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공중보건학의 개념
보건 행정
역 학
전염병 관리
기생충 질병 관리
보건 행정
역 학
전염병 관리
기생충 질병 관리
본문내용
설에 국한.
④ 2차 감염이 적다.
* 우유계 전염병
① 폭발적 발생 ② 유행지역과 우유배달지역 일치 ③ 치명율 발생율이 높다 ④ 잠복기가 짧다
8. 급성 전염병
① 소화기계(water borne disease=수인성 전염병) : 분변으로 전염
: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프스, 세균성 이질, 아메바성 이질, 폴리오, 유행성 이하선염
㉠ 콜레라 - 수인성 전염병, 1종, 구토. 설사. 탈수, 외국에서 전파되는 검역 대상 질환, 분변으로 탈출
- 치료 항생제 : tetracycline, chloramphenicol, oxytetracycline.
- 병쾌후 자연 능동 면역이 수년간 인정되며 사균 백신에 의한 인공 능동 면역도 유효
㉡ 장티푸스 - 1종, 장의 임파조직.담낭.신장 감염, 열성전신질환, 만성보균자 많음, 위생상태가 나쁜 후진국에서 많이 발생
- 인공능동면역은 사균 vaccine에 의함, 환경위생 개선으로 예방.
- Widal 반응 : 장티푸스는 Widal test로 검사 - 감염 2주 후에 특이 항체를 형성.
㉢ 폴리오(급성회백수염:Poliomyelitis) - 소아마비라고도 하며 중추 신경계의 손상으로 주로 소아에게 나타나며 영구적인 마비를 일으키는 급성 전염병 질환
- 병원체는 virus, 예방접종이 제일 좋은 예방책(혼합형 Sabin vaccine-경구용, Salk vaccine-주사용)
② 호흡기계(Air borne disease)
㉠ 홍역, 백일해, 디프테리아,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천연두, 성홍열
㉡ 환자나 보균자의 객담, 콧물 등으로 배설되어 감염되는 비말감염(침, 기침의 분비물)과 공기전파로 이루어지 는데 비말핵(droplet nuclei) 감염 및 먼지(dust)에 의한 감염이 있다.
㉢ 환경개선이 효과가 없으므로 전염원(환자) 및 감수성 보유자 대책(-->환자격리)이 중요.
1) 홍역(measles) - 2종, 소아성 질환, 병원체는 virus, [라이루겐]의 접종으로 예방.
2) 백일해(whooping cough pertussis) - 2종, 소아성질환, 5세이하 다발, 사균백신으로 예방접종.
3) 디프테리아(diphtheria) - 주로 인후.코 등의 상피 조직에 염증을 일으킴
-. 1종, 소아성 질환, 발생전 예방 대책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감수성이 있는 주민에게 DPT 예방접종을 실시하는것
-. 감수성 및 면역성 : 감수성 여부는 schick test로 판정
-. DPT의 기본 접종은 생후 2개월부터 2개월 간격으로 3회 접종을 원칙으로 한다.
-. 홍역, 볼거리, 풍진 : 생후 15개월에 기본 접종
-. 정기 예방접종 대상 :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결핵. 폴리오. 홍역
4) 천연두(small pox; 두창) - 병원체는 virus. , 전세계적으로 근절
-. 열, 전신발진, 구진, 수포진, 소농포가 생기는 급성 전염병으로 병쾌 후에는 피부손상에 의한 콩알 만한 흉이 남는다.
5) 풍진(german measles, rubella) - 임신초기에 이환되며, 태아에게 영향(선천성 질환에 주의), 병원체는 virus.
③ 곤충 매계 전염병(arthropod borne disease)
㉠ 모기 : 말라리아(중국얼룩날개모기), 일본뇌염, 사상충증, 황열
㉡ 이 : 발진티프스 ㉢ 쥐벼룩 : 페스트 ㉣ 진드기 : 양충병, 유행성 출혈열 ㉤ 벼룩 : 발진열
④ 동물 매계 전염병(인수공통전염병) - 광견병, 탄저병, 양충병, 서교증, 렙토시피라스, 부르셀라증, 비브리오페혈증.
