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경원
2. 운동신경원 (motor neurons or efferent neurons)
3. 개재신경원 (interneurons)
4. 감각신경원 (sensory neurons or afferent neurons)
5. 신경충동
6. 신경조직
7. 신경교질세포
2. 운동신경원 (motor neurons or efferent neurons)
3. 개재신경원 (interneurons)
4. 감각신경원 (sensory neurons or afferent neurons)
5. 신경충동
6. 신경조직
7. 신경교질세포
본문내용
조직 중에서도 신경원만이 갖는 특성이고, 신경교질세포는 결합조직세포처럼 신경원을 지지 또는 보호해 주는 역할만을 합니다.
7. 신경교질세포
신경교질세포는 신경원을 보호 또는 지지해 주는 세포들의 총칭으로서 크기와 모양이 각기 다른 성상교질세포 (astocyte), 회돌기교질세포 (oligodendrocytes), 미소교질세포 (microglia), 상의세포 (ependyma)등이 있습니다.
- 신경 교질 세포의 기능
1) 회돌기교질세포 (oligodendroglia)
중추신경계 신경원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수초를 생산합니다.
2) 미소교질세포(microglia)
손상된 조직과 병원균(pathogen)의 식작용(phagocytosis)과 이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3) 성상교질세포 (astrocyte)
뇌혈관장벽(혈액 내의 잠재적 독성물질이 뇌조직 내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줌)의 성분. 이 장벽의 약점은 유용한 약물이 뇌조직으로 들어갈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뇌감염이나 염증 또는 다른 병에 있어서 중요합니다.
4) 상의세포(ependyma)
뇌실의 경계 - 이 세포의 대부분은 섬모(cilia)를 갖고 있습니다. : 뇌척수액의 순환에 관여합니다.
7. 신경교질세포
신경교질세포는 신경원을 보호 또는 지지해 주는 세포들의 총칭으로서 크기와 모양이 각기 다른 성상교질세포 (astocyte), 회돌기교질세포 (oligodendrocytes), 미소교질세포 (microglia), 상의세포 (ependyma)등이 있습니다.
- 신경 교질 세포의 기능
1) 회돌기교질세포 (oligodendroglia)
중추신경계 신경원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수초를 생산합니다.
2) 미소교질세포(microglia)
손상된 조직과 병원균(pathogen)의 식작용(phagocytosis)과 이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3) 성상교질세포 (astrocyte)
뇌혈관장벽(혈액 내의 잠재적 독성물질이 뇌조직 내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줌)의 성분. 이 장벽의 약점은 유용한 약물이 뇌조직으로 들어갈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뇌감염이나 염증 또는 다른 병에 있어서 중요합니다.
4) 상의세포(ependyma)
뇌실의 경계 - 이 세포의 대부분은 섬모(cilia)를 갖고 있습니다. : 뇌척수액의 순환에 관여합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