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립국 이론의 전제 조건(가설)
2. 고립국 이론의 전개 과정
1) 탐구 중점 과제
2) 입지 지대 곡선
3) 고립국 이론의 결론 도출
4) 이론의 수정 검토
3. 튀넨 입지론의 의의와 문제점
1) 고립국 이론의 의의
2) 고립국 이론의 비판
3) 고립국 이론의 탐구
2. 고립국 이론의 전개 과정
1) 탐구 중점 과제
2) 입지 지대 곡선
3) 고립국 이론의 결론 도출
4) 이론의 수정 검토
3. 튀넨 입지론의 의의와 문제점
1) 고립국 이론의 의의
2) 고립국 이론의 비판
3) 고립국 이론의 탐구
본문내용
할까???지대(rent)의 함수 식 『R = M - ( P + Td)』 는 수학의 1차 함수 방정식 와 같이 생각하면 훨씬 이해하기 쉽다. a에 해당하는 -T는 기울기(단위거리당 운임률→운송비), b에 해당하는 M-P는 절편값(시장가격 - 생산비)에 해당한다. 수학에서는 1~4분면 모두를 사용하지만, 여기에서는 1사분면(x, y값이 모두 +값인 경우)에서만 적용되는 것에 유의하라.<아래의 ㈎ 그래프 참조>
(2) 시장가격과 운송비에 따라 지대와 토지 이용은 어떻게 변화할까???
위 그림 ㈎에서 A와 B작물의 교점에서 수익 차이의 변화가 발생하므로A작물의 방정식(y = 3000 - 300x)과 B작물의 방정식(y = 2000 - 100x)을 1차연립방정식으로 함께 묶어놓고풀면 된다. 따라서 「」이므로, 이 방정식을 풀면, 「 → 」이다. 즉, 5㎞까지는 A작물을, 5㎞에서 20㎞까지는 B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시장에서 가까울수록 시장가격이 높고(시장가격과 생산비의 차가 크고), 운송비가 비싼 작물이거나 멀수록 시장가격은 낮지만(시장가격과 생산비의 차가 작지만) 운송비가 싼 작물을 재배한다. 그림 ㈏에서 A→A′로의 변화(기울기 완만하게 변화)는 교통의 발달로 운송비가 감소하고, A→A″로의 변화(기울기 급하게 변화)는 교통 체증이나 연료비의 상승 등으로 운송비가 증가한 경우에 해당한다. 그림 ㈐에서 B→B′로의 변화(절편값 증가)는 수요 증가로 시장가격이 상승하거나 품종 개량과 영농 기술의 발달로 생산비가 절감될 경우, B→B″로의 변화(절편값 감소)는 공급 과잉으로 시장가격이 내려간 경우에 해당한다.
(2) 시장가격과 운송비에 따라 지대와 토지 이용은 어떻게 변화할까???
위 그림 ㈎에서 A와 B작물의 교점에서 수익 차이의 변화가 발생하므로A작물의 방정식(y = 3000 - 300x)과 B작물의 방정식(y = 2000 - 100x)을 1차연립방정식으로 함께 묶어놓고풀면 된다. 따라서 「」이므로, 이 방정식을 풀면, 「 → 」이다. 즉, 5㎞까지는 A작물을, 5㎞에서 20㎞까지는 B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시장에서 가까울수록 시장가격이 높고(시장가격과 생산비의 차가 크고), 운송비가 비싼 작물이거나 멀수록 시장가격은 낮지만(시장가격과 생산비의 차가 작지만) 운송비가 싼 작물을 재배한다. 그림 ㈏에서 A→A′로의 변화(기울기 완만하게 변화)는 교통의 발달로 운송비가 감소하고, A→A″로의 변화(기울기 급하게 변화)는 교통 체증이나 연료비의 상승 등으로 운송비가 증가한 경우에 해당한다. 그림 ㈐에서 B→B′로의 변화(절편값 증가)는 수요 증가로 시장가격이 상승하거나 품종 개량과 영농 기술의 발달로 생산비가 절감될 경우, B→B″로의 변화(절편값 감소)는 공급 과잉으로 시장가격이 내려간 경우에 해당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