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실패한 사상가로 생애를 마감하게 되었던 것이다.
맹자는 정치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부분에서도 중요한 자기 철학을 보여주고 있다. 유시민은 맹자의 정전법(井田法)과 세제(稅制)에 대해 살짝 언급하고 있지만, 저자가 경제학을 전공하였기 때문에 항산(恒産)과 항심(恒心)에 대해서도 언급이 있어야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맹자는 ‘항산(恒産)이 있어야 항심(恒心)이 있다.’는 것을 군주들이 알아야 올바른 통치행위를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항산은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직업을 의미하고 항심은 양심에 기초한 도덕성을 의미한다. 경제적으로 고르게 기초가 확립되어야 도덕적인 사회를 건설할 수 있다는 이상 사회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4. 최인훈, 『廣場』
초판의 광장과 지금은 광장은 그 분량면에서나 내용면에서, 그리고 결말 부분까지도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우리의 현대사를 가장 압축적으로 묘사하고 있고 젊은이들의 고뇌와 성찰, 자기 의지의 한계에 대하여 보여주고 있는 수작임에는 틀림이 없다. 배경으로 삼고 있는 시공간성의 변화를 통해 당시의 주인공이 겪어야 했던 심적 고통의 과정이 그대로 표현되고 있으며 자유민주주의와 독재, 사회주의라는 이데올로기의 차이를 이념이 아닌 인간의 본질에서 구하고자 노력한 작품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데올로기는 일반 대중을 설득할 뿐만 아니라 극단주의 및 폭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지식인들에게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다. 결국 우리’와 ‘그들’, 즉 ‘친구’ 아니면 ‘적’이라는 경직된 이분법을 통해 획일적으로 세계를 바라보게 만들었다. 이러한 기능적 오류로 인해 정치적 무관심과 냉소주의에 빠지거나 더욱 급진적이고 과격한 이데올로기에 자신들을 내맡기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 사회 전체를 광신도의 무리로 만들고, 합리적인 이성의 작용으로 만들어진 모든 제도를 무력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살았던 지식인이라면 어느 누구도 이러한 이념적 대립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을 것이다.
주인공 이명준이 이념 갈등의 소용돌이를 피해 중립국행을 택한 부분에 집착하기 보다는, 당시의 청년들이 비극적으로 살 수밖에 없었던 우리의 아픈 역사를 되짚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주인공이 바다에 목숨을 던지는 마지막 장면은 밀실의 인간에서 가족애와 인간미를 느끼고 싶어하는 광장의 인간으로 나가기 위한 자기부정의 세리머니라고 볼 수는 없는 것일까?
맹자는 정치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부분에서도 중요한 자기 철학을 보여주고 있다. 유시민은 맹자의 정전법(井田法)과 세제(稅制)에 대해 살짝 언급하고 있지만, 저자가 경제학을 전공하였기 때문에 항산(恒産)과 항심(恒心)에 대해서도 언급이 있어야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맹자는 ‘항산(恒産)이 있어야 항심(恒心)이 있다.’는 것을 군주들이 알아야 올바른 통치행위를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항산은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직업을 의미하고 항심은 양심에 기초한 도덕성을 의미한다. 경제적으로 고르게 기초가 확립되어야 도덕적인 사회를 건설할 수 있다는 이상 사회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4. 최인훈, 『廣場』
초판의 광장과 지금은 광장은 그 분량면에서나 내용면에서, 그리고 결말 부분까지도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우리의 현대사를 가장 압축적으로 묘사하고 있고 젊은이들의 고뇌와 성찰, 자기 의지의 한계에 대하여 보여주고 있는 수작임에는 틀림이 없다. 배경으로 삼고 있는 시공간성의 변화를 통해 당시의 주인공이 겪어야 했던 심적 고통의 과정이 그대로 표현되고 있으며 자유민주주의와 독재, 사회주의라는 이데올로기의 차이를 이념이 아닌 인간의 본질에서 구하고자 노력한 작품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데올로기는 일반 대중을 설득할 뿐만 아니라 극단주의 및 폭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지식인들에게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다. 결국 우리’와 ‘그들’, 즉 ‘친구’ 아니면 ‘적’이라는 경직된 이분법을 통해 획일적으로 세계를 바라보게 만들었다. 이러한 기능적 오류로 인해 정치적 무관심과 냉소주의에 빠지거나 더욱 급진적이고 과격한 이데올로기에 자신들을 내맡기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 사회 전체를 광신도의 무리로 만들고, 합리적인 이성의 작용으로 만들어진 모든 제도를 무력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살았던 지식인이라면 어느 누구도 이러한 이념적 대립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을 것이다.
주인공 이명준이 이념 갈등의 소용돌이를 피해 중립국행을 택한 부분에 집착하기 보다는, 당시의 청년들이 비극적으로 살 수밖에 없었던 우리의 아픈 역사를 되짚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주인공이 바다에 목숨을 던지는 마지막 장면은 밀실의 인간에서 가족애와 인간미를 느끼고 싶어하는 광장의 인간으로 나가기 위한 자기부정의 세리머니라고 볼 수는 없는 것일까?
추천자료
[A+ 평가 독후감]미래를 말하다, 독후감.- 핵심내용 분석과 개인적인 느낌을 중심으로.
[A+ 평가 독후감]킹피셔, 독후감.- 핵심내용 분석과 개인적인 느낌을 중심으로.
[A+ 평가 독후감]물의 미래, 독후감.- 핵심내용 분석과 개인적인 느낌을 중심으로.
[A+ 평가 독후감]해빗 독후감.- 핵심내용 분석과 개인적인 느낌을 중심으로.
[A+ 평가 독후감]미래를 읽는 기술 독후감.- 핵심내용 분석과 개인적인 느낌을 중심으로.
[A+ 평가 독후감]공짜경제학 독후감.- 핵심내용 분석과 개인적인 느낌을 중심으로.
[A+ 평가 독후감]사기의 경영학 독후감.- 핵심내용 분석과 개인적인 느낌을 중심으로.
[A+ 평가 독후감]사다리 걷어차기 독후감.- 핵심내용 분석과 개인적인 느낌을 중심으로.
[A+ 평가 독후감]마법의 5년 독후감.- 핵심내용 분석과 개인적인 느낌을 중심으로.
[A+ 평가 독후감]경제학자들의 목소리 독후감.- 핵심내용 분석과 개인적인 느낌을 중심으로.
[A+ 평가 독후감]창조자들 독후감.- 핵심내용 분석과 개인적인 느낌을 중심으로.
[A+ 평가 독후감]괴짜사회학 독후감.- 핵심내용 분석과 개인적인 느낌을 중심으로.
제로 투 원 독후감 : 제로 투 원 독후감
A+ 미움받을 용기 독후감, 독서감상문, 아들러 심리학 독후감, 아들러 심리학 레포트, 미움받...