9. 만성전염병 - 결핵, 나병, 간염.
① 결핵(tuberculosis)
㉠ 병원체 : 결핵균은 간균으로 인형(mycobacteriu tuberculosis), 우형(M.bovis), 조형(M. avium)의 3종으로 분류.
㉡ 예방접종 : 생후 4주에 BCG 접종(기본), 생후 최초 실시
㉢ Tuberculin test : 결핵환자를 발견하기 위한 최초검사방법.
BCG 접종 6개월 후 면역획득의 여부를 알기 위하여 다시 이 test를 한다.
㉣ BCG : 자연감염을 받지 않은 개체에서 BCG를 접종하여 인공적으로 무해한 초감염 결핵을 일으켜 주 어 자연감염을 받았을때 저항의 힘을 조정시키도록 하는 것.
--> 미국 : 접종후 환자 발생 감소율이 82%에서 14%까지의 차이.
② 나병(leprosy, Hansen's disease) - 잠복기 2-10년, 피부와 말초신경의 손상.
㉠ Lepromin 반응검사로 감염유무
㉡ 예방관리 - 환자의 발견, 격리, 치료(promin, DDS)
- 접촉자의 관리
- 소독관리
㉢ Dapsone(DDS의 상품명) : 4-diaminodiphenylsulfone
③ 간염(hepatitis)
㉠ 3종, 소아기계 전염병, 병원체는 virus, 수혈이나 모체에 의한 감염
㉡ A형, B형, C형
: A형은 B형보다 전염성이 강하고 잘 회복되는 급성 간염이지만 B형은 수혈이나 오염 주사기 및 모체로부터 수직 감염이 잘 되기 때문에 혈청성 간염이라고도 하며 만성화 되는 경우가 많다.
11. 접촉 전염병 - 성병 : 매독, 임질, 연성하감, 서혜임파 육아종증, AIDS
- 트라코마 : 안질환
12. 주요 전염병 검사 방법
① 결핵 : Mantoux 검사. Tuberculin test
② 장티푸스 : Widal 검사
③ 디프테리아 : Schick 검사
④ 발진티푸스 : Weil Felix 검사
⑤ 임파육아종증 : Frei 검사
⑥ 성홍열 : Dick 검사
⑦ 매독 : Wassermann 검사
⑧ 나병 : Lepromin 검사
기생충 질병 관리
* 증상 및 원인
① 회충증 - 기후영향
② 요충증 - 회충이랑, 채소류 전파, 항문주위에 산란-->스카치 테이프로 검사
③ 말레이.사상충증 - 말라리아 질병(모기)
④ 유구조충증 - 돼지고기 생식회교도 지역은 안걸림, 생활습성과 관련
⑤ 무구조충증 - 쇠고기 생식
⑥ 관절열두조충증 - 송어, 연어 생식
⑦ 간흡충증 - 민물고기 생식┌─제 1중간 숙주 : 쇠우렁
└─제 2중간 숙주 : 잉어, 참붕어
⑧ 폐흡충증 - 갑각류 생식┌─제 1중간 숙주 : 다슬기
└─제 2중간 숙주 : 가재, 개
④ 2차 감염이 적다.
* 우유계 전염병
① 폭발적 발생 ② 유행지역과 우유배달지역 일치 ③ 치명율 발생율이 높다 ④ 잠복기가 짧다
8. 급성 전염병
① 소화기계(water borne disease=수인성 전염병) : 분변으로 전염
: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프스, 세균성 이질, 아메바성 이질, 폴리오, 유행성 이하선염
㉠ 콜레라 - 수인성 전염병, 1종, 구토. 설사. 탈수, 외국에서 전파되는 검역 대상 질환, 분변으로 탈출
- 치료 항생제 : tetracycline, chloramphenicol, oxytetracycline.
