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고대 음악사부터 현대 음악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 고대 음악사부터 현대 음악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본음악의 역사
2. 일본 음악의 특징
3. 일본 음악의 이론
4. 일본 음악의 종류
5. 일본 음악의 악기
6. 민요와 민속 음악
참고문헌

본문내용

84)의 샤쿠하찌
-앞에 5공 뒤에 1공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헤이안시대에 없어졌다.
② 무로마찌시대(1388~1573)의 히도요기리(一節切)
-중국의 소(簫)가 유입되어 히도요기리로 변한 것
-대나무 한마디란 뜻처럼 매우 작은 적(笛)이어서 1尺1寸(33.3㎝)의 5공
-동냥중들이 애호하였고, 후에 하급 사무라이 상인들에게 널리 퍼졌다.
③ 에도 초기의 후케 샤쿠하에이
-보화종의 맹승들이 탁발을 위해 사용한 사쿠하찌
-뿌리에 가까운 굵은 대나무로 만든다.
-은퇴한 사무라이는 보화종 사찰의 사쿠하찌 선생님인데 새로운 유파를 만들고 신곡도 발표하였다.
-구로사오긴꼬는 각지를 돌아다니며 고전을 수집해 30여곡을 만들고 여기에 예부 터 전하는 3곡 등을 합해서 이것은 본 曲으로 정하고 琴古流를 세웠다.
-에도말 금고류의 음악가들은, 소쿄쿠에 참가하여 고규를 대신하여 도고, 샤미센 과 함께 상교꾸를 이루었다.
-금고류의 샤쿠하찌 독주곡을 혼교꾸라 부르고 그 밖의 곡을 가이교꾸라 부른다.
④ 메이지 중엽(1896)의 도산류(도산류)
-나가오토산(1876~1956)이 새 유파를 창설 도산류라고 부른다.
오늘날 금고류와 도산류가 샤쿠하찌 분야를 지배하고 있으며, 후게 샤쿠하찌는 메이지 시대 보화종이 철폐(1871)됨에 따라 그 음악도 쇠퇴했고, 그 때 맹인 고도 연주가들의 보호처였던 쇼구야시게도 철폐되었다. 혼교꾸의 음악 형식은 일정하지 않으며, 각기 다른 가락을 여기저기에 끼워 맞춘 것 같다. 그러나 혼교꾸의 중요한 점은 자유리듬이다. 혼교뀨는 모두 자유리듬으로 되어 있으며 샤미센, 소교꾸에서처럼 음악도 음선법으로 되어 있다.
6. 민요와 민속 음악
1) 민속 음악
일본의 민요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①노동요-뱃노래, 말모는 소리, 벼농사소리, 술집의 소리
②본오도리-여름의 불교 의식으로 일본 전역에 유행
③연향요
④결혼요, 상여소리
⑤동요, 자장가
일본 민요는 핵음 조직 또는 양선법, 음선법 등으로 되어 있다. 양선법은 비교적 순수한 음악이교, 음선법은 샤미센의 영향을 많이 받은 민요에 많다. 그러나 2가지 모두 샤미센 반주로 많이 불린다. 리듬은 일정한 것과 자유로운 것이 있는데, 전자는 노동요, 무용, 음악과 노래, 아이들의 유희요에 많고, 후자는 작업요와 샤쿠하찌 반주 또는 무반주의 연향요 등에 많다. 민속음악 중 가장 큰 종류의 것은 기구라인데, 민속적인 것을 오가구라 하고, 가가쿠의 미가구라와는 전혀 다르다. 음악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나 대개 민속음악에 쓰이는 악기는 횡적, 태고, 때로는 대태고 등이 사용된다.
2) 민속 예능
일본의 민속 예능을 종류별로 분류하면 ‘가구라’, ‘덴가꾸’, ‘후리우’, ‘축복예’, ‘외래계연년계’ 등과 같다. 이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①가구라(神樂)
