령
3. 천지 피은의 조목
4. 천지 보은의 강령
5. 천지 보은(報恩)의 조목
6. 천지 배은(背恩)
7. 결론 및 나의 의견
2. 천지 피은(被恩)의 강령
3. 천지 피은의 조목
4. 천지 보은의 강령
5. 천지 보은(報恩)의 조목
6. 천지 배은(背恩)
7. 결론 및 나의 의견
본문내용
다. 은혜의 느낌, 깨달음, 실천, 체험이 하나의 고리를 짓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조금만 신경을 써도 하늘과 땅의 은혜를 느낄 수 있다. 느끼지 못하면 곧 죽은 것과 다를 바 없다. 생명 있는 것들은 자극에 반응하는 법이다. 부드러운 손이 보다 많은 것을 느낀다. 부드러운 감성이 보다 많은 것을 느끼기 마련이다. 나를 태어나게 해주고 나를 자랄 수 있게 해주며 또다시 내가 돌아갈 곳인 하늘과 땅은 크나 큰 어머니의 뱃속과도 같다. 천지의 은혜를 느끼지 못한다는 것은 위험하고 어리석은 단절을 의미한다. 물고기가 물 밖으로 나가려는 것과 같고 아기가 스스로 탯줄을 끊으려는 것과 같다. 깊은 느낌과 깨달음은 실천을 동반한다. 강제되고 의무감으로 서먹해 하면서 하는 실천이 아니라 아주 자연스럽고 자발적이며 창조적인 실천이다. 이것을 일러 보은행이라고 한다. 여기서의 보은행은 이해타산의 의미가 전혀 묻어 있지 않다. \"받았으니 갚는다\"는 의미는 자연스레 생략된 은혜와 사랑의 행위일 뿐인 것이다. 사랑하는 사람들은 사랑을 제약하는 조건들에 의해 멀리 떨어져 있어도 그들의 애틋한 마음을 나눈다.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 없어 보여도 그들의 사랑은 국경을 넘는다. 사랑하는 연인들 사이에 오직 사랑의 느낌이 중요할 뿐 그 밖의 것들은 부수적인 것일 뿐이다. 은혜를 느껴서 보은을 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은혜를 깊이 느낀다면 그 보은의 길은 스스로 찾아질 것이다. 사랑과 믿음이 배반으로 버려져 신음하듯 오염된 환경의 비명이 처량한 이 때에 천지가 주는 은혜의 중요성을 더이상 강조하는 것이 오히려 무색케 만드는 때인 것 같다.
추천자료
송정산의 삼동윤리와 대안교육
옛문헌을 통해서 본 전통태교
대안교육의 문제점과 비판
[노인복지][노인복지정책][노인복지서비스]인구분포의 변화, 노인복지의 발전과정, 노인복지...
[청소년비행][비행청소년][청소년문제][청소년범죄][비행]청소년비행의 개념, 청소년비행의 ...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우리동네 지역사회운동 (벼리학교)
제1장 현대사회와 사회복지
[학문관][정산종사 학문관][남명 조식 학문관][고정옥 학문관][신숙주 학문관][공자 학문관][...
[불교용어][불교][공][선][윤회][아라한][조속예불][불타][입정]불교용어와 공(空), 불교용어...
[비정부기구][시민단체][NGO][시민]비정부기구(시민단체, NGO)의 유형, 특징, 비정부기구(시...
철학의 정의, 철학 방법, 철학 기본영역, 철학과 교육철학, 철학과 체육철학, 철학과 통치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