- 병쾌후 자연 능동 면역이 수년간 인정되며 사균 백신에 의한 인공 능동 면역도 유효
㉡ 장티푸스 - 1종, 장의 임파조직.담낭.신장 감염, 열성전신질환, 만성보균자 많음, 위생상태가 나쁜 후진국에서 많이 발생
- 인공능동면역은 사균 vaccine에 의함, 환경위생 개선으로 예방.
- Widal 반응 : 장티푸스는 Widal test로 검사 - 감염 2주 후에 특이 항체를 형성.
㉢ 폴리오(급성회백수염:Poliomyelitis) - 소아마비라고도 하며 중추 신경계의 손상으로 주로 소아에게 나타나며 영구적인 마비를 일으키는 급성 전염병 질환
- 병원체는 virus, 예방접종이 제일 좋은 예방책(혼합형 Sabin vaccine-경구용, Salk vaccine-주사용)
② 호흡기계(Air borne disease)
㉠ 홍역, 백일해, 디프테리아,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천연두, 성홍열
㉡ 환자나 보균자의 객담, 콧물 등으로 배설되어 감염되는 비말감염(침, 기침의 분비물)과 공기전파로 이루어지 는데 비말핵(droplet nuclei) 감염 및 먼지(dust)에 의한 감염이 있다.
㉢ 환경개선이 효과가 없으므로 전염원(환자) 및 감수성 보유자 대책(-->환자격리)이 중요.
1) 홍역(measles) - 2종, 소아성 질환, 병원체는 virus, [라이루겐]의 접종으로 예방.
2) 백일해(whooping cough pertussis) - 2종, 소아성질환, 5세이하 다발, 사균백신으로 예방접종.
3) 디프테리아(diphtheria) - 주로 인후.코 등의 상피 조직에 염증을 일으킴
-. 1종, 소아성 질환, 발생전 예방 대책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감수성이 있는 주민에게 DPT 예방접종을 실시하는것
-. 감수성 및 면역성 : 감수성 여부는 schick test로 판정
-. DPT의 기본 접종은 생후 2개월부터 2개월 간격으로 3회 접종을 원칙으로 한다.
-. 홍역, 볼거리, 풍진 : 생후 15개월에 기본 접종
-. 정기 예방접종 대상 :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결핵. 폴리오. 홍역
4) 천연두(small pox; 두창) - 병원체는 virus. , 전세계적으로 근절
-. 열, 전신발진, 구진, 수포진, 소농포가 생기는 급성 전염병으로 병쾌 후에는 피부손상에 의한 콩알 만한 흉이 남는다.
5) 풍진(german measles, rubella) - 임신초기에 이환되며, 태아에게 영향(선천성 질환에 주의), 병원체는 virus.
③ 곤충 매계 전염병(arthropod borne disease)
㉠ 모기 : 말라리아(중국얼룩날개모기), 일본뇌염, 사상충증, 황열
㉡ 이 : 발진티프스 ㉢ 쥐벼룩 : 페스트 ㉣ 진드기 : 양충병, 유행성 출혈열 ㉤ 벼룩 : 발진열
④ 동물 매계 전염병(인수공통전염병) - 광견병, 탄저병, 양충병, 서교증, 렙토시피라스, 부르셀라증, 비브리오페혈증.
9. 만성전염병 - 결핵, 나병, 간염.
① 결핵(tuberculosis)
㉠ 병원체 : 결핵균은 간균으로 인형(mycobacteriu tuberculosis), 우형(M.bovis), 조형(M. avium)의 3종으로 분류.
㉡ 예방접종 : 생후 4주에 BCG 접종(기본), 생후 최초 실시
㉢ Tuberculin test : 결핵환자를 발견하기 위한 최초검사방법.
BCG 접종 6개월 후 면역획득의 여부를 알기 위하여 다시 이 test를 한다.
㉣ BCG : 자연감염을 받지 않은 개체에서 BCG를 접종하여 인공적으로 무해한 초감염 결핵을 일으켜 주 어 자연감염을 받았을때 저항의 힘을 조정시키도록 하는 것.