‘미고가구라’(巫女神樂)는, 제사 지내는 뜰에서 무녀가 행하는 신들린 동작이 세련화되어 춤으로 독립한 것인데, 독립적 예능으로 하는 경우와, 다른 가구라와 함께 연행되는 경우가 있다. ‘이즈모가구라’(出雲流神樂)은 出雲의 사다 대사에서 행하는 것으로, 손에 방석을 들고 추는 도리모노마이를 중심으로, 여기에 ‘노(能)’를 덧붙친 모양으로 연행한다. ‘시시가구라’(獅子神樂)눈 중국 전래의 사자를 관현(觀現-부처의 성격을 갖춘 신)으로 하고, 기도를 중심으로 여기에 ‘노’, ‘가루가쿠’(散樂,曲藝)를 덧붙여 연행한다.
②덴가꾸(田樂)
요수꾸의 다아소비는 주로 아이시껜에서 씨즈오까껜에 걸친 산간 지방에서 전래되는 반신사(半神事)반예능(半藝能)의 풍작 기원의 예능으로, 뛰면서 춤을 춘다.
③후류(風流)
후류는 화려하고도 로맨틱한 예능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옷을 입고 많은 사람들이 추는 다이꼬오도리, 신시마이, 넨부쯔오도리, 본오도리, 아야오도리, 아마고이오도리 등의 총칭이다. 다이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고우따오도리라고 한다. 서부 일본과 규수 지방에서는 복부에 다이꼬를 걸고 커다란 장식문을 등에 메고 추는 경우가 많다.
④축복예(祝福藝)
일반적으로 가도즈께게이라 부르며, 집집의 문앞에 가서 예능을 하고 보수를 받는 것인데, 신의 모양을 하고 찾아오는 자를 호가이비또라 부른다. 또 축복의 말을 하는 천추만세, 대흑무 등 여러 종류가 있다.
⑤외래계(外來系), 연년계(延年系)
부가쿠(舞樂)는 6~7세기에 걸쳐 중국에서 전래된 것으로, 성덕태자 등의 장려로 말미암아 지방에 보급되고, 전국 신사사원에서 가구라가 있기 전에 연행되었다. 또 12~15세기에 걸쳐 사원에서는 참배자의 천추만세를 축복하는 엔넨이라는 각족 춤이 행해졌다. 이런 춤 외에도 고풍의 노(能)가 연행되기도 하는데, 이것도 엔넨이라고 불렀다. 엔넨은 손님들의 리셉션에서도 행하여졌다. 25보살래영회는 나라, 도쿄 등 각지의 절에서 행해지는 불사의 춤으로서, 25보살의 가면을 쓰고 신자들을 극락으로 영접한다는 춤이다.
3) 민요 가사
◆ 제목 - 쓰가루 종카라부시
①노래가사(일본어)
②노래가사(한국어)
봄날에 바위나 나무 사이에 부르는 노래는
눈에 묻혀서 깊은 산에서 자랐다.
꽃을 기다리지 말거라 쓰가루에 노래하는 처녀야.
쓰가루는 좋은 곳이다. 사과로 화려하게 치장하고
처녀는 18살- 화장으로 치장하고 이오끼 산은 남자들에 의해서 치장된다.
이 지역에서 제일 자랑거리는 쓰가루 평원
물좋고 여자는 아름답고,
노래 소리 아름답게 들리는 자랑스런 종카라부시요
③해설
쓰가루 지방의 대표적인 민요 중 하나로서 고향의 정경과 인정을 자랑하며 호쾌한 샤미센 연주와 함께 노래하는 일본의 대표적인 민요이다.
참고문헌
宋芳松(1989), 『東洋音樂槪論』, 世光音樂出版社.
韓萬榮全仁平(1999), 『東洋音樂』, 삼호출판사.
Kishibe Shigeo(1984), 『The traditional music of Japan』,
Ongaku no tomo sha edition.
梅棹忠夫, 이원희 譯,(1992), 『日本文明의 이해』, 중문출판사.
『音樂大事典』(1996), 世光音樂出版社.
張師勛(1984), 『國樂大事典』, 世光音樂出版社.

키워드

일본,   음악,   음악사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67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