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metabolic disorder)로 인한 중뇌나 양쪽 앞쪽대뇌의 손상시 일반적으로 두 가지의 운동반응이 나타나게 되는데 바로 제피질경직과 제뇌경직이다. 제뇌경직은 간뇌와 양쪽 중뇌의 손상시 나타나고 양상은 사지가 모두 펴진(extention)상태고 가끔 목이 과신전되기도 한다. 제피질경직은 양쪽 뇌피질의 손상과 관계가 있다. 나타나는 현상은 상지의 굽힘상태, 하지의 펴짐상태이다. 이러한 자세는 손상 즉시 flaccid 하다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강직을 보이는 것에 반해제뇌경직과 제피질경직은 손상즉시 나타난다. 이런 비정상적인 자세는 의식손상종도와 관계가 있으며 의식이 돌아옴에 따라 해결된다. 해로운 자극은 비정상적인 자세를 일으키고 긴장성 목반사가 과긴장과 함께 겹쳐서 나타난다. 재피질경직은 37%정도의 생존률이 있고 제뇌경직은 10%의 생존들이 있다. 그러나 살아나더라도심한 기능적인 손상을 갖게된다.
5. 평가
1)일반적인 평가내용
Modified Ashworth Scale
Score
특 징
0
환측 사지를 운동시킬 때 긴장도의 증가가 없다.
Grade 1
환측 사지의 굽힘과 펴짐운동을 시킬 때 관절가동범위의 끝 부분에서 야간의 저항이감지되며, 근긴장도가 약간의 증가를 보인다.
1+
환측 사지를 움직일 때 관절가동버?위의 1/2이하에서 부터 약간의 저항이 감지 되며, 근긴장도가 약간의 증가를 보인다.
2
대부분의 관절가동범위에사 현저한 근긴장도의 증가를 보이지만 쉽게 환측 사 지를 굽힐 수 없다.
3
대부분의 관절가동범위에서 상당히 많은 양의 근긴장도의 증가를 보이며 수동 운동이 어렵다.
4
환측 사지에 있어서 수동운동이 불가능하다.
2)객관적인 평가 방법
(1) 진자 검사 (Pendulum test)
진자 검사는 무릎 움직임을 전기측가계로 기록하면서 무릎을 완전히 편 후 발을 떨어뜨려 진동을 알아보는방법이다. 이 방법은 무릎의 과도한 근긴장도를 측정하는데에 사용된다. 진자 검사는 편마비 환자의 강직과파킨슨의 경직(Parkinson rigidity)을 구분할 수 있지만 임상에서는 많이 사용되지 않는 방법이다.
(2) 기계적 방법(Mechanical method)
근육의 회전력(torque)과 각도에 따른 경직을 기계적으로 기록(recording)하는 방법으로, 측정값이 매일 다를 수 있다는 것이 단점이다.
6.강직의 물리치료
1) 물리치료시 고려해야 할 사항
물리치료적 접근 방법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비정상적인 운동 발달의 시간적 경과이다.
예를들면, 뇌졸증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대부분의 경우, 운동 결핍은 초기에 이와성마비로 나타나고 수 일, 수 주, 그리고 수개월까지의 시기를 지나면서 강직은 발생하며 그 정도는 심해진다. 조기 치료적 조정은 의학적으로 안정되면 곧바로 시작해야 한다. 즉, 일반적으로 치료의 시작시기는 vital sign이 안정되면서48시간동안 신경학적 병변진행이 없어야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다소의 경우에 있어서는 강직의 증가를 예방하기까지도 한다.
5. 평가
1)일반적인 평가내용
Modified Ashworth Scale
Score
특 징
0
환측 사지를 운동시킬 때 긴장도의 증가가 없다.
Grade 1
환측 사지의 굽힘과 펴짐운동을 시킬 때 관절가동범위의 끝 부분에서 야간의 저항이감지되며, 근긴장도가 약간의 증가를 보인다.
1+
환측 사지를 움직일 때 관절가동버?위의 1/2이하에서 부터 약간의 저항이 감지 되며, 근긴장도가 약간의 증가를 보인다.
2
대부분의 관절가동범위에사 현저한 근긴장도의 증가를 보이지만 쉽게 환측 사 지를 굽힐 수 없다.
3
대부분의 관절가동범위에서 상당히 많은 양의 근긴장도의 증가를 보이며 수동 운동이 어렵다.
4
환측 사지에 있어서 수동운동이 불가능하다.
2)객관적인 평가 방법
(1) 진자 검사 (Pendulum test)
진자 검사는 무릎 움직임을 전기측가계로 기록하면서 무릎을 완전히 편 후 발을 떨어뜨려 진동을 알아보는방법이다. 이 방법은 무릎의 과도한 근긴장도를 측정하는데에 사용된다. 진자 검사는 편마비 환자의 강직과파킨슨의 경직(Parkinson rigidity)을 구분할 수 있지만 임상에서는 많이 사용되지 않는 방법이다.
(2) 기계적 방법(Mechanical method)
근육의 회전력(torque)과 각도에 따른 경직을 기계적으로 기록(recording)하는 방법으로, 측정값이 매일 다를 수 있다는 것이 단점이다.
6.강직의 물리치료
1) 물리치료시 고려해야 할 사항
물리치료적 접근 방법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비정상적인 운동 발달의 시간적 경과이다.
예를들면, 뇌졸증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대부분의 경우, 운동 결핍은 초기에 이와성마비로 나타나고 수 일, 수 주, 그리고 수개월까지의 시기를 지나면서 강직은 발생하며 그 정도는 심해진다. 조기 치료적 조정은 의학적으로 안정되면 곧바로 시작해야 한다. 즉, 일반적으로 치료의 시작시기는 vital sign이 안정되면서48시간동안 신경학적 병변진행이 없어야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다소의 경우에 있어서는 강직의 증가를 예방하기까지도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신생아의 호흡기 질환 및 병태생리
신부전(CRF) 병태생리, 치료 및 투석환자 간호
담석증과 급성 담낭염의 병태생리
간경변문헌고찰 - 원인과 병태생리, 증상과 징후, 진단검사, 치료, 간호중재, 합병증
신부전(CRF) 병태생리, 치료 및 투석환자 간호
중증근무력증의 원인, 정의, 병태생리, 치료 및 간호중재에 대해서
성인 간호학 위암case/위암문헌고찰/위암병태생리/위암간호진단/위암간호중재/진행성위암/gas...
고혈압(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검사) A+
백내장 (1.원인과 병태생리 2.백내장의 진행 단계 3.증상 4.백내장 수술 5.간호)
[여성간호] 자궁경부암_병태생리 및 치료
[여성간호] 융모상피암_병태생리 및 치료
[여성간호] 자궁경관염_병태생리 및 치료
[여성간호] 자궁근종_병태생리 및 치료
[당뇨병] 당뇨병의 병태생리, 당뇨병의 원인과 증상, 당뇨병의 종류(분류), 당뇨병 치료를 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