--> 미국 : 접종후 환자 발생 감소율이 82%에서 14%까지의 차이.
② 나병(leprosy, Hansen's disease) - 잠복기 2-10년, 피부와 말초신경의 손상.
㉠ Lepromin 반응검사로 감염유무
㉡ 예방관리 - 환자의 발견, 격리, 치료(promin, DDS)
- 접촉자의 관리
- 소독관리
㉢ Dapsone(DDS의 상품명) : 4-diaminodiphenylsulfone
③ 간염(hepatitis)
㉠ 3종, 소아기계 전염병, 병원체는 virus, 수혈이나 모체에 의한 감염
㉡ A형, B형, C형
: A형은 B형보다 전염성이 강하고 잘 회복되는 급성 간염이지만 B형은 수혈이나 오염 주사기 및 모체로부터 수직 감염이 잘 되기 때문에 혈청성 간염이라고도 하며 만성화 되는 경우가 많다.
11. 접촉 전염병 - 성병 : 매독, 임질, 연성하감, 서혜임파 육아종증, AIDS
- 트라코마 : 안질환
12. 주요 전염병 검사 방법
① 결핵 : Mantoux 검사. Tuberculin test
② 장티푸스 : Widal 검사
③ 디프테리아 : Schick 검사
④ 발진티푸스 : Weil Felix 검사
⑤ 임파육아종증 : Frei 검사
⑥ 성홍열 : Dick 검사
⑦ 매독 : Wassermann 검사
⑧ 나병 : Lepromin 검사
기생충 질병 관리
* 증상 및 원인
① 회충증 - 기후영향
② 요충증 - 회충이랑, 채소류 전파, 항문주위에 산란-->스카치 테이프로 검사
③ 말레이.사상충증 - 말라리아 질병(모기)
④ 유구조충증 - 돼지고기 생식회교도 지역은 안걸림, 생활습성과 관련
⑤ 무구조충증 - 쇠고기 생식
⑥ 관절열두조충증 - 송어, 연어 생식
⑦ 간흡충증 - 민물고기 생식┌─제 1중간 숙주 : 쇠우렁
└─제 2중간 숙주 : 잉어, 참붕어
⑧ 폐흡충증 - 갑각류 생식┌─제 1중간 숙주 : 다슬기
└─제 2중간 숙주 : 가재, 개
추천자료
[신경언어장애검사] 신경언어장애의 진단 및 평가(실어증 환자의 진단방법 및 검사방법)
[구개파열치료방법] 구개파열의 치료(발성 및 조음장애 언어치료, 연인두 폐쇄훈련)
[빈혈] 빈혈의 원인과 증상, 빈혈의 종류(철결핍성 빈혈, 거적아구성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비만] 비만증의 개념, 비만의 원인과 종류, 비만의 판정, 비만의 장애와 합병증
[호흡기계 감염성질환] 호흡기계 질환 및 감염 - 감염에 대한 방어기전, 감염시 영양관리, 감...
비만의 진단과 측정, 비만의 원인과 종류, 비만에 따른 질병과 위험성, 비만의 치료방법
암(악성 종양) - 암의 원인과 증상, 암세포의 특징, 암의 발생과 진단 및 문제점
[음성장애치료] 음성장애의 치료방법(증후적 음성치료, 총체적 음성치료기법)
[당뇨병] 당뇨병의 정의 및 종류(진성당뇨병, 손상된 당내성, 임신당뇨병), 당뇨병의 병태생...
지용성 비타민과 수용성 비타민
[조음음운장애치료] 조음 음운장애의 치료방법(전통적 기법, 짝자극기법, 의사소통중심법, 변...
[유창성장애치료] 유창성 장애의 치료방법(말더듬기 치료방법) - 말더듬 치료법, 말더듬 치료...
암의 개념(정의), 암 발생요인, 암과 영양소의 관계, 암세포 발생과정, 암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
[유창성장애] 유창성 장애와 말더듬 행동의 정의, 유창성장애의 발달, 유창성장애에 